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성이씨 각파의 분파 및 세거지
*고향을 갖는다는 것은 꿈을 갖는 것을 의미하고, 자긍심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백년 계속 살아온 한 가문의 세거지를 갖는다는 것은 더욱 그러할 것이다. 광산김씨는 김효로가 예안 오천에 입향한 이후 안동댐의 건설로 삶터를 옮기지 않을 수 없게 된 때까지, 5백년 가까운 기간을 세거하여 살아왔다. 안동댐의 건설은 그들의 6백여년 세거지를 물 속에 묻어버리게 한 것이다. 고향을 물 속에 묻어두고 집과 삶터를 옮겨야 하였던 그들의 마음은 어떠하였을까? 그러한 마음의 일단을 {오천 군자리}의 간행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감상적인 글귀로 표현하여 준다. "사람은 누구에게나 고향이 있다. 눈을 감으면 언제나 고향은 더욱 정겨운 환상으로 나타난다. 왜 그런지 고향은 항상 우리의 머리 속에서 사라지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는 바로 우리가 사람이기 때문이다. 어린 시절 부모 조상의 그늘에서 자랄 때부터 우리가 보고 듣고 느끼는 것이 모두 뼈에 사무쳐 있고, (우리가) 머리 속에(그런 것들을) 깊이 새기며 성장했기 때문이다."
오래 몸에 익은 것을 우리가 소중하게 생각하고 아끼는 것은 비단, 그것이 가치를 지니기 때문만은 아니다. 어쩌면 이 말은 옳지 않은 것일런지도 모른다. 가치라고 하는 것은 저 혼자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들의 정서가 만들어내는 추상일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래 우리 몸에 익고, 우리가 그것과 정서적으로 연계되어서 떨어지고 싶지 않은 것이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가치 있는 것이 아닐 수 없기 때문이다. 어쨌든 내가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은 바로 이것, 가치란 대상으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정서로부터 오는 것이라는 말이다. 그러므로 5백여년 동안 대를 이어서 살아오던 고향은 물 속에 묻어 버렸다고 하더라도,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건물들이나마 어딘가로 옮겨서라도 보존하고자 하는 것은 당연한 생각일 것이다. 그러한 노력은 오늘날 우리가 볼 수 있는 오천 군자리, 오천 문화재 단지의 모습으로 귀결되었다고 하겠다.(오천 외내 군자리/농암종택 긍구당/안동시내 향산고택 치헌고택 영남대 의인정사/정재종택/해평 일선리/지례예술촌)
1세 이석(李碩) 진보 李村 衙前 감람 明堂 說話
2세 이자수(李子修) 홍건적 격파(공민왕 1361년) 松安君 풍산 마애 移居 주촌(두루) 移居
이자방-후평파
3세 2子 이운후(李云候/ 안동 권희정女) 주촌 정착/
伯兄 李云具 참의공파-동막파(삼척시 근덕면), 은풍파(예천 하리면 은산리),
생현파(영주 안정면), 병방파(의성 단촌면),국란파(안동 임동면),답곡파로 분파
4세 이정(李禎 불천위-선산도호부사, 안동 김씨) 세종시대 압록강 유역의 4군을 개척한
최윤덕 장군과 함께, 향나무 3그루(두루, 온혜, 선산 사위 박씨)
5세 3子 溫惠 老松亭 진성군 이계양(李繼陽 불천위)(1422- ) 端宗 節義 國望峰,奉化訓導 스님이 온혜 터 점지 移居-英陽 金有庸女/
伯兄 李遇陽 주촌파(두루파)는 연곡파,번곡파,일직파,정자동,사곡파,구로동파(9세 이형남),
호동파로 분파/주촌파 9세 이희안,10세 송간 이정회 낙금헌 이정백(임란 의병장)/
일직파 10세 이봉춘-학봉의 매부,문과, 17세 후산 이종수(湖門3老 불천위)
仲兄 李興陽 망천종파(마애파) 항곡파 양현파로 분파-이돈, 이희보 우율문묘종사 찬성
6세 이식(李埴, 1462-1501) 進士,
文科한 의성김씨 김한계女 장모 영양 남씨로 부터 書冊을 기증 받음/
춘천 박치女(함양박씨 금당실 입향조 박종린의 고종)
2弟 李우(1469-1517 불천위)송당파(송재파)-서벽파 18세 이계로(文이판)/반초당파 이명익(文관찰사 불천위),도연파(8세 결 女정경세),고산파, 녹동파 이동표(文 나은 충간공 불천위)
7세 1子 잠潛의 외손자 권호문-8세 인 무후/
2子 이하(李河, 醴泉訓導 처가 금당실 寓居/함양 박심女) 온혜종파는 동현파 노곡파 이곡파 지동파 여포파 석교파 봉현파 저전파 지계파/백송파 화산파 분동파 개현파 죽류파 우포파/원고파 대곡파 부곡파 월전파 입석파 영양파 금곡파로 분파
3 이의漪 대죽파(외가인 옛 용궁현 現예천 지보면 대죽리) 외손자 동리 김윤안
