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칠 일(溢)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더할 익(益)자를 했습니다. 더할 익(益)자는 그릇 명(皿)자 위에 여덟 팔(八)자를 하고 한 일(一)자를 반복해서 함으로써, 마치 시루떡처럼 켜켜이 자꾸 쌓아놓은 모양을 표시했습니다. 무게의 단위 일(鎰)자도 더할 익(益)자가 들어 있어서 ‘일’로 읽습니다. 일우언표(溢于言表) 일개(溢价) 일수(溢水) 일류(溢流) 횡일(橫溢) 충일(充溢) 뇌일혈(腦溢血)
춤 일(佾)자는 사람 인(亻)자에 떨릴 흘(䏌)자를 했습니다. 춤은 사람이 떠는 행동입니다. 떨릴 흘(䏌)자는 여덟 팔(八)자 아래에 고기 육(肉,月)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여덟 팔(八)자는 갓잡아 낸 고기를 덮어 놓은 모양입니다. 갓 잡은 고기는 떨립니다. 또는 여덟 팔(八)자가 떨리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이기도 합니다. 일무(佾舞) 팔일(八佾) 육일무(六佾舞) 논어팔일편(論語八佾篇)
중량 일(鎰)자는 의부(義符)로 쇠 금(金)자에 성부(聲符)로 더할 익(益)자를 했습니다. 더할 익(益)자는 그릇 명(皿)자 위에 여덟 팔(八)자를 하고 한 일(一)자를 반복해서 함으로써, 마치 시루떡처럼 켜켜이 자꾸 쌓아놓은 모양을 표시했습니다. 자꾸 쌓아 더했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제기에 제물 음식을 많이 담아서 더했음을 표시했습니다. 넘칠 일(溢)자도 더할 익(益)자가 들어 있어서 ‘일’로 읽습니다. 일취(鎰取) 만일(萬鎰) 이일로(李鎰路) 김천일(金千鎰) 일금(鎰金)
한 일(壱,壹)자에서 한 일(壱)자는 한 일(壹)자의 약자(略字)입니다. 한 일(壹), 병 호(壺), 대궐 곤(壼)자는 모두 병을 그린 상형(象形)글자들입니다. 병은 병이니까, 병을 그린 것이고, 한 일(壹)자는 병 하나라는 뜻으로 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이고, 대궐 곤(壼)자는 대궐도 하나이니까, 병을 그렸지만 특히 대궐 안의 넓고 잘 나 있는 길을 그리기도 했습니다. 일인(壹人) 일오령(壹伍零) 일억(壹億) 일기(壹岐) 일주(壹州) 일만원(壹萬圓)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