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복(中伏)의 유래*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에 들어 있는 세 번의 절기. 세 번째 복날을 말복이라 한다. 더보기
복은 초복,중복,말복이 있는데 이를 삼복(三伏)이라고 합니다, 초복이 처음 들어 있기 때문에 초복이라고 합니다,
초복은 하지(夏至)로부터 3번째 경일(庚日), 중복은 4번째 경일, 말복은 입추부터 첫번째 경일입니다, 따라서 복날은 열흘 간격으로 있습니다,
그러나 해에 따라서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 간격이 되기도 하는데, 이를 월복(越伏)이라고 합니다, 한번 건너 뛰었다는 뜻이지요, 이때를 '삼복더위'라고 하는 것은 1년중 더위가 가장 심한 때이기 때문입니다,
삼복에는 이 더위를 이기기 위해 산간계곡을 찾아서 청유(淸遊)를 즐기고,보신탕(개장국),삼계탕 같은 자양분이 많은 음식으로 몸을 보신합니다, 또한 더위를 먹지 않고 질병을 예방한다 하여 팥죽을 쑤어 먹기도 합니다,
전라도에서는 밀전병이나 수박을 먹으며, 충청도에서는 복날 새벽 일찍 우물물을 길어다 먹으며 복(福)을 빌었습니다,
또 해안 지방에서는 백사장에서 모래찜질로 더위를 이기고 있습니다,
복(伏)의 유래(由來)를 보면 복은 원래 중국의 속절로 진(秦),한(漢)이래 매우 숭상된 듯 합니다, 이로 보아 삼복은 중국에서 유래된 속절로 추측됩니다, 이열치열이란 말이 있듯이 복중의 뜨거운 음식은 한여름 땀을 많이 흘려 허해진 몸을 보호한다는 의미를 더해서'보신탕'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개를 잡는 일이 곧 복날의 옛 행사이고,지금까지 삼복의 가장 좋은 음식이라 전해 오고 있습니다, 복날과 관계있는 속신으로'복날에 시내나 강에서 목욕을 하면 몸이 여윈다,'는 속설이 있습니다,
이러한 속신 때문에 복날에는 아무리 더워도 목욕을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초복에 목욕을 하였다면 중복과 말복 날에도 목욕을 해야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복날마다 목욕을 해야만 몸이 야위지 않는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