4 백당파(온계파) 이해(온계 정민공 대사헌 불천위)-8-3원암파 8-5감천파 8-5-2신당파 8-5-2 10세 노목파 8-5-9세3신천파 8-5-9세5공문파로 분파
5 옥천파 신야공파(충북 영동군 학산면 세거)영동파 도연파 선산파 거창파 동간정파로 분파
6 이황(불천위,문순공 퇴계) 상계파(섬촌파 11세 이성철,12세 의인상계파 항곡파 칠창파,
이천파로 분파/13세 이수연,17세 이휘녕,18세 이만손)
하계파(9세 동암 이영도 불천위,16세 이야순,이태순 병참,이가순,17세 대사성 이휘준,18세 이만도,19세 이중언)
단사계남(11세 이극철 16세 이언순 이참,17세 이휘정 해좌전도,18세 이만운 이참)
원촌파(12세 원대처사 이구 15세 이귀운 형참 16세 이효순 판의금 21세 이육사 형제들)
단사대사파(12세)로 분파됨/ 오적파
**世와 代; 시조 21대손=시조 22세손=퇴계 15대손=동암 13대손(하계파 경우)
***안동지역의 불천위(종택 집성촌 불천위 서원)
진성이씨;주하리 두루 부사공 이정/온혜 노송정 이계양/옥정동 송재 이우/온계 이해/
상계 퇴계 이황/하계 동암 이영도/원천 반초당 이명익/일직 송리 후산 이종수/녹동 이동표
영천이씨;분천 농암 이현보/녹전 원천 간재 이덕홍
횡성조씨;월천 조목/ 봉화금씨;부포리 성성재 금란수
광산김씨;오천리 후조당 김부필/계암 김령//가구리 유일재 김언기
흥해배씨;도목-송천 임연재 배삼익
풍산유씨;입암 유중영,겸암 유운룡,서애 유성룡,귀촌 유경심,파산 유중엄
풍산김씨;오미 유연당 김대현/김간(1.허백당(11세,휘 양진) 2.유연당(14세,휘 대현)
3. 망와(15세,휘 영조,봉화 오록) 4. 학사(15세,휘 응조,봉화 오록)
5. 죽봉(18세,휘 간) 6. 노봉(18세,휘 정, 봉화 오록)
의성김씨;천전(내앞) 청계종택 김진/귀봉종택 운천 김용(퇴계 손서)/ 빗골 재산 김성탁/
금계 학봉 김성일/귀미 구와 김굉
전주유씨;박곡-해평 용와종택 유승현/마령-해평 호고와 유휘문/고천-해평 백졸암 유직/
수곡 정재 유치명/주진리 삼산 유정원
한산이씨;망호리 수은 이홍조/대산 이상정
안동권씨;가곡리 병곡 권구/임하 이우당 권환/와룡 가야리 늪실 권징/이상리 송소 권우
안동장씨;금계 경당 장흥효/ 원주변씨;금계 간재 변중일
진주하씨;서후 교리 하위지/ 안동김씨;길안 묵계 보백당 김계행
예안이씨;풍산 하리 나졸재 이산두/ 능성구씨;와룡 지내리 구봉령
청주정씨;와룡 태리 말바우 죽헌 정두木+斗/법흥동(탑골) 고성이씨 임청각 이후영
주승택,2002,‘안동문화권 유교문화의 현황과 진로 모색’,
안동학연구 3, 401-408,한국국학진흥연구원
소산(115가구,종택, 벼슬 과거/선원 청음 장동김씨 정승 15명,판서 50여명)/
망호리 소호헌 달성 대구서씨/마애파(이회보,우율 문묘종사 찬성)
/봉화 법전 춘양 진주강씨 노론13 소론12/
별실 우망 동래정씨(지보 정묘-정사孫 정광필孫 정유길外孫김상헌/정승만 12명/회동정씨)
하회의 류상조(柳相祚1763-1838, 병조판서), 의성산운의 이희발(李羲發1768-1849, 형조판서), 이효순(李孝淳1789-1878, 형조판서) 성주한개의 응와 이원조(李源祚 1792-1871, 공조판서), 상주우천의 낙파 유후조(柳厚祚 1798-1876, 공조판서, 좌의정)
경상도 양반의 기준; 퇴계문인,문집,의병,불천위,과거 벼슬
혈연 지연 학연 통혼 세거지 불천위사당 서원 재실
내앞김씨,검제김씨,닭실 가일권씨,하회유씨(혈연 성씨+지연 고향마을/학통/통혼 관계망)
하나 밖에 없는 목숨을 나라 위해 바치신 분.
오직 학문발전과 후학 양성을 위해 일생을 헌신하신 분.
백성 위한 현실정치에 고견을 반영코자 주저없이 나아가신 분.
제1자는 의병.의사.열사.지사.투사요
제2자는 선비.처사.선생.학자요
제3자는 공복.관료.대관이니, 판서대감 참판영감 당상관 통정대부/당하관 통훈대부나리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벼슬 높이한 제3자가 으뜸으로 기억되고 있다.?
고려 후기 13세기 후반부터 도입된 한국 성리학 사림파의 학통계승은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계승 발전되어 왔다. 1600년까지 전국 유림의 합의에 따라 문묘에 배향된 9현 중 8현이 경상도 출신임이 이를 웅변하고 있다. 1871년 신미년에 훼철되지 않고 존치된 47개의 서원 사우 중에서 서원은 26개인데 그 중 9개가 경북지역에 집중되어 있는데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서원과 종가와 집성촌이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경북지역을 학통계승과 서원에 배향된 인물을 중심으로 문화권역을 구분하였다. 한국 유학의 학통계승을 영남지역 중심.
