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가(愛國歌)🌿
‘김구 친필’ 애국가 악보 등 문화재 등록예고
🇰🇷 애국가(愛國歌) 🌿
1988년 서울올림픽 개막식에서
비둘기가 날고 성화가 타오른 다음,
애국가가 장엄하게 울려 퍼졌을 때,
이를 보고 있던 서양할머니 한 분이 손수건으로 눈언저리를 닦고 있었다.
왜?
한국 애국가를 듣고
서양 할머니가? 하는 의문이 생김직하다.
이유 없이 울리는 게 없는 법이니까 ...
할머니 나이는 당시엔 70세,
국적은 스페인,
이름은 롤리타 탈라벨라 안.
1936년 8월 1일,
나치 치하의 베를린올림픽 개막식이 끝나고,
일장기를 단 한국선수
김용식, 이규환, 장이진, 손기정, 남승룡
등이 모여 앉아 잡담을 하고 있었다.
그 자리에 재독동포 한 사람이 헐레벌떡 달려왔다.
억센 평안도 사투리로 자신이 지었다는
"조선응원가"를 불러 주겠다면서
구깃구깃한 악보 하나를 꺼내 들고
손짓, 발짓, 고갯짓으로 장단을 맞추어가며 그 응원 노래를 불렀다.
그 조선응원가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 하나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그런 일이 있은 지 보름 후에,
마라톤의 손기정 선수가 제1착으로 경기장 안에 뛰어들자
스탠드 한쪽에서 돌연 이 노래가 흘러나왔다.
서너 명의 재독동포 앞에서
미치광이처럼 두 손을 저으며
지휘하고 있는 이는
바로 보름 전에 조선 응원가를 불러주던
바로 그 젊은이였다.
그 젊은이가 바로 "안익태"였다.
그는 베를린올림픽 두달 전에,
지금 우리가 부르는
"조선애국가"의 작곡을 완성하였고,
올림픽에 조선선수들이 참가한다는 소식을 듣고서
응원가로 임시변통을 한 것이었다.
이 애국가를 짓게 된 동기는 이렇다.
그가 미국 커티스 음악학교에서 작곡을 공부하고 있었을 때,
샌프란시스코의 한국인 교회를 들른 적이 있었다.
그 교회에서 개작하여 부른 애국가 곡조가
이별할 때 부르는 슬프디 슬픈 스코틀랜드 민요였었다.
그래서 슬픔을 이겨내고 희망을 가질 수 있는
애국가 곡조가 절실하다고 생각한 그는
전 세계 40여 개 국가의 애국가를 수집- 비교 검토해 가며,
5년 만에 지어낸 곡이
베를린올림픽 개막식에서
처음 불렀던 바로 그 애국가인 것이다.
1948년 정부수립과 더불어
정식국가(國歌)로 채택되었을 때
안익태는 이승만 대통령에게 이런 펀지를 띄웠다.
"이 애국가는
제가 지은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지어주신 것입니다.
본인은 다만 하나님의 영감을 대행한 것 뿐입니다.
77년 전 나라조차 없이
일본국 명의로 출전한 올림픽 개막식에서 처음 불렀던 그 노래를 ~~
지금은 별세하고 없는 안익태 선생 미망인 롤리타 안 여사가
1988년 서울올림픽 개막식에서 울려 퍼지는 애국가를
어찌 눈물 없이 들을 수 있었겠는가?
개막식의 애국가는 우리 민족 모두가 울먹였어야 했던,
그때와는 본질이 다른 애국가였던 것이었다.
[출처] 🌿애국가(愛國歌)🌿|작성자 까치봉 쥔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