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 읍(泣)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설 립(立)자를 했습니다. 설 립(立)자는 당 위에 사람이 서 있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울 읍(泣)자와 설 립(立)자는 통운(通韻)입니다. 읍체(泣涕) 읍소(泣訴) 감읍(感泣) 호읍(號泣) 비읍(悲泣) 읍면(泣面) 수읍(垂泣)
고을 읍(邑,⻏)자는 사람이 무릎을 꿇고 상반신을 쭉 펴고 앉아 잇는 모양입니다. 무릎을 꿇고 사방을 살펴보는 시야(視野)에 들어올 정도의 마음을 가리키는 글자입니다. 사람이 좀 모여 사는 곳이라는 뜻입니다. 읍중(邑中) 읍주(邑主) 읍인(邑人) 읍령(邑令) 읍례(邑例) 도읍(都邑)
가슴 응(膺)자는 의부(義符)로 고기 육(肉,月)자에 성부(聲符)로 매 응(䧹)자를 했습니다. 매 응(䧹)자는 집 엄(广)자 아래에 사람 인(人)자를 하고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사람이 집에서 기르는 새라는 뜻입니다. 매는 예로부터 사람이 집에서 기르면서 날짐승이나 토기 등 짐승 사냥에 사용했던 새입니다. 지금도 몽고에서는 매를 길러 사냥하는 도구로 사용합니다. 응수(膺受) 응징(膺懲) 응상(膺賞) 응징(膺懲) 복응(服膺)
매 응(鷹)자는 의부(義符)로 새 조(鳥)자에 성부(聲符)로 매 응(䧹)자를 했습니다. 매 응(䧹)자는 집을 뜻하는 집 엄(广)자에 사람 인(人,亻)자와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매는 집에서 길러서 사냥용으로 사용하는 새입니다. 매 응(䧹)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응성(鷹城) 응장군(鷹將軍) 방응(放鷹) 응양(鷹揚) 응장(鷹匠) 웅응(熊鷹)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