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벌목의 분류
_ 크게 두 부류로 나눕니다.
_ '허리가 굵은 잎벌아목(넓적허리벌아목)과
_ '허리가 잘록한 벌아목(또는 호리허리벌아목)이
있는데 잎벌아목은 원시형입니다.
_ 우리나라에는 말벌과, 꿀벌과 들
65과 1,066속 3,806종이 살고 있습니다.
(1) 잎벌아목
_ 잎벌아목은 벌 가운데 가장 원시적입니다.
* 잎벌아목의 허리
_ 위에서 언급되었지만 멀목의 구분은
허리가 굵은지, 잘록한지입니다.
(실제로 곤충에게는 허리는 없습니다)
_ 벌목은 가슴과 첫째 배마디 폭이
같기 때문에 허리로 보여집니다.
_ 그 허리로 보여지는 부분이 굵게 절구통처럼
보이는 것이 잎벌아목의 특징입니다.
* 이름에서 보여지는 특성
_ 우리나라에서는
잎을 먹고 산다고 '잎벌'이라 부릅니다.
그렇다고 다 식물 잎을 먹지는 않습니다.
_ 영어 이름은 소플라이 (sawfly)로,
'톱 달린 파리'라는 뜻입니다.
암컷 산란관이 식물을 잘게 썰 수 있게
톱처럼 생겨서 붙은 이름입니다.
_ 애벌레는
식물 잎사귀, 열매, 나무속 등를 먹고 사는데,
대부분 식물의 잎을 먹는 식식성이고,
어떤 종들은 식물 조직에 구멍을 뚫고 삽니다.
_ 어른벌레는 애벌레와 달리
대개 육식을 합니다.
* 잎벌류와 나비류 애벌레 비교
_ 나방, 나비, 잎벌, 등에잎벌 등
잎을 먹는 비슷한 애벌레가 많습니다.
_ 그 중에 나비류와 잎벌류를 비교해보면
_ 먼저 눈입니다.
잎벌류는 여덟 개인데
한 개가 굉장히 커서 맨눈으로도 잘 보입니다.
하지만 나비류는 한쪽에 여섯 개가 있으며
아주 작아서 맨눈으로는 안 보입니다.
_ 다음은 다리 수입니다.
둘 다 가슴에 가슴다리가 세 쌍이 있는데,
배다리수는 다릅니다.
잎벌류는 적게는 여섯 쌍이 있고
나비류는 많게는 다섯 쌍을 가지고 있습니다.
(총 다리수가 나비목은 여덟 쌍,
잎벌아목은 아홉 쌍이 넘습니다.)
* 잎벌아목의 산란
_ 애벌레가 식식성인 잎벌아목이 잎이나
줄기에 산란하는 것은 자연스런 일입니다.
_ 톱처럼 생긴 산란관을 먹이식물 줄기나
잎사귀에 꽂은 다음 식물 조직을 잘게 썰어서
그 속에 알을 낳습니다.
그러면 그 식물 조직은 점점 부풀어 오르고,
색깔이 칙칙하게 바뀝니다.
* 숙주식물을 갖는 잎벌류 애벌레
_ 나비류나 딱정벌레목 잎벌레과처럼
좋아하는 식물 잎사귀만 골라 먹습니다.
_ 장미등에잎벌은 장미과 잎사귀를,
_ 극동등에잎벌은 철쭉류 잎사귀를,
_ 개나리잎벌는 개나리 잎사귀를 먹습니다.
_ 린네잎벌은
버드나무류와 오리나무류와 별꽃 잎사귀를,
_ 황호리병벌은 별꽃 꽃봉오리와 잎사귀를,
_ 왜무잎벌은 십자화과 잎사귀를,
_ 검정날개잎벌은 소리쟁이 같은
마디풀류 잎사귀를 즐겨 먹습니다.
* 잎벌아목 세부분류
_ 잎벌과, 등에잎벌과, 송곳벌과
나무벌과가 있습니다.
_ 벌레살이송곳벌은 기생성이라서
비단벌레 애벌레를 먹고 자랍니다.
_ 잎벌과와 등에잎벌과 애벌레가
잎사귀 전문가입니다.
(사진과 글은 정부희님의 곤충학강의에서
전제한 것으로 제 공부를 위해 정리한
내용과 사진이니 타 용도로 사용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