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확진자 25명 분석 결과 모두 바이러스 중화하는 항체 생겼지만 12명은 유전자 검사 결과 '양성' 반응 전문가 "항체가 싸우는 동안은 바이러스 검출될 수 있어"
브리핑 중인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 /연합뉴스
방역당국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국내 확진자 중 25명을 분석한 결과 바이러스의 생물학적 활성을 중화하는 항체인 ‘중화항체’가 생겼다고 22일 밝혔다. 하지만 이 가운데 48%는 유전자 검사 결과 코로나 바이러스 양성 반응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항체가 생겨도 바이러스가 없어졌다고 판단하기 이르다는 뜻이라고 했다.
22일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25명 확진자를 분석한 결과 모두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중화항체가 생겼지만, 이 가운데 12명은 호흡기 검체 진단 검사에서 코로나 양성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정은경 본부장은 또 “(면역 생성 후 코로나 양성이 나온) 12명에 대해 (전염력을 보기 위한) 바이러스 배양검사도 추가 시행했지만 1차 검사에서는 음성으로 확인됐다”며 “환자에 따라 중화항체가 형성되어도 바이러스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체내에 남는 기간이 다를 수 있다고 추정하고, 추가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했다.
방지환 중앙임상
위 중앙감염병병원운영센터장은 “중화항체가 생겼단 건 바이러스와 싸울 무기가 갖춰진 것 뿐, 싸우는 동안은 몸 속 바이러스가 다 죽지 않고 남아 있을 수 있다”고 했다. 다만 “현재 완치 후 재감염 의심 환자들이 타인을 전염시킨 사례는 전혀 발견되지 않은 만큼, 이들도 실은 항체 생성 후 몸 속 남은 바이러스 유전자 조각이 검출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