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협회 홈페이지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변압기 및 계기용 변압기의 교체시기가 법적으로 정해저 있지는 않습니다.
전력기기별 점검주기 및 교체시기
자료출처 : LG산전[일본 전기전설공업협회/전기학회]
주요기기 |
정기점검 주기년수 |
정기 점검 |
교체추천시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특별 |
보통 |
정밀 |
가스절연개폐기 |
|
|
|
|
|
○ |
|
|
|
|
이상차단 |
6년 |
12년 |
20~25년 |
고,저압배전반 |
○ |
|
○ |
|
○ |
|
○ |
|
○ |
|
- |
2년 |
- |
15~20년 |
감시반,계전기반 |
○ |
|
○ |
|
○ |
|
○ |
|
○ |
|
- |
2년 |
- |
15~20년 |
OCB |
|
○ |
|
○ |
|
◎ |
|
○ |
|
○ |
이상차단 |
2년 |
6년 |
15~20년 |
TCB |
○ |
○ |
○ |
○ |
◎ |
○ |
○ |
○ |
○ |
◎ |
이상차단 |
1년 |
5년 |
15~20년 |
VCB |
|
|
○ |
|
|
◎ |
|
|
○ |
|
이상차단 |
3년 |
6년 |
15~20년 |
GCB |
|
|
○ |
|
|
◎ |
|
|
○ |
|
이상차단 |
3년 |
6년 |
15~20년 |
ACB |
|
|
◎ |
|
|
◎ |
|
|
|
|
이상차단 |
- |
3년 |
15~20년 |
VCS |
|
○ |
|
◎ |
|
○ |
|
◎ |
|
○ |
잦은개폐 |
2년 |
4년 |
10~15년 |
누전차단기 |
○ |
○ |
○ |
○ |
○ |
○ |
○ |
○ |
○ |
○ |
- |
1년 |
- |
10~15년 |
특고단로기 |
|
|
○ |
|
|
◎ |
|
|
○ |
|
- |
3년 |
6년 |
15~20년 |
기중부하개폐기 |
|
|
○ |
|
|
◎ |
|
|
○ |
|
- |
3년 |
6년 |
10~15년 |
전자접촉기 |
|
|
◎ |
|
|
◎ |
|
|
◎ |
|
잦은개폐 |
- |
3년 |
10~15년 |
배선용차단기 |
○ |
○ |
○ |
○ |
○ |
○ |
○ |
○ |
○ |
○ |
- |
1년 |
- |
10~15년 |
피뢰기 |
○ |
|
○ |
|
○ |
|
○ |
|
○ |
|
- |
2년 |
- |
10~15년 |
유입형변성기 |
○ |
|
○ |
|
○ |
|
○ |
|
○ |
|
- |
2년 |
- |
10~15년 |
콘덴서PT |
○ |
|
○ |
|
○ |
|
○ |
|
○ |
|
- |
2년 |
- |
15~20년 |
몰드형변성기 |
○ |
○ |
○ |
○ |
○ |
○ |
○ |
○ |
○ |
○ |
- |
1년 |
- |
15~20년 |
전력용Fuse |
○ |
○ |
○ |
○ |
◎ |
○ |
○ |
○ |
○ |
◎ |
차단발생 |
1년 |
5년 |
7~10년 |
전력용콘덴서 |
○ |
|
○ |
|
○ |
|
◎ |
|
○ |
|
- |
2년 |
7년 |
10~15년 |
유입변압기 |
○ |
○ |
○ |
○ |
○ |
◎ |
○ |
○ |
○ |
○ |
- |
1년 |
6년 |
15~20년 |
몰드변압기 |
○ |
○ |
○ |
○ |
○ |
◎ |
○ |
○ |
○ |
○ |
- |
1년 |
6년 |
15~20년 |
보호계전기 |
|
○ |
|
○ |
|
◎ |
|
○ |
|
○ |
- |
2년 |
6년 |
10~15년 |
특고압모선 |
○ |
|
○ |
|
○ |
|
○ |
|
○ |
|
- |
2년 |
- |
15~20년 |
1. 위의 표와 같은 교체 추천시기는 정밀점검 주기를 계획적으로 수행했을 경우의 년수 이며, 주기적 점검관리의 미흡으로 발생되는 기기의 열화적 잔존수명은 매우 급격히 떨어집니다.