<표 1> 한국 유학의 학통 계승(학맥)
설총(경산)-최치원(경주)-안향(순흥)-우탁/백이정 권보(안동)-이제현(경주)-
이색(외가 영해) 이색-정몽주,이숭인,길재/정도전,권근
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정여창,김일손,손중돈-조광조, 이언적--이황
김성일-장흥효-이휘일현일-이재-이상정-남한조-유치명-김흥락 김도화이상룡유인식
류성룡-정경세-류진-류원지-정도응-박손경-정종로-류심춘-류주목-허훈,허유
-이원조-이진상-곽종석 이승희-김창숙
정구 장현광-장경우-장응일-장벽-장대림,장대열-장주-장복추-장석영,장지연
-허목-이하진-성호 이익 右派 안정복-황덕길-허전-허훈,허유-장지연
안정복-신경준-정상기-최한기-김정호/지리지 편찬 전통/이익-이가환, 이중환
성호 이익 左派-권철신-정약용
정구-이윤우-이도장-이원정,원록-이담명,이한명-(김성탁-김낙행)-이만운
조목-권익창,김택룡,권위,정윤해,이순도,이영도,김해,유종개,배용길,금경,금업,
금개,임흘,조우인,이광윤,김중청,신달도
1.김종직 제자;김굉필 정여창 김일손 조위 표연말 유호인 이종준,정붕-박영-김취문
2.영남사림파(김종직); 신분내혼 지역내혼이나 1650년까지는 자녀균분상속제,
처가살이(솔서혼제)-정몽주,김종직,김굉필,이언적,김성일,유복기/ 자녀윤회봉사,외손봉사/異姓雜居村(외손 사위)/
1498년 무오사화 1504년 갑자사화, 1519년 기묘사화 1545년 을사사화로 붕괴
영남학파(퇴계 이후); 적장자 위주 상속, 가부장제도 정착, 친영, 세거지 중심
동성마을 형성, 입향조 현조 중심 문중 형성/안동 64종가,47위의 불천위가 존속(유림 문중 公議 불천위가 많음-정경,공신,학행/소종가 문파 형성)
1608년 북인정권-1623년 인조반정 서인 남인 연합(국혼 산림 중시)정경 정2품 이상 2명, 종2품 4-5명-1659년 기해예송-1674년 갑인예송(이현일 조덕린 김성탁 김방걸 유세철 이원정)-1680년 경신대출척-1689년 기사환국-1694년 갑술환국-1722년 임신년-1728년 무신란(이인좌 정희량)-1776년 정조-1801년 세도정치
낙동강 낚시,미꾸라지(鰍老추노);川金錚錚 河柳靑靑/1738년 안동 서간서원(김상헌)
독립투쟁;김도화 이만도 유인식 김동삼 이상룡/ 김재봉 권오설 김남수/
곽종석 전우 도통 고수
전주유씨 참판 이하 문과 10명, 문집 77인
불천위제사, 서원 향사 강회를 통하여 결속 강화(재실 문중 시사)
1.학통 계승의 유형
1)혈연;친손이나 외손을 중심으로 전승된 경우(장흥효-이현일-이상정-유치명/가학-
상계파,하계파,서애파,수암파,우복파,청계 학봉 무실 닭실)
2)지연;지역적 인접성(안동 동북부 남부/풍산 예천 문경 상주/성주 칠곡 인동)
3)통혼;조정(학봉 질서),조익(병파)/김영조(학봉 사위)과 김봉조,김응조
2.세대별 퇴계 제자들
1김성일 유성룡 정구 조목
2장흥효 김용 유복기/정경세 이준 전식 김응조 김윤안 장현광 허목 김해 유종개
3이시명 김시온 이명익/유진 유원지 신석번 홍호 정영방장응일 이도장
4이현일 김방걸 김학배 이동표/유세철 김건 김정 권징 장벽 이익 이원정
5이재 김태중 권두인 조덕린 유승현/유후장 박손경 최홍원 권구 장대림 안정복 이담명
6이상정 김성탁 권만 조운도 유정원/유성화 정종로 최홍립 이상진 황덕길
7남한조 김낙행 유장원 김종덕 이종수/유규 유심춘 이원조 조목수 장주 허전
8유치명 김양운 유건휴 이야순 이가순/유이좌 유주목 이진상 조상덕 장복추 허훈 이만운
9김흥락 김도화 유필영 이휘재 권연하/유도휘 유도성 곽종석 이승희 장석영
10이상룡 김병종 유인식 이만도 김경락/이병헌 하겸진 조긍섭 권상규 김창숙 김황
3.학봉파 학맥 계승
1)가학(학봉-김용-김시온-김방걸 김학배-김성탁-김흥락),내앞 지례 금계 귀미 해저
2)외손(장흥효-이현일-이재-이상정-유치명) 석보 인량 안망실 무실 박실
3)통혼; 전주 유씨 가학(유복기-유직-유승현-유정원-유장원-유치명-유필영-유인식),
김영조 최현 신지제 하계파
4)지역적 인접성;망호리(이상정-이재의 외손자,고조부 이홍조는 서애 외손자이나 호파)
김종덕(이상정 제자,서애가 9대조 송은 김광수 외손자이나 호파),닭실
4.서애파 학맥 계승
1)가학(하회;유원지-유세철-유후장-유성화-유규-유이좌-유도휘/상주 우천 수암파;
유진-유천지 유백지...유심춘-유후조-유주목-유흠목)
2)수제자 가학(정경세-정도응-정종로-정상진 정상리)
3)상주목사 때 제자;이전 이준 전식 조익(조정은 학봉 질서라서 호파)
4)지역적 인접성;가일(권구 유원지의 외손자 병파),구담 순천김씨 김윤안(화천서원 종향)
오미 오록(김응조,김정 김간 김건 김두흠) 우릉골 예안이씨
6.병호시비
1620년 여강서원 퇴계 왼쪽 배향 위차문제, 우복 정경세가 판정
1805년 영남4현 문묘배향 상소 순서/ 1812년 대산 이상정 호계서원 배향문제
