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청호 주변에 흐르는 물
금강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신무산에서 발원하여
서해의 군산만으로 유입하는 우리나라 6대 하천의 하나인 금강
유역면적 9.810k㎡
유로연장 3975.25km
남한에서는 한강,낙동강,다음으로 큰 강이다.
금강본류는 장수음의 수분리 원수분천(강태등골)에서 시작하여
진안 고원과 덕유산지역엣 흘러오는 구리향천 (34km) 정자천(30km)등
여러 지류들이 북쭉으로 흐른다
※지류~강의 원줄기로 흘러들어 가거나 갈려 나온 물줄기
전라북도의 북동부 경계지역에 이르러 남대천(44km) 봉황천(30km)과
합류하고 옥천 영동 사이의 충청북도 남서부에서
송천(70km) 및 보청천(65km) 과 합류한 뒤 북서쪽으로 물길을 물길을 바꾼다.
다시 갑천 (57km) 등 여러 지류가 합쳐 충청북도의 부강에 이르러
남서방향으로 물길을 바꾸면서 미호천과 합류하고
공주,부여 등 백제의 고도를 지나 강경에 이르러서는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도계를 이루며 서해로 흘러 들어간다.
금강은 예로부터 비단처럼 아름답다 하여 비단강이라 하였다.
금강은 그 물줄기를 따라 구간마다 여러 이름으로 불리워 왔다.
택리지에 보면 금강의 물근원이 되는 상류지역을 적등강 이라 하고
공주 부근을 웅진강(금강)
그 아래를 백마강
강경강 또 그 아래를 진강으로 적고 있다.
주원천
◀▶위치~기점 대전광역시 동구
대전 동구 비룡동, 신상동,주산동 일대를 흐르는 주원천
주변에는 버드나무 선버들,갯버들이 거대군락을
이루며 자연생태 습지의 기능을 고루 갖추고 있다.
또한 밭과 민가,도로가 인접해있는 주원천에는 물달팽이류가
다른 곳보다 월등히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거머리류,개똥하루살이,깔따구류 등이 다수 서식하고 있다.
수변부에는 경사가 완만하여 오리류나 백로듀가 많이 관찰된다.
금강 권역의 금강 수계에 속하는 주원천은 금강의 제1지류로
국가하천 지방2급하천으로 나누어져 있다.
지방2급하천은 동구 세천동 305번지선에서 시작하여
세천동과 신상동 부근 경부고속도로의 신상교에서
국가하천으로 바뀌며 동구에서 금강과 합류한다.
주원천 전 구간은 상수원수 1급자연환경보전 대상으로 보호되고 있다.
서화천(소옥천)
★위치~기점 충청북도 옥천군 군서면 상지리 충청남도 계 (종점) 금강합류점
옥천군 군북면 환평리 지오리 일대를 적셔주는
서화천은 금강의 제1지류로 국가하천 지방2급하천으로 나누어져있다.
대청호로 흘러들어가는 상류하천으로서 지방2급하천은
옥천군 군서면 은행리에서 흐르기 시작하여
군북면에서 국가하천으로 바뀌며 이후 군북면에서 금강과 합류한다.
서화천 삼거교 부근에는 길쭉하루살이, 개똥하루살이.명주각다위,
깔따구류,줄날도래 등이 다수 서식하고 있다.
●현재 소옥천으로 불려지고 있으나
대동여지도에 따르면 서화천이 바람직한 표현으로 보임
등동천
▶위치~기점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등동리 남이면 계 (종점)품곡천합류점
청원군 문의면 두모리,품곡리,덕유리,미천리 도원리 일대를 유유히 흐르는
등동천은 수량이 비교적 적은 편이며,품곡교 아래에는
왼돌이물달팽이.개똥하루살이.등줄하루살이.깔따구류,
줄날도래류,애날도래 등이 다수 서식하고 있다.
구룡산과 양성산이 주변에 위치해 있으면,
등동천 주변으로 작은 모래톱과 초지가 잘 형성되어 있다.
품곡천
◆위치~(기점)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노현리 전 17번지(종점)금강합류점
노현리 주변을 흐르는 품곡천은
금강의 제1지류로 국가하천 지방 2급 하천으로 나누어져 있다.
지방2급 하천은 청원군 문의면 노현리에서 시작하여
문의면 509호 지방도 선상의 노현교에서 국가하천으로
바뀌어 흐르다가 문의면에서 금강과 대청호로 흘러든다.