2. 결론적으로 기기의 잔존수명도 사용상황과 환경에 따라 크게 좌우됩니다. 현실적으로 전력시스템 및 기기에 대한 유지 관리에 한계가 있고, 전력시스템의 효과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므로 그 잔존 수명은 위의 표보다 현저히 떨어짐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점검구분 : 보통점검(○), 정밀점검(◎)
전기기기 정기점검주기 및 갱신 추천시기
기기명칭 |
정기점검 주기년수 |
점검설명
|
정기점검 |
갱신추천시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순시 |
보통 |
정밀 |
진공전자첩촉기
(VCB) |
|
|
○ |
|
◎ |
|
|
○ |
|
◎ |
|
○ |
3년 |
5년 |
20년 |
저압교류전자접촉기•개폐기 |
|
|
○ |
|
|
○ |
|
|
○ |
|
|
○ |
3년 |
- |
10년 |
피뢰기 |
○ |
|
○ |
|
○ |
|
○ |
|
○ |
|
|
○ |
2년 |
- |
20년 |
유입계기용변압기•변류기 |
○ |
|
○ |
|
○ |
|
○ |
|
○ |
|
|
○ |
2년 |
- |
20년 |
콘덴서형PT(PD) |
○ |
|
○ |
|
○ |
|
○ |
|
○ |
|
|
○ |
2년 |
- |
20년 |
계기용변압기
(몰드형) |
○ |
○ |
○ |
○ |
○ |
○ |
○ |
○ |
○ |
○ |
|
○ |
1년 |
- |
20년 |
계기용변류기
(몰드형) |
○ |
○ |
○ |
○ |
○ |
○ |
○ |
○ |
○ |
○ |
|
○ |
1년 |
- |
20년 |
전력퓨즈 |
○ |
○ |
○ |
○ |
○ |
○ |
○ |
○ |
○ |
○ |
|
○ |
1년 |
- |
10년 |
전력콘덴샤 |
○ |
|
○ |
|
○ |
|
◎ |
|
○ |
|
◎장기휴지시 |
○ |
2년 |
- |
15년 |
유입변압기 |
○ |
○ |
○ |
○ |
○ |
○ |
○ |
○ |
○ |
○ |
|
○ |
1년 |
- |
25년 |
건식몰드형변압기 |
○ |
○ |
○ |
○ |
○ |
○ |
○ |
○ |
○ |
○ |
|
○ |
1년 |
- |
25년 |
건식H종변변압기 |
○ |
○ |
○ |
○ |
○ |
○ |
○ |
○ |
○ |
○ |
|
○ |
1년 |
- |
20년 |
활선정류기 |
○ |
○ |
○ |
○ |
◎ |
○ |
○ |
○ |
○ |
◎ |
◎절환개폐기포함 |
○ |
1년 |
5년 |
10년 |
부하시 탭절환장치
(절환개폐기) |
|
|
|
|
◎ |
|
|
|
|
◎ |
◎정격통과전류구분은 절환회수의 세밀점검
주기와 다를수 있다 |
○ |
- |
5년 |
20만회 |
부하시 탭절환장치
(탭선택기) |
|
|
|
|
|
|
|
|
|
|
|
- |
- |
- |
80만회 |
부하시 탭절환장치
(조작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1년 |
5년 |
25년 |
유입리액터 |
○ |
○ |
○ |
○ |
○ |
○ |
○ |
○ |
○ |
○ |
|
○ |
1년 |
- |
25년 |
보호계전기 |
|
○ |
|
○ |
|
◎ |
|
○ |
|
○ |
|
- |
2년 |
6년 |
15년 |
직류전원장치
(충전기) |
○ |
○ |
○ |
○ |
◎ |
○ |
○ |
○ |
○ |
◎ |
|
○ |
1년 |
5년 |
10년 |
직류전원장치(전지) |
○ |
○ |
○ |
○ |
○ |
○ |
○ |
○ |
○ |
○ |
|
○ |
1년 |
- |
10년 |
케이블 |
|
|
|
|
|
|
|
|
|
○ |
|
○ |
10년 |
- |
20년 |
전력기기별 교체주기 및 점검사항
자료출처 : LS산전
MCCB의 취급 및 보수
• 초기점검
배선용차단기, 누전차단기를 설치한 후, 통전을 실시하기 전에 아래 사항을 점검하여 주십시오.
