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SR(Parabolic Stop and Reverse)
파라볼릭지표는 웰리스 윌더가 개발한것으로 시장가격이 추세를 형성하고 움직일 경우 추세진행의 가속력이 떨어지면
추세전환의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을 착안하였다. 그리고 차트상에 나타나는 모습이 포물선 같다고 하여 파라볼릭이라고
붙여진 이름이며 파라볼릭과 가격이 만나는 시점에서 기존의 포지션을 정리하고 반대의 포지션을 취하는 방식입니다.
주가가 상승추세를 보일 경우에는 파라볼릭은 주가의 아래쪽에 표시가 되고
반대로 주가가 하락추세를 보일 경우에는 주가의 위쪽에 표시가 됩니다.
그리고 추세전환 신호가 조금 늦은감이 있으나 확실한 경우가 많고 대부분의 지표가 후행성이 큰 반면 파라볼릭지표는
후행성을 많이 보완하여 장중 시가에서부터 매수신호가 나타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상승추세나 하락추세에서는
유용한 반면 횡보추세에서는 거짓신호가 많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지표값
AF(가속변수 : Acceleration Factor) = 0.02
MaxAf(최대가속변수) = 0.2
가속도는 추세전환일을 0.02로 시작하여 매일 0.02씩 증가하지만 10일이 되면 0.2수준까지만 증가한후 그 이후에는
가속도는 계속 0.2가 됩니다. 이렇게 제한이 되어있는 이유는 주가는 끊임없이 상승을 하거나 하락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후행성을 극복하기 위해 가격변화가 큰 종목은 사용자의 임의로 지표값을 높여 민감하게 만들수 있지만
잦은 매매신호가 나타난다는 단점이 있지만 시황에 따라 적절히 조절을 한다면 유용합니다.
※ 차트 그림에서 화살표는 나오지 않습니다. 설명을 위해 그려 넣은것 입니다.
위의 차트 그림처럼 지표가 형성이 되는데 매수와 매도신호는 아주 간단합니다.
주가의 밑에서 첫번째 파라볼릭 신호가 나타난다면 매수신호로 보고 주가의 위에서 첫번째 파라볼릭 신호가 나타난다면
매도신호 보는데 차트 모습에서 볼수 있듯이 횡보추세보다는 강한 추세가 형성될때 상당히 유용하다는점을 볼수가 있습니다.
첫댓글 생생하게 꿈꾸면 이루어진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아......
모르겠다..-_-;;
가져가서 다시 봐야겠습니다..ㅋㅋ;;;;
캐쉬님 오늘도 잘 보내셨지요?
맛난 저녁 드시고 편안한 밤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