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79인치 UHD TV를 눈여겨 보고 있습니다.
관련해서 스팩을 확인했을때 공구 게시물에는 아래의 내용을 확인했습니다.
패널 : LC790EQF FG F1 (3D패널이지만 2D전용으로 출고) 3840*2160(4K)
보드 : 4K318보드 : 4K*2K@30hz 1080p@120hz MHL지원/ HDMI1.4 / HDCP 1.2
여러 UHD 포럼에서 글을 읽어봤을때 4K 30Hz는 60Hz와 많은 차이를 보인다는 내용이 주를 이룹니다.
그리고 요즈음 나오는 UHD TV들은 4K60Hz 4.4.4 지원이 기본인거 같은데요 어떤지?
아래는 기사내용입니다. http://www.it.co.kr/news/article.html?no=2800216
"듀얼링크 DVI 출력이 없으면 그 다음은 ‘1.4’ 규격을 지원하는 HDMI 출력단자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PC와 가전기기DVI 단자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덩치가 작은 미니PC 등에는 DVI 대신 HDMI를 제공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HDMI도 1.4 미만의 이전 규격이면 4K 출력을 정상적으로 지원하지 않는다.
하지만 듀얼링크 DVI나 HDMI 1.4의 경우 4K ‘해상도’는 지원하지만, 화면 재생률이 30Hz에 불과한 반쪽짜리 4K에 불과하다. 30Hz의 재생률은 초당 30장의 화면을 표시해준다는 것으로, 사람에 따라 화면이 조금씩 깜빡거리는 것을 느낄 수 있을 정도라 장시간 시청에 불리하다. 즉 맛보기 수준의 4K만 즐길 수 있는 셈이다.
깜빡임을 느낄 수 없는 제대로 된 60Hz 재생률의 4K를 즐기려면 최소한 최신 DP(디스플레이 포트, Display Port) 또는 HDMI 2.0 출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DP는 처음부터 고해상도의 디지털 모니터 연결용으로 만들어진 규격이어서 2009년 제정된 1.2규격에서 이미 60Hz의 4K해상도를 충분히 지원한다. HDMI의 가장 최신 규격인 2.0 버전도 더욱 높아진 데이터 전송량으로 60Hz 4K를 지원한다."
현재는 HDMI 버전이 변경되었는지와 언제쯤 변경이 될지 알수있을까요?
보드 스팩변경부분도 알고싶습니다.
첫댓글 차이는 이 사이트를 보면 알수있다고 하네요.
http://30vs60.com
10여년전 PC의 클럭수 과대 논쟁에서와 같이 TV에서도 수치만으로 제품의 성능을 판단할수는 없습니다. 사실 광고상의 각종수치들은 삼성-LGTV들보다 중국산 tv들이 더 좋을때가 많습니다. 나머지 조건이 모두 동일한 상황에서 특정 수치를 비교한다면 당연히 그 수치비교가 맞을지 몰라도 나머지 조건들을 무시한채 특정 수치나 스펙만을 비교하기에는 TV쪽은 정확한 정보가 공개되어 있지 못합니다. // 일단 현재의 UHD에서는 저희가 사용하는 메인칩이 상위버젼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상위버젼을 지원하는 칩중 고급형은 아직까지 대기업 위주로 공급되어서인지 제품화되어 있는 것을 찾기 쉽지 않습니다. 상위버젼을 지원하는 제품중 보급형
을 구해 테스트해보았지만 제 기준에는 하위버젼을 지원해도 현재 사용중인 제품이 더 성능이 뛰어나서 선택했습니다. 상위버젼을 지원한다고 해서 가격이 더 비싸지도 않습니다, 게임용모니터를 기준삼는 30인치대의 4K모니터에서는 그 기준이 중요할수 있습니다만 동영상위주의 초대형인치에서 얼마만큼 중요하고 실제 체감될지 저는 의문입니다. 4K는 아직 초기단계입니다. 오래된 회원분이라면 초창기 120hz가 처음 나왔을때 광고와는 달리 무조건 120hz가 좋은 것이 아니다라며 한참을 게시판 곳곳에서 떠들고 다녔던 저를 기억하실겁니다. 아직도 이야기합니다. HDTV보다 풀HDTV가 화질이 좋다고 말할수 없고 풀HDTV보다 UHDTV가 화질이 좋
다고 말할수 없다고.... 다양한 조건과 기반하에서 판단이 되어져야 한다고... 특히나 최근에 와서 패널의 성능과 가격이 세분화되어지는 상황에서는 패널과 보드에서 너무도 고려해야할 사항이 많아졌습니다. // 저도 판매하기 쉬운 중국산 60hz(HDMI2.0이상)에 대한 미련이 큽니다. 이런 구차해보이는 설명도 필요없으니까요.... 결론적으로 현재 판매되는 ad보드는 이 상위버젼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앞서 구입하셨던 분들의 사용기나 현장에 방문하셨던 분들이 보셨겠지만 영상 화질이나 성능에서는 부족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지속적으로 상위버젼을 지원하는 보드를 확인하고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을 게을리 하지 않겠
지만 단순한 수치가 아닌 실제 성능을 기준으로 찾는것이 어렵습니다. 하지만 아직은 초기라 시간이 많이 필요해보입니다. 사실 저희가 진행하는 풀HD라인을 보면 단종된 것을 제외하고도 AXL,AXL2,LK120,LK120LP,318,8Q,C8,M2,M8,M9와 같이 10여종 이상의 제품군이 있습니다. 사용자의 수요에 맞추어 각각의 장점을 가진 다양한 제품군이 만들어져야 이를 통해 다양한 선택과 비교가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UHD도 언젠가는 이런 날이 오겠지요^^
댓글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부분도 물론 맞다고 볼수도 있습니다.
제생각에는 스팩에서 된다고 하는것과 안된다는것은 많은 차이가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개인의 물건을 구매하는 부분이 아니라 제품을 사는입장에서는 우선 스팩을 볼수밖에 없으니까요.
미니PC라던지 셋탑박스로 동영상/게임을 하시는 분들한테는 그런 HZ의 차이가 크게 다가올수밖에없을겁니다.
조금 더 부연하지면 개인적으로 수치적 스펙이 객관적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수치상 스펙은 중국산 저가가 국내 대기업제품보다 높은 경우도 있습니다. 그걸 소비자가 구분하거나 의의를 제기하기 어렵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만났던 국내업체도 일부 스펙을 상향표기하면서 그게 관행이라고 말하더군요. 누구도 이런걸로 시비걸지 않고 차후 의의가 생긴다해도 사용환경이나 호환성등으로 돌리면 된다더군요. 저희 공구에 어느날부터인지 스펙의 수치표현을 소홀히 하는것을 느끼셨다면 아마도 그 때부터일겁니다. 사실 객관성을 담보할 어떤 기준을 제시해드려햐할지에 대해서도 오래전부터 고민입니다.
그렇군요...
요즘 네이버에서 http://cafe.naver.com/mk802
위의 카페를 자주갑니다. 여기서 UHD TV를 구매하고 NVIDIA 쉴드셋탑을 사서 쓰려고 하는데
요즘 테스트하는 내용이 동영상 스팩과 셋탑에서 재생되는지 그리고 TV에서 스팩을 지원이 되느냐를 많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더 궁금하기도 하네요.
저도 대형인치TV를 구매해서 NAS와 미니PC를 이용해서 UHD 영상을 볼려고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사려고하면 동영상도 고화질을 보려고 할꺼라 생각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