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전노(守錢奴, ① a miser ② a niggard ③ a skinflint)”는 ‘돈을 지키는 노예라는 뜻으로, 돈을 모을 줄만 알고 쓸 줄을 모르는, 매우 인색한 사람을 얕잡아 이르는 말’로 나와 있습니다.
우리말 “구두쇠”는 ‘돈이나 재물 따위를 쓰는 데에 지나치게 인색한 사람’으로 영어에서는 ‘수전노’와 같은 뜻의 말로 쓰인다고 합니다.
“구두쇠”는 조선시대 사람 이름에서 기원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고 합니다. 조선시대 인명 중에 이두로 仇豆金, 仇叱金인 구두쇠 혹은 굿쇠라는 이름이 있다고 하는데, 그냥 음독하면 '구두금, 구질금'입니다.
하지만, 맨 뒤의 金은 새김으로 풀어(즉 훈독) [쇠]로 읽고 叱은 이두에서 사이시옷/된소리 표기에 쓰이므로, 각각 구두쇠, 굿쇠가 되는 겁니다. 참고로 -쇠는 金란 뜻과는 그다지 관계없는 인명접사인데, 비슷한 예시로 '돌쇠'나 '마당쇠' 등이 있습니다.
아무튼 이 사람이 지독하게 인색했는지 그걸로 유명인이 되어 전파되었다고 하는 이야기가 전합니다. 참고로 '재물을 아끼고 지키는 성질이 있음'을 뜻하는 '굳다'라는 동사 역시 이 지독하게 인색한 사람을, 언중이 구두쇠 혹은 굿쇠라고 불렀던 것이 점차 전국적으로 퍼져나간 것이라는 추측도 존재합니다.
오늘날, 이 단어가 마치 구두(신발)와 쇠의 합성어 같다는 어감으로 들려서, 왠지 '구두가 닳을 것을 걱정해 쇠를 덧대 신은 사람'일 것이라는 합리적인 연상이 있지만 놀랍게도 그런 뜻과는 하등의 관련이 없다고 『위키백과』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수전노는 중국의 역사서에 나오는 말입니다.
<중국 후한의 장군 마원(馬援)은 교지(베트남)의 반란을 평정한 명장이다.
젊은 시절에는 엉뚱하고 별난 사람이었다. 형님 셋은 전부 열심히 공부해서 높은 관직에 올랐지만 마원은 공부에 뜻이 없었다. 어쩌다 죄수를 압송하는 관원이 되었는데, 죄수가 불쌍하다며 풀어주고는 북쪽 변방으로 달아났다. 그곳에서 목축을 시작했다.
오래지 않아 가축 수천 마리와 쌀 수만 섬을 소유한 부자가 되었다. 그러더니 돌연 전 재산을 친척과 친구들에게 나누어주었다. 그는 말했다. "재물을 불리는 이유는 베푸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으면 돈 지키는 노예일 뿐이다(凡殖貨財産,貴其能施賑也,否則守錢虜耳)." '후한서' '마원전'에 나오는 '수전노'의 어원이다.
조선왕조실록에 수전노로 기록된 사람이 딱 한 명 있다. 김인손이다. 그는 서른 살부터 40년 넘게 관직생활을 했는데, 받은 녹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았다고 한다. 부수입이 짭짤했던 모양이다. 음식 선물이라도 받으면 아까워서 먹지 못하다가 썩어서 먹을 수 없게 되어서야 비로소 버렸다.
수전노는 얼핏 보기에 검소한 것 같다. 윤기의 '수전노를 읊다'라는 시에 나오는 조선시대 수전노의 행태는 이렇다. 새 옷이 아까워 입지 않고 먼지가 덮이도록 걸어놓는다. 하루에도 몇 번씩 빚 장부를 들여다본다. 곡식을 비싸게 팔려고 흉년이 들기를 기원한다. 행여 누가 돈 빌려달랄까 봐 가난하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산다. 헐값에 물건을 사면 미소를 짓고, 굶주림을 참느라 얼굴을 찌푸린다. 이러니 선비 친구는 한 사람도 없고, 가까이 지내는 사람은 거간꾼뿐이다.
