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랭이
깨꿋이 싯어 길이 4cm 넓이 1cm 폭 0.5cm 로 썰어 열풍건조기에서 50도에서 6시간 건조한다.
건조된 말랭이를 이용할 때
찬물에 헹구어 미지근한물에 1시간 정도 담근후 물기를 짜낸다.
간장 1T, 물엿 1T, 고춧가루1T, 다진마늘 1/4T, 들기름 1/2T, 설탕1/2T, 통깨1/2T, 소금1/2T를
섞어 양념장을 만들고 게걸무 말랭이 100g과 함깨 버무린다.
조청
맵쌀 500g, 엿기름 100g, 게걸무 50g(또는 게걸무 분날 10g)
1. 멥싹 500을 50도 물에서 4시간 불린 후 고두밥을 짓는다.
2. 엿기름 100g 에 물 1.25L를 붓고 5분 간격으로 3회 주무른 후 침수 시켜 체에 거른다.
3. 지어놓은 밥과 엿기름 물을 섞어 보온밥솥에서 4시간 당화 시킨후 면보에 걸러 낸다.
4, 채썬 게걸무(또는 게걸무 분말)를 첨가하여 약한불에서 저어가며 1시간 동안 졸인다.
고기양념 소스
게걸무 30g, 간장 2.5T, 설탕 1.5T 배즙1/8C, 다진파,마늘 각1T, 깨소금 1/4T, 참기름, 후춧가루 각1/2T
1. 게럴무를 강판에 갈아서 준비한다.
2. 준비된 모든 재료에 고루 섞는다
냉채용 소스
게걸무 50g, 다시마 국물 4T. 간장 2T, 꿀 1T, 식초 1T, 사과즙 1T, 양파즙1t, 소금 1/2T
1. 게럴무를 강판에 갈아서 준비한다.
2. 준비된 모든 재료에 고루 섞는다
건조 정광
게걸무 200g, 참기름 240g, 물엿 240g, 물 160g
1, 게걸무를 3*3*1cm로 자른다.
2. 냄비에 물 600ml을 부어 끊기 시작하면 준비한 게걸무를 넣고 5분간 데친후 소쿠리에 바쳐
찬물을 끼얹는다.
3, 물엇 240g에 물 160g을 섞어 60%의 당액을 준비한다.
4, 냄비 바닥에 참기름을 바르고 데친무와 당액을 부어 끊기 시작하면 약한불에서 2.5시간 졸인다
5, 졸인 정과를 50도 열풍건조기에서 5시간 건조한다.
국수
밀가루 (중력분)184g, 게걸무 분말 16g, 물 86ml, 소금 3.4g, 알카리제 0.34g
1, 모든 분말 재료를 섞어 반죽기에서 5분간 혼합한다.
2, 물 86ml를 부어가며 5분간 손 반죽 한 후 PE백에 넣어 40분가 숙성 시킨다.
3, 제면기를 이용하여 2*3mm 두께로 면을 제조한다.
------------------------------------------------------------------------------------
-------------------------------------------------------------------------------------
2014년11월 5일 방영된 TV 조선의 '코리아헌터'에서 심한 폐질환을 앓고있으면서 계단 한 개를 올라가기가 힘들고 숨을 깊이 쉴 수 없으며 기침이 너무 심해 주위 사람들에게 금방 죽을 사람같았다는 말을 듣던 심광섭(55)씨의 이야기가 소개됐다.
심씨는 게걸무 씨앗을 볶아 짜낸 게걸무 기름을 마시면서 폐질환이 말끔히 나았고 산을 뛰어다닐 정도로 기력이 좋아졌다. 심씨는 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아본 결과 폐가 극히 건강하고 아무런 질병도 없다는 판정을 받기까지 했다.
수분 함량은
이천 게걸무 87.78%, 강화 순무 92.73% 및 조선무 91.45%로 게걸무가 다른 무에 비하여 낮았다.
조단백,조섬유 및 조회분 함량은
이천 게걸무가 강화 순무와 조선무에 비하여 약 1.7-1.8배, 1.2-1.6배 및 2.0-2.4배 높았다.
식이섬유함량은
이천 게걸무 11.32%, 강화 순무 13.26% 및 조선무 14.20%로 게걸무가 다른 무에 비하여 낮았다.
무기질 함량의 경우,
게걸무의 Mg, K, Ca 함량이 다른 무에 비하여 높았으며
P, Zn, Fe 함량은 다른 무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가수분해 효소로서 소화와 관련된 α-amylase 활성의 측정 결과
이천 게걸무 9.97 unit, 강화 순무 14.87 unit 및 조선무 18.99 unit으로 나타났다. Protease 활성의 경우, 알칼리성은 이천 게걸무와 조선무가 각각 3.02 PU, 3.10 PU의 유사한 수준으로 순무에 비하여 높았고, 산성 protease 활성에서는 게걸무가 가장 높았다.
무의 매운맛 성분 및 기능성 관련 물질로 알려진 myrosinase 활성은 이천 게걸무가 36,990.81 unit으로 강화 순무나 조선무보다 높았다.
결론적으로 이천 게걸무는 강화 순무나 조선무에 비하여 조단백, 회분, 조섬유 및 무기질 중 Na, Mg, K, Ca의 함량이 높고 protease 활성과 myrosinase 활성이 높았다.
[사진-TV조선 코리아헌터 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