屛派;개성고씨(산양 녹문),안동권씨 화산파(가일),선성김씨(무섬 우금),순천김씨 김윤안(구담),풍산김씨(오미 오록) 하회 우천,우복 정경세,선성이씨 고산파(상리),회재파(양동) 옻골
虎派;의성김씨(내앞 지례 금계 귀미 해저),전주유씨(무실 박실 대평 삼산),광산김씨 후조당파(외내),안동김씨 보백당파(묵계),상락김씨 송은파(사촌),경주손씨 우재파(양동) 풍양조씨 검간파(승곡 운평),전주최씨 인재파(해평)
비병비호;상계파, 한양조씨 호봉파(낙남세력,검남,3불차,양력)
7.집성촌(세거지, 동성촌락)
해저 김우굉 김성구-김여건-김경온-김진동 김한동-김희문 희락-김재전-김우수 김건수-김창숙
닭실 권벌 권동보 동미-권채 권래-28斗권두인 두경 두기-권보 권만 권모-권정택-연하 세연
예안 부포 금보/금난수-금개,금업,금경-금성휘 성규-금시술 서술//외내;금응협 응훈
분천 이현보-이원승,이중량 숙량,이덕홍-이시,점-이영전-이상흡-이시양-이규헌-이세강이긍연
상계 이안도-이성철-이수연,이집-이수홍,이귀석,이귀응,이세윤-이지순 이동순-이휘녕-
이만각 이만손-이중철 이중균 이상호 이가원 이원영
하계 이영도-이세관 이세항 이세사 이수강-이귀서 이귀성 이귀경-이야순 이가순 이태순
이언순-이휘준 이만인-이만도-이중업 이병호 이화성-이탁-이윤덕
무실 유복기,복립-유직,유정휘-유승현,관현-유정원-유도원 장원,범휴-유건휴,정문 휘문,
유치명-유치호 치엄,긍호,유필영-유인식
내앞 김용-김시온,김임,김근-김방걸,김학배-김세흠,김창석,김태중-김성탁-김정한,김도행-
김회운 호운 양훈-김대진 김건수 김홍락 김헌락-김경락 김형모 김동삼 김시락-김병구
하회 유진-유원지-유의하 유세철 유세명 유성화-유후장 유운-유종춘 유규-유상조 유이좌-
유광목/정경세 전식 이준 유진 장흥효 정윤목-김응조 유원지 홍호 송준길-정도응---
유후장-박손경-정종로-유심춘-유주목-허훈 이만인 이만윤 이중린 유도헌
오미 김응조-김빈-김간 김정-김두흠
외내 김부인 부필 부신 부의 부륜 김기-김해 김령(서애)-김광계(정구)-김렴(여헌)
의성 구미;신원록-신지제 신달도 신적도-신열도 신홍망-신체인-신정주 신면주
상주 낙동 승곡;정구-조정 조익-조원윤-조천경-조목수 조승수-조상덕
대구 옻골;정구-최동집-최흥원-정종로 최홍립 정동필-이희발(산운)-이지재
8.미훼철 서원(신미 존치 47개 서원 사우 중 서원 26개 중 경북에 9개)
소수서원; 안향,안축 안보,주세붕/순흥부 혁파, 순흥안씨와 풍기사림 욱양서원
도산서원; 조목 종향(이산해 정인홍, 예안사림,왜란 후 서애 탄핵,북인 의병 김해 유종개)
병산서원; 유성룡 유진 1629 1635,풍악서당-1613년 정경세 존덕사 건립,
1863년 사액(임천서원 사액운동/호계서원 병호시비)
흥암서원;송준길(1702년,1705년 사액,정경세 사위-김장생 김집 제자-노론의 교두보)
옥동서원(1714년); 황희 후손들, 전식(1563-1642)-상주 魯谷
금오서원;길재 김종직 정붕 박영(양녕 외손자) 장현광
도동서원;김굉필,외증손 정구(갑자사화 500년,고령 합가 김종직 종가,정여창,청도유림들)
남계서원;정여창(노론과 통혼),강익 정온 유호인
옥산서원;이언적(양동과 옥산파간의 적서향전)
서악서원;설총,김유신,최치원
호계서원;안동의 으뜸 서원 虎溪講會 향음주례(백련사 터-여강서원 1575/ 병호논쟁,1620 1805 1812/ 1973년 수몰 이전, 향사 못함, 매년 堂會)
역동서원;예안 부포-안동대학교/구계서원(수몰 영남대학교)
분강서원;농암 이현보 농암사당 긍구당
임천서원;학봉 김성일 1607 1620 1847 1908
청성서원;처사 강호문학 송암 권호문
고산서원; 대산 이상정 273문인 퇴계서절요 병명발휘 소산 이광정
도남서원;상주의 으뜸서원(정몽주 김굉필 정여창 이언적 이황 노수신 유성룡 정경세 이준)
회연서원;정구 이윤우(청천서원의 김우옹과 청회시비,兩岡)
청천서원; 김우옹 김담수 박이장
천곡서원;정자 주자 김굉필 이언적 정구 장현광/ 이조년
임고서원;정몽주 외가이며 3년 시묘한 곳(장현광 배향 종향문제)
동락서원;장현광 장경우
청도 자계서원,함양 청계서원;갑자사화 김일손
밀양 예림서원;김종직 외가 생장지 묘소
산청 덕산서원 묘소 산천재,외가 삼가 계부당,처가 김해 신산서원 산해정
*대구 연경서원(1563),호계서원(1576),도남서원(1606),
영주 이산서원(1613),경산 고산서원(1573),성주 천곡서원,의성 빙계서원(1556),
예천 정산서원(1612),봉화 문암서원(1604),용궁 삼강서원
한국의 전통사회는 혈연 지연 학연 통혼 당파가 연결된 연고망 사회이다.
정구는 김굉필의 외증손으로 종이모부인 덕계 오건(1521-1574)이 성주 향교 교수일 때 배웠고, 21세 때 퇴계에게, 24세 때 남명 조식에게 배웠다. 동강 김우옹은 남명의 外孫壻로 곽재우와 동서이다. 병호시비와 한려시비,청회시비(동강과 한강 후손들 간에)가 있었지만 각 학파와 문중이 경쟁적으로 학문을 계승하여 발전한 긍정적인 면도 있다.
