‘칼집에서 칼 빼드는’ 한동훈과 8人의 사무라이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지난 21일 용산 회담 후
여권에 후폭풍이 불어닥친 모양새입니다.
김 여사의 주가조작‧공천개입 등
각종 의혹 비선 참모진 논란이 급부상한 데 이어,
정치 브로커 명태균과 김영선 전 의원의
자기 구명을 위한 릴레이 폭로가
기름을 끼얹고 있답니다.
이는 ‘집권당정 공멸’이라는 여권 최대의
위기 국면을 야기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실제 윤 대통령의 국정지지율도
최근 수개월째 취임 후 역대 최저치인
20%대 늪에 빠진 실정입니다.
그 연좌제로 여당 지지율도 침체 양상이 깊답니다.
이렇다 보니 위기감이 고조된 여당에서는
한 대표와 친한계를 중심으로 여권 내부 쇄신이 필요하다며
그 대전제로 ‘영부인 리스크’ 해소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한 대표는 윤 대통령과 회동 자리에
김 여사 외부활동 자제 등 3대 요구안이 담긴
‘붉은색 서류철’을 가져갔습니다.
당시 정치권에선 이를 두고
윤 대통령 부부를 향한 ‘레드카드 경고’라는
해석이 파다했답니다.
끝내 용산은
한 대표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았습니다.
용산 회동 직후 윤 대통령은
부산 범어사를 찾은 자리에서
“돌을 던져도 맞고 가겠다”며
3대(연금‧노동‧교육) 개혁을 토대로
‘국정 마이웨이’ 의지를 밝혔습니다.
이는 곧 한 대표의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의중으로도 해석된 만큼,
사실상 당정 갈등의 신호탄이 됐다는 분석입니다.
여권에 따르면 김 여사를 겨냥한
야당 특검안에 대해서도 대통령실은
‘위헌적 입법’이라는 입장입니다.
윤-한 면담 이후 한 대표는
대통령실과 친윤의 저항에 직면했답니다.
한 대표는 대통령실을 향해
대통령 부인과 4촌 이내 친인척에 대한 비리를 감독하는
‘특별감찰관’ 인선을 미뤄선 안 된다며
북한인권재단 이사 추천과 별개로
신속 처리해야 한다는 입장을 못 박았습니다.
특별감찰관은 지난 2016년
이석수 초대 감찰관이 하차한 이후
8년째 공석인 상태입니다.
한 대표는 23일 국회 확대당직자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1심 선고가 나오는 11월15일에는
김 여사와 관련한 국민들의 요구를 해소한 상태여야 한다”며
대통령실에 결단을 요구했답니다.
또 그는 김 여사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선
특별감찰관 추천 절차를
조속히 밟아야 한다고도 부연했습니다.
김 여사 논란이 확산하자,
이에 제동을 걸 수 있는 감찰관 인선 이슈를
선점하려는 시도로 풀이됩니다.
당초 여당은 원내 주도로 감찰관 후보군(3명)과
북한인권재단 이사진 후보군(10명)을
야당과 합의 하에 추천한다는 방침이었습니다.
이에 당 내부에선 친윤계를 중심으로
저항이 터져 나왔는데요.
추경호 원내대표는 확대당직자회의 직후
“이 부분(특별감찰관 추천)은
국회 의사결정 과정이고 원내 사안”이라며
“원내 최고 의사결정은 의원총회고,
거기 의장은 원내대표”라고 선을 그었답니다.
한 대표 방침에 제동을 건 셈입니다.
대통령실도 추 원내대표에 즉각 호응했습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취재진에게
“북한인권대사 임명과 특별감찰관 추천을 연계하는 것은
당에서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여야가 합의하면 임명할 것”이라고
추 원내대표에 힘을 실었답니다.
여권에 따르면 앞서 윤 대통령도
한 대표와 면담 자리에서
‘감찰관 선임은 여야 협의가 우선’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고 합니다.
실제 친윤계로 분류되는 한 여당 인사는
“한 대표가 자기 정치를 위해 특별감찰관 이슈까지
선점하려 하고 있다”며
“엄연히 원내 고유권한인 것을
원외 인사인 당대표가 개입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한 대표를 견제했답니다.
기로에 선 한동훈, 김건희 특검 카드 ‘만지작’
이에 한 대표 측도 집단행동에 나섰다.
한 대표는 지난 22일 친한계 인사 20여 명과
서울 여의도 모처에서 긴급 만찬을 가졌습니다.
윤 대통령과 회동 직후 성사된 자리여서
더욱 주목을 받았답니다.
이날 모임에는 친한계 핵심 당직자인 김상훈 정책위의장,
박정하 비서실장, 서범수 사무총장,
김종혁 최고위원 등을 비롯해 대통령실 출신인
주진우‧안상훈 의원,
조경태‧송석준‧배현진‧김형동‧
박정훈‧김건 의원 등이 참석했습니다.
이들은 전날 있었던 윤-한 회담 내용을 공유하며
친한계의 결속과 용산발 리스크에 대한
향후 대응 방향성 등을 집중 논의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다만 최대 화두가 될 것으로 보였던
‘김건희 특검법’에 대해서는 한 대표의 요청으로
언급되지 않았답니다.
당정 뇌관인 김 여사 특검법이
친한계 회동에서 언급될 경우
거대 파장이 일 것을 우려한 처사로 풀이됩니다.
그럼에도 한 친한계 인사는 이날 만찬장에 들어서면서
후속 특검법이 윤 대통령 재의요구권 행사로
국회로 돌아오게 되면 통과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취지를 밝힌 만큼,
이는 친한계 내부 중론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대통령실과
여당 친윤계가 끝내 김 여사 등 대통령실 쇄신 의제에
미온적인 스탠스를 고집할 경우,
친한계가 김건희 특검을 매개로
용산 압박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앞서 국회로 반송된 김건희 특검 재표결에서
여당 이탈표 규모가 3표로 추정되는 상황에서,
친한계가 노선을 틀면 언제든 국회 재표결에서
영부인 특검이 가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는 친한계가 최근 민주당이
여당과 합의 가능성을 열어 둔
‘한동훈표 제3자 특검’을 띄울 가능성도 엄존합니다.
다만 야당이 주도한 특검 공세에
여당이 동조하게 되면 보수진영 내분과
‘반골 프레임’이 불가피한 만큼
한 대표와 친한계가
섣불리 나서기 쉽지 않은 사안이기도 합니다.
한편, 야당은 이러한 상황을 역이용해
당정 간극을 벌리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여권 내부 혼란을 틈타
한 대표를 향해 제3자 방식 특검 발의를 촉구하고 있고,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는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형과 형수,
국민 중 어느 편에 설지 택하라”며
“국민의 편에 서겠다면 윤석열 대통령 부부와
단호히 결별하라”고 불을 지폈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 지난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