대청호에 근접한 하천이나 최근 유량이 부족하여 농사철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품곡천 노현교 일대에는 논우렁이,
다슬기.물달팽이류,개동하루살이.등줄하루살이, 어리장수잠자리
깔따구류,줄날도래류,애날도래 등이 석식하고 있으며
노현저수지에는 물이 맑고 주변의 숲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인근 경작지에서는 오리농법 등을 이용한 친환경농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묘암천
♠위치~기점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마동,보은군 계 (종점)금강합류점
청원군 문의면 신덕리,문덕리,묘암리.염티리 일대를 끼고 도는
묘암천은 주변에 오염원이 없는 상당히 깨끗한 수계로 알려져 있다.
호박돌 크기 이상의 돌이 많고 자갈이 많은 평지천인 묘암천에는
다슬기 ,애호랑하루살이, 납작하루살이류(물살이 빠른 청정수역에만 서식)
깔따구류, 줄날도래류 등이 서식하고 있어 청정하천임을 입증하고 있다.
대부분 가족단위 피서객이 많이 오고 청주 등지에서 많이 찾고 있는 묘암천,
보은 회북면 마동리 입구를 촉촉이 적시는 그곳의 가을은 단풍이
맑은 물과 어우러져 한폭의 산수화를 연상케 한다
계곡을 끼고 도로가 나 있어 교통이 편리하여 차량행렬이 줄을 잇고
시간마다 시내버스가 다녀 나름대로 교통이 편리하다.
용호천
◆위치~기점 대전광역시 대덕구 용호동 장동 540 (종점)금강합류점
대전 대덕구 용호동 일대를 촉촉이 적셔주는
용호천 일대에는 대부분 국화과 식물이 거대군락을 이루고 있는
가운데 왕포아풀,소리쟁이.다닥냉이.말냉이.서양민들레.
토끼풀.달맞이풀,개망초,방가지똥 등 다양한 하천식생이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갈참나무군락,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등 낙엽활엽수림과 상수리나무, 리기다소나무 혼효림
리기다소나무 식재림 등이 많이 보인다.
대청호 조정기댐 하부에 위치한 용호천 주변에는 밭과 민가.
음식점 등 점오염원이 분포하고 있어 집약적인 하천관리가
시급한 가운데 등줄하루살이.등딱지하루살이 등이 많이 서식하고 있다.
회인천
●위치~기점 충청북도 보은군 회북면 쌍암리.내북면 계(종점)신대교
보은군 회남면 금곡리,신추리,신대리,죽암리 일대를 끼고
도는 회인천은 금강의 제1지류로 국가하천과 지방2급하천으로
나누어져 있다.
회인천 죽암교 일대에는 플라나리아,개똥하루살이.점박이부채하루살이
먹파리류,깔따구류,날도래류 등이 다수 서식하고 있다.
보은군 회북면 갈티리에서 지방2급하천이 시작되는
회인천은 회북면 신대리 신대교에서 국가하천으로 바뀌어
회남면에서 금강으로 흘러듣다.
금강 지류로서는 유일하게 1992~1994년 동안 하천휴식년제에
의해 보호되었고 회인천 하류인 대청호 회남수역에는
수질정화를 위한 인공 수초섬이 2.500㎡ 규모로 조성되어 있다.
수처섬 주변에는 부교를 세워서 학생들의
자연생태학습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호점산성으로 들어가는 입구의 회인천 지류 일대에는
갈대와 버드나무 등이 어울어진 유휴지가 넓게 발달해 있다.
가산천
※위치~기점 충청북도 보은군 회남면 노성리,
옥천군 안내 낭내면 계(종점)금강합류점
옥천군 안내면 답양리 가산천 일대에는 플라나리아,
대륙뱀잠자리,명주각다귀 등이 특히 많이 서식하고 있으며
개똥하루살이,두점하루살이.깔따구류,줄날도래류 등이 많다.
보천청
▶위치~기점 충청북도 보은,충북,옥천 (종점)금강합류점
옥천군 청성과 청산면을 휘돌아 안남면 지수리 상류인 상금에서
금강과 합류하는 보청천 잠수교 쥐위에서 양수장 앞까지는
언제나 강태공들이 북적인다.
피라미.메기,버들치.미꾸라지 등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지니고 있다.
안내천
♣위치~기점 충북 옥천군 안내면 방하목리,보은군 수한면 계(종점)금강합류점
37번 도로와 575번 간선도로가 만나는 지점의 옥천군 안내면 현리.
인포리 일대를 유유히 흐르는 안내천 주변에는 선버들,갯버들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하류지역의 습지는 대부분이 경작지로 개간되어 있으며
물억새와 억새가 여러곳에 산재하고 있다.
초지가 넓게 형성되어 있어 곤충들이 생육하기 접합한 환경이며
낮은 초지는 대부분 밭으로 이용되고 있다.
주변 산지에는 인삼이 경작되고 있고 잡목림 주변 무덤가 주변에는
끈끈이대나물 ,뽀리뱅이.지칭개.엉겅퀴,주름잎,개미취 등이 많다.
※산재 ~여기저기 흩어져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