도산서원에 퇴계 옆에 종향하는 것을 두고 김성일과 유성룡 제자 문중 간에 경쟁이 있은 후 월천 조목은 북인 이산해의 후원으로 도산서원에 종향되었다. 이로써 예안과 안동유림의 분열이 일어났다.
屛虎是非(여강서원-서애 수제자인 우복 정경세(퇴계 從姪壻)가 서애파로 1623년에 서애 유성룡을 퇴계 왼쪽에 배향하였다. 200년이 지난 1805년에 대산 이상정(밀암 이재의 외손자, 고조부가 서애 외손자이나 학봉파)의 제자들이 영남4현(유성룡,김성일,정구,장현광)을 문묘에 배향시켜 달라는 상소에 김성일을 먼저 위치시키자 병파들이 서애 위패를 병산서원으로 옮긴 2차 병호시비가 있었다. 영남지역의 유림사회가 분열되는 앙금을 남겼다.
대구와 인동 성주지역의 영남남부지역 유림들은 김성일과 유성룡을 제외하고 정구와 장현광을 문묘에 배향하려고 하면서 누구를 먼저 하느냐는 寒旅是非(장현광은 한강의 姪壻)가 있고 난 후 장현광은 한강문인에서 제외되고 한강의 수제자가 미수 허목-성호 이익-정약용으로 기호남인으로 학통이 계승된다. 전통사회에서는 학문적 계승은 혈연ㆍ지연ㆍ학연ㆍ혼인을 통하여 가학(家學)으로 계승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학봉 김성일-경당 장흥효-외손자 갈암 이현일-子밀암 이재-외손자 대산 이상정-남한조- 정재 유치명(대산의 외증손)-학봉 11대 종손 서산 김흥락
서애 유성룡-우복 정경세-서애 3子 수암 유진-서애 長孫 졸재 유원지-수암 유진-子유천지, 우복 손자 정도응-(이상정)-우복 6대손 입재 정종로-서애 7대손 강고 유심춘-
(8대손 낙파 유후조)-9대손 계당 유주목-허훈
우복 정경세-사위 송준길-사위 민유중-사위 숙종/
상주 도남서원과 옥동서원 흥암서원/호계서원과 병산서원 임천서원의 경쟁관계/
소수서원과 욱양서원(이황 황준량,풍기사림)
퇴계;도산(조목),호계(서애 학봉),이산,
서애;병산(유진)
안동;이황 유성룡(호계/ 병산 유진) 김성일(호계/임천 사빈) 조목(월천서당/도산 정산 문암),우탁(역동 도동),권벌(삼계) 이현보(분강) 구봉령 권춘란 배상지 이종준 권우 장흥효 권호문 남치리 김진 5용 김용/김방경 김양진 김응조 정구(오천 군자리 안동부사 영가지)
상주;정몽주,김굉필 정여창 이언적 이황 유성룡 정경세 이준, 송준길, 황희 전식
경주;설총 김유신 최치원 이언적 이제현 손중돈 송시열
한국 유학의 학통계승 양상과 서원을 중심으로 경북지역 문화권을 구분하면
1)안동 동북부,의성군,영양,영해,봉화를 권역으로 하는 학봉 학맥 권역
2)풍산평야 서쪽으로 하회 상리 가일 구담 오미 상주 우천 우산 승곡; 서애학맥 권역
3)성주(사도실 갓말 한개)와 칠곡(상지 매원 석전)과 인동을 권역으로 하는 한강학맥
4)선산 길재 김종직의 잔영과 현풍 못골,고령 합가 김종직 종가, 청도 김극일 김일손 김대유 박한주 박하담 이원 이주 후손들의 갑자사화 희생권역
5)설총 최치원의 경주와 경산,정몽주의 영일과 영천,이언적의 양동을 권역으로 하는 문화권
**조선시대 성리학맥과 당쟁
고려말 15세기 16세기 17세기 18세기 19세기
*혁명파-관학파-훈구파-서인-예송 老論山林 북벌론(조선성리학 화이론 소중화) 臣權
노론 주자 절대화 異論 숭명반청 만동묘 主氣論-임헌회 전우
理氣妙合論-人物性同論 북학파 이용후생학파
主理論 위정척사 이항로 김평묵
少論 온건파 양명학 主和論 강화도 윤선거 윤증 정제두
*온건개혁파-私學派(經學派)-士林派
남명 조식 分對論 대북-이산해 최영경 정인홍 김우옹 곽재우 정온 主戰論/오건 정구/정탁
화담 서경덕 主氣論 소북-기호남인 유형원 허목 윤휴
퇴계- 조목; 도산서원 종향, 의병 主戰論
-정구-장현광 허목-이익-안정복-황덕길-허전-허훈/권철신 정약용-경세치용학파
-김성일-장흥효-이현일-이재-이상정-남한조-유치명-김흥락 김도화 이상룡
-유성룡-정경세 유진 유원지 정도응 정종로 유심춘 유주목/理氣隨乘論 主和論
성수침-성혼-윤황-윤선거-윤증-윤동원/박세채 8촌형 박세당 이경석 삼전도비
율곡 調劑論-김장생-김집-송준길 송시열-권상하-湖論 한원진-송능상-송환기
洛論 이단상-김창협 김창흡-김양행-이항로-최익현-유인석
이재-임성주 김원행-박윤원-홍직필-임헌회-전우
산림 청요직 공론정치-환국 일당독재,학통 지연 가문 벌열
동인;퇴계 정통파,화담 남명 실천파 성리학자
서인;율곡 현실적 진보파, 포용 흡수 변화
남인;전제적 군주권,공론조제 선택권은 군주에게
북인;士林公論의 우위성(의병)
호서산림;북벌론 조선중화주의, 주자성리학 절대화
서인;사대부 산림주도 신권 강화,주자 북벌론 군사권 특권적 양반문벌,勿失國婚