기종 |
점검항목 |
판정기준 |
공통 |
1. 단자주위에 나사, 가공물, 전선의 절단물 등
도전물이 남아있지 않을 것 |
완전히 제거할 것 |
2. Cover, Case에 균열, 파손이 없을 것 |
균일, 파손이 없을 것 |
3. Cover, Case 단자부에 결로가 없을 것 |
결로가 없을 것 |
4. 500V 절연저항계로 절연저항을 측정할 것 |
5㏁ 이상 |
5. 도전접속부가 확실하게 체결되어 있을 것 |
규정체결 Torque인 것 |
누전
차단기 |
6. 누전차단기의 정격전압과 회로전압은 동일 |
동일인 것 |
7. 전압을 인가하여 테스트 보턴을 눌러 동작을 확인할 것 |
누전차단기가 Trip될 것 |
• 교체주기(제품수명)
보수․점검에 있어서는 차단기의 설치환경에 따라 점검이 필요합니다.
단, 차단기의 수명은 사용년수에 의해 결정되지 않습니다.
전문가의 진단이 필요하며, 대체적으로 아래의 주기정도를 요합니다.
정도 |
환경 |
구체적인 예 |
교환주기 |
표준사용상태 |
청결하고 건조한 장소 |
방진,공조가 된 전기실 |
약 10~15 |
실내에 먼지는 있으나 부식성 가스가 없는 장소 |
방진,공조가 안되는 개별전기실의 배전반 |
약 7~10 |
열약환경 |
아황산, 유화수소, 염분, 고습 등 가스가 |
지열발전소, 오수처리장, 제철, 제지 |
포함되고 먼지가 적은 장소 |
펄프공장 등 |
약 3~7 |
부식성 가스. 먼지 등이 특히 많은 장소 |
화학약품공장, 채석장, 광산 등 |
약 1~3 |
• 점검사항
점검사항 |
점검요령 |
조치사항 |
단자나사의 풀림 |
• 단자 나사, 전선조임 나사등이 풀리지 않았나 확인한다.
• 표준공구를 사용할 것 |
• 나사의 재질 및 크기에 대한 규정 토크로 조일 것 |
먼지 |
• 배선용차단기의 표면, 특히 전원측 표면에 먼지, 기름 등이 쌓여있나 확인한다. |
• 클리너로 먼지를 제거하거나 헝겊으로 닦아낸다.
• 중성세제(부식성세제 사용금지)사용 |
개폐 |
• 상시 폐로된 차단기는 수회 개폐하여 그리스의 경화등에 따른 마찰증가를 방지한다.
• 접점의 약동작용에 따른 접촉저항을 안정시킨다. |
• 개폐가 유연하지 않은 것은 교체 또는 보수 |
절연사항 |
• 500V 절연저항계로 상간 및 대지간의 절연저항을 측정한다.
• 도체는 외측에 측정한다. |
• 5㏁이하의 것은 원칙적으로 신품과 교환하고 저항이 저하된 원인을 조사한다. |
정비기준 및 내용년수.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