돈의 노예가 된 사람들의 호칭은 다양하다. 진나라 사람 화교는 재산이 엄청나 황제에 견줄 정도였으나 인색하기 짝이 없었다. 사람들은 그를 '돈 성애자(錢癖)’라고 불렀다.
양나라 사람 소굉 역시 막대한 재산을 모으고도 쓸 줄 몰랐기에 '돈밖에 모르는 바보(錢愚)' 소리를 들었다. 모두 돈 모으기에 집착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돈은 모으는 것보다 쓰는 것이 중요하다. 제대로 쓸 줄도 모르면서 모으기에 급급하면 돈의 주인이 아니라 돈의 노예다.
돈의 노예가 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관직의 노예가 되는 사람도 있다. '포관수'라고 한다. 관직을 품에 안은 죄수라는 말이다. 송나라 시인 황정견의 시에 나온다. "부귀는 내 몸을 윤택하게 만들 수 없으니, 돈 지키는 노예이며 관직 품은 죄수일 뿐." 돈과 권력을 추구하는 행태에 대한 일침이다.
본디 관직이란 내 뜻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상황이 적절하면 관직에 나아가고, 부적절하면 물러나야 마땅하다. 이렇게 관직에 얽매이지 않아야 처신이 자유롭고 존경을 받는다.
물러나야 하는 상황에서도 어떻게든 자리를 지키려고 애쓰는 사람은 스스로를 구속하기 마련이다. 내가 관직을 가진 것이 아니라 관직이 나를 가진 것이다. 관원이 아니라 죄수나 다름없다.
김남국 의원의 코인 거래가 논란이다. 자금 출처도, 거래 과정도 불분명하다. 언론이 해명을 요구해도 제 하고 싶은 말만 하고 입을 닫는다. 평소 거지 행세를 하며 후원금을 모집하고, 구멍 난 신발을 신고 라면만 먹는다더니, 의원 노릇하는 틈틈이 엄청난 돈을 부지런히 굴리고 있었다.
'수전노'의 행태를 연상케 한다. 이미 정상적인 의정활동은 어려운 상황이다. 위선적 행태와 거짓 해명에 여론이 들끓는데도 자리에 연연하면 '포관수'라는 비난 역시 피할 수 없다.>한국일보. 장유승 성균관대 한문학과 교수
출처 : 한국일보. 장유승의 고전독톡(古典讀talk)
토큰 국회의원, 수전노(守錢奴)일까 포관수(抱官囚)일까
지금 코인게이트로 이름을 떨치는 김 아무개가 무슨 방송에 나와서 구멍이 뚫린 운동화를 보여주고 거기 같이 나온 어중이들이 그게 그 사람의 검소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입이 침이 마르게 떠든 적이 있다고 합니다. 그 사람은 라면으로 끼니를 때우면서 산다고 후원금을 달래서 엄청난 돈을 받았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자린고비(玼吝考妣)”라는 한자어에서 ‘자린(玼吝)’은 ‘절인’이라는 말을 음만 따서 한자로 적은 것이고, ‘고비(考妣)’는 지방(紙榜)에 쓰는 말로 돌아가신 부모를 가리킵니다. 그러니까 지방을 기름에 절여서 쓴다는 얘기입니다.
지방은 원래 한 번 제사를 지내면 불에 태워 없애는 것이지만, 이 지방 한 장을 아끼기 위해 기름에 절여 두고두고 쓰는 사람이란 뜻으로 ‘자린고비’라는 용어가 나왔다고 하는데 충주 지방에 전해오는 전설에 등장하는 사람이라고 합니다.
자린고비는 꼭 써야 할 돈조차 쓰지 않는 구두쇠를 말하는 것으로 절약하고 아낀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바로 수전노를 의미하는 말입니다.
오늘날 대한민국에 ‘포관수(抱官囚)’가 너무 많다는 것은 저 혼자의 생각이 아닐 겁니다. 사적인 일도 공적인 일로 만들어 출장비 받아내고 국민 세금으로 온갖 치장을 하고 자산을 불리며, 식구들 밥 먹은 것까지 공공기관 법인카드로 교체해서 돈을 모으니 수전노이고 포관수인 것들이 이 나라를 좀 먹고 있다는 현실을 우리 국민들이 제대로 보고 파악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수전노보다 더 나쁜 것들이 포관수이지만 그 둘을 합친 것들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時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