남인;허목 윤선도/도신징 이현일 조덕린 김성탁 김방걸,군주권 강화,주례,왕권
회니시비;노론(회덕 송촌 동춘당/남간정사 화양서원)과 소론(노강서원 윤증) 분파
인물성 동이론;낙론-북학파 주리론 위정척사/호론-산림북벌,華夷論,主氣論
이건창 당의통략 朋黨之爭(道를 같이 하거나 같은 스승의 학우)-지연 학연 바탕
당쟁론;당파 이익집단간의 권력쟁탈전,士林정치의 부산물,민족성(식민사관)
당쟁 유교 양반 망국론,노론 척신세도정치,문치능력주의 쇠퇴-교육열;사무라이
당쟁은 사림정치와 유교적 문치주의 산물
고구려 경당 신라 화랑도-중국화 유교화
식민사관-분열적 민족성,지리적 결정론,반도적 성격론,타율성
조선시대 중앙집권적 문치주의의 구조적 산물
詞華 士禍-理學 朋黨/宋學的 義理 理法/ 17세기 춘추대의-예론
이익;관직은 적은데 관직 희망자 많음, 싸움 이해관계
유수원;문벌의 폐해와 주론자의 여론 조작-문벌 타파, 신분제 타파
이중환;이조전랑의 자대권과 당하통청권
이건창;道學태중,名義태엄,군자소인론
이태진;붕당정치,학연성 公道,붕당간 상호협조 비판 견제-1680년 이후 일당전제
후고구려 기호지방, 후백제 호남세력, 신라 영남세력
고려는 정신적 기호계 후고구려 계승, 실질적 신라계승/공신 무장, 중부호족, 신라 귀족
최치원 최승로 김부식 정몽주 김종직 조광조 김식 유성룡 정인홍
영호남지주-기호계 이승만 영남세력과 일제관리와 연합, 호남 소외-
5.16 영남세력-기호계 호남계 연합
붕당정치;견제와 균형 공존,君臣工治論 道學政治
士林정치;재상 언론권 인사권 견제-언론 3사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전랑 자천권 회천권
性命義理之學, 理學 道學 朱子學 程朱學 新儒學
義理 大義 길재 不事二君-이언적 이황/서경덕 이이 理氣心性 四端七情
禮學 송익필 김장생 김집 송시열/ 정경세 윤휴 윤선도 허목 이현일
人物性同異論 이간 김창협 이재//권상하 한원진
양명학;남언경 최명길 장유-강화학파 정제두 이충익 이건창 정인보
진성이씨 선정파는 퇴계선생의 직계후손을 말합니다.
선정파(先正派)란 성균관의 문묘(공자묘)에 배향되어 있는 동국18현의 후손들을 지칭하
는 것으로, 나라에서 인정하는 국반(國班)의 위치에 있는 가문들에게만 허용되는 명칭
입니다. 따라서 선정파가 있는 가문은 직계, 방계를 막론하고 최고의 영광으로 여겼으
며, 국가에서도 특별대우를 했던 것으로 압니다. 일례로 조선후기에 오면, 인재의 보고
였던 경상도가 노론세력에 의해서 심한 차별을 받게 됩니다. 즉, 벼슬길이 끊긴 것이지
요. 그래서 영남의 남인들은 거의 벼슬길을 단념하게 되는데, 선정파의 후손들은 퇴계선생
의 후손이라는 상징성에 의해서 경상도의 타 가문에 비해 벼슬길에 진출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역시, 요직 즉 정승, 판서쪽은 노론이 차지하지만요^^
여기서, 선정파는 진성이씨의 정식 파명은 아니고, 단지 퇴계선생 직계후손들을 선정파라
고 부르는 것으로, 정식 파명은 상계파 입니다
先正; 동국 18현
문묘배향,道統; 문묘 종사시기
1.고려 현종;설총,최치원/ 충숙왕 6년 안향/2.조선 중종 12년;정몽주
3.광해군 2년(1609);조선 5현-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언적,이황
4.숙종 8년(1682년);이이,성혼/ 5.숙종43년(1717년);김장생
6.영조32년(1756년);송시열,송준길/7.영조40년(1764년);박세채
8.정조 20년(1796년);김인후/ 9.고종20년(1883년);조헌,김집
남명 조식; 정인홍 회퇴변척소 청금록에서 삭제/우율;우계 성혼(기축옥사),율곡 이이(불교 승려),1689년 1694년 복귀
영남 4현(1805년);김성일 유성룡 정구 장현광
안동 하회마을 불천위(不遷位)에 대해서
1.위패(位牌)란?
유교(儒敎) 의식(儀式)에 따라 돌아가신 어느 위(位)를 상징하고 모시기 위하여, 나무에
당해 위(位)을 적어 넣어서 만든 패(牌)이다. 나라를 상징하는 것으로 국기를 만들 듯이,
돌아가신 위를 상징하여 모시기 위하여 위패를 만든다. 위패를 "신주(神主)"라고도 부른다.
2.사당(祠堂)이란? 위패를 모셔두기 위하여 만들어진 집을 사당이라 한다.
3.감실(鑒室)이란?
위패를 모셔두기 위하여 만들어진 방을 감실이라 하며, 사당 안에는 감실이 있다. 그러나, 사당을 별도로 만들지 못한 경우에는 사랑방 마루의 지붕 아래에 감실을 만들어서 위패를 모신다.
4. 4대(代) 봉사(奉祀)란?
자기로부터 부, 조부, 증조부, 고조부는 차례로 1대, 2대, 3대, 4대로 계산하며, 그러므로 고조부는 4대조가 된다. 사림층에서의 제사는 고조부까지 드리며, 이를 4대 봉사(奉祀)라 하며, 4대 이상은 위패를 조매(挑埋:위패를 땅에 묻는 것)하고 더 이상 그 위(位)에 대하여 기제사(忌祭祀)를 드리지 않는다.
5.불천위(不遷位)란?
나라에 큰 공이 있거나 학행이 높은 위에 대해서는 조매하지 않고 영원토록 모시는 위를 불천위 또는 부조위라고 하며, 해마다 기일(忌日)에 제사를 올리며 이를 불천위제사라 한다.불천위는 예조의 승인에 의하였으나 나중에는 도(道)의 유림에서 승인 또는 서원에서 인정하는 불천위가 생겨났으며, 이를 구별하기 위하여 국불천(國不遷), 도불천(道不遷), 원불천향천위(院不遷)로 구별하여 부르기도 한다.
한 집에 불천위가 2위 이상 있으면 각각 사당을 따로 하는 것이 원칙이며, 하회마을의 양진당는 2위의 불천위(입암 유중영,겸암 유운룡)가 모셔져 있으므로 사당이 둘이다.
6.서원(書院) 향사(享祀)
서원에는 각기 그 서원에서 배향(配享)한 위(位)를 사당(祠堂)을 만들어 모시고 있으며, 배향된 위에게 올리는 제사를 향사라 한다. 병산서원에는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선생을 주향(主享)으로, 선생의 셋째 아들 수암(修巖) 류진(柳袗) 공을 종향(從享)으로 하여 존덕사(尊德祠)에 모시고 있으며, 매년 음력 3월과 9월 초정일(初丁日)에 향사를 올린다.
화천서원에서는 겸암(謙菴) 류운룡(柳雲龍)선생을 주향(主享)으로, 선생의 제자 동리(東籬)
김윤안(金允安) 공과 선생의 종손(從孫) 졸재(拙齋) 류원지(柳元之) 공을 종향(從享)으로 하여 경덕사(景德祠)에 모시고 있다.
7.외손봉사(外孫奉祀) 및 외외손봉사(外外孫奉祀)
외가 조상이나 외가의 외가 조상에 대하여 받드는 제사를 외손봉사(外孫奉祀) 및 외외손봉사(外外孫奉祀)라 한다.풍산류씨 10세인 류자온(柳子溫) 공(公)의 외조 권옹(權雍) 공(公)은 유명(遺命)으로 외손이 제사를 받들라고 하였으므로 해마다 풍산류씨가 외손봉사로 시제(時祭)를 올린다. 뿐만 아니라, 권옹(權雍) 공(公)의 장인이며, 류자온(柳子溫) 공(公)의 외외증조부(外外曾祖父)인 이조정랑 배소(裵素) 공(公)도 후손이 없었으므로 해마다 풍산류씨가 외외손봉사로 시제(時祭)를 올린다. 또한, 서애 류성룡 선생의 장인도 후손이 없었으므로 선생의 후손들이 해마다 외손봉사로 시제를 올린다.
조선시대에는 자신의 집안은 물론 다른 집안의 족보에도 해박해야 제대로 된 양반으로 대접받았다. 지금도 영남지역, 특히 유교문화의 뿌리가 남아 있는 안동에서는 족보를 연구하는 보학의 유풍이 면면히 이어지고 있다. 그는 “전통을 읽어내는 독해법 중 하나가 보학”이라며 “보학을 알아야 한국 사회를 알 수 있다”고 강조했다. 집안과 문집
‘보학 (譜學)’이라는 것이 있다. 보학이란 족보학을 말한다. 그 사람의 족보가 어떻게 내려왔는가, 조상이 어떤 사람이었고, 어떻게 살았는가를 추적하고 이를 정리하는 분야다. 보학은 조선시대 양반 계층에서 주로 따졌으며 양반의 필수적인 교양으로 인식됐다. 자신의 집안은 물론 다른 집안의 보학에 해박해야 제대로 된 양반으로 대접받았다. 예를 들어 잘 모르는 어떤 집에 방문하거나, 처음 만나 수인사를 나눌 때 으레 보학에 관한 이야기로 서두를 열었다.
“입향조(入鄕祖·그 지역에 처음 들어온 조상의 이름)가 어떻게 되는가, 불천위(不遷位·4대가 지나도 위패를 옮기지 않고 계속 모시는 제사)는 어떻게 되는가, 갈장(碣狀)은 누가 썼는가, 몇 대조 할아버지가 언제 과거에 합격했고, 어떤 상소문을 썼다가 파직되어, 어디로 유배를 갔는가, 유배를 갈 때 어떤 문집과 시를 남겼는가….”
상대방의 벼슬이 높다고 해서 무조건 굽실거리지 않겠다는 기개이기도 했다. 이처럼 보학은 선비 집안의 후손이 지니는 남다른 자존심의 원천이다.
안동 지역에 ‘팔고조도(八高祖圖)’라는 게 있다. ‘조부의 조(祖)가 누구인가’ ‘조부의 외조(外祖)가 누구인가’ ‘조모의 조가 누구인가’ ‘조모의 외조가 누구인가’ ‘외조의 조가 누구인가’ ‘외조의 외조가 누구인가’ ‘외조모의 조가 누구인가’ ‘외조모의 외조가 누구인가’를 따져서 도표로 그려놓은 것이다. 안동에서는 선비 집안이라 하면 팔고조도를 그릴 줄 알아야 한다. 이를 만들다보면 걸리지 않는 사람이 없다. 우리 모두 피를 주고받은 친척인 것이다.”
1.고향의 의미; 선산先山이 있는곳으로 조상 대대로 살아온 곳, 보통 3대 이상 100년 이상
태어난 곳은 安胎안태고향(보통 외가동네)/寓居우거-고향 떠나 잠시 사는 곳
2.안동댐 임하댐 수몰마을의 대응방식(오천 외내 군자리/농암종택 긍구당 운곡-가송리/안동 송당 애련정 향산고택 치헌고택 교리댁 영남대 의인정사/정재종택/해평 일선리/지례예술촌)
3.진성이씨 주거지 확산과정과 분파/
입향조, 파이름(관직 아닌 지명/반초당파 선정파 백당파 수졸당)
4.世와 代; 시조 21대손=시조 22세손=퇴계 15대손=동암 13대손(하계파 경우)
5.안동지역의 불천위(종택 집성촌 불천위사당 서원 정려각 忠孝烈)//장동김씨 소산 선원
청음/소호 약봉 서성/마애 이회보/법전 진주강씨/별실 우망 회(현)동정씨
6.경상도 양반의 기준; 퇴계문인,문집,의병,불천위,과거 벼슬
혈연 지연 학연 통혼 세거지 불천위사당 서원 재실/가문 집안 조상과 고향마을을 대표
내앞김씨,검제김씨,닭실 가일권씨,하회유씨(혈연 성씨+지연 고향마을/학통/통혼 관계망)
7.한국 유학 영남 사림파 학맥/ 퇴계학맥
8.병호시비; 우복 병명/ 향음주례,강회/ 강당 향사/호계서원
9.집성촌; 조상 현창 문집 서원
10.미훼철서원; 서악 소수 금오 도동 옥산 도산 병산 흥암 옥동/호계서원 도남서원(이준) 청계서원(이식 이우 이해) 향현사(이계양 김효로) 동계정사(금란수 이안도) 갈암(錦陽講道址)밀암/대구 연경서원(퇴계 한강 우복)/빙계서원 복원(김안국 이언적 유성룡 김성일 장현광)/추로 청음 서간사
11.양반/당쟁(노론) 의병 독립투쟁/유교/성리학 경세치용 한강 미수 성호 중농학파 이익
정약용/예론 붕당정치;견제와 균형 공존,君臣工治論 道學政治
士林정치;재상 언론권 인사권 견제-언론 3사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전랑 자천권 회천권
性命義理之學, 理學 道學 朱子學 程朱學 新儒學/소상팔경과 무이구곡/도통론 절의
義理 大義 길재 不事二君-이언적 이황(서애 학봉 월천 한강)/조식(동강 정인홍)/서경덕 성혼 윤증/이이 김장생 송시열 송준길/김인후 기대승/理氣心性 四端七情
禮學 송익필 김장생 김집 송시열/정경세 윤휴 윤선도 허목
이현일 김성탁 김방걸 조덕린 도신징 이원정
人物性同異論 이간 김창협 이재//권상하 한원진
양명학;남언경 최명길 장유-강화학파 정제두 이충익 이건창 정인보
12.先正; 동국 18현/ 문묘배향,道統; 문묘 종사시기
1.고려 현종;설총,최치원/ 충숙왕 6년 안향/2.조선 중종 12년;정몽주/정도전,권근
3.광해군 2년(1609);조선 5현-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언적,이황/ 조식
4.숙종 8년(1682년);이이,성혼/ 5.숙종43년(1717년);김장생
6.영조32년(1756년);송시열,송준길/7.영조40년(1764년);박세채
8.정조 20년(1796년);김인후/ 9.고종20년(1883년);조헌,김집
남명 조식; 정인홍 회퇴변척소 청금록에서 삭제/
우율승무;우계 성혼(기축옥사),율곡 이이(불교 승려),1689년 1694년 복귀
영남 4현(1805년);김성일 유성룡 정구 장현광; 병호시비
13.보학/팔고조도,연줄혼인 대추나무 연 걸리듯; 통혼 부혼 낙혼/제문 묘갈명 행장
박약회 담수회 보인회 선비문화수련원
14.문화재 보수 유지; 템플스테이/농암종택 군자리 임청각
지례예술촌 수애당 하회하동고택 북촌댁//세금 투입/소유권/지자체 유지관리/사촌 영귀정, 바래미 팔오헌/소수서원 선비촌/ 무섬
안동대 안동문화연구소,안동역사문화기행/터를 안고 仁을 펴다/서원-한국사상의 숨결/
안동양반의 생활문화/조선양반의 생활세계/권오영,조선후기 유림의 사상과 활동
한필원,한국의 전통마을을 가다/김봉렬,이 땅에 새겨진 정신/
허균,02,한국의 정원-선비가 거닐던 세계
국민대국사학과,03,안동문화권/
조강희/장영훈 이완규/설석규/김종석/정진영/윤천근/이순형/이연자/조용헌
이수건,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퇴계학맥의 지역적 전개/
서수용,안동문화산책 안동의 문화유산,영남의 가훈
유봉학,한국문화와 역사의식/박광용,영조와 정조의 나라/허권수,이상필 정순우
이덕일,사화 당쟁으로 보는 조선역사,송시열과 그들의 나라,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조선왕 독살사건
|
첫댓글
#1.退溪先生 座右名과 言行(퇴계선생 좌우명과 언행)
http://me2.do/FqkITzO4
위 주소 서-치 하세요!
#도산서원의ㅡ설경
http://m.cafe.daum.net/andongb/CYYq/11495?svc=cafeapp
위 주소 서-치 하세요!
[다음카페]
#거경대학에서 퇴계선생 묘소와 하계마을을 다녀와서!
http://m.cafe.daum.net/andongb/Waly/1089?svc=cafeapp
위 주소 서-치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