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Cambodia)와 앙코르(Ankor) 왕조
캄보디아 전도(全圖) / 캄보디아 문장(紋章) / 국기(國旗)
◆ 캄보디아 개관(槪觀)
인도차이나반도에 위치한 캄보디아는 동쪽으로는 베트남, 서쪽은 태국, 북쪽은 미얀마와 국경을 맞대고 있고 동남방향으로는 남지나해와 닿아있으며 전체 면적은 18만 평방km로 남한면적의 두 배 정도이고, 인구는 1천 6백만 정도이다. 인종은 크메르(Khmer)족 90%, 베트남인 5%, 기타 중국인 및 소수민족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도(首都)는 프놈펜(Phnom Penh)이다. 언어는 크메르어를 사용하고 종교는 소승불교 95%로 명실상부 불교국가이다. 그러나 1인당 GDP 1,600달러(USD:2019) 정도로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 중 하나이다.
국토의 70%가 평야지대이며 외곽의 국경지대는 비교적 낮은 산지로 라오스를 통과하며 흘러온 메콩강이 캄보디아 남부를 지나 남지나해로 흘러들면서 비옥한 메콩델타(삼각주)를 이루고 있다.
국토의 중심부에는 거대한 톤레삽 호수가 있는데 건기에는 바다로 흘러들다가 우기에는 강물이 역류하여 호수가 평소의 3배 정도로 넓어진다고 하며 그 때의 넓이는 서울면적의 2배 정도나 된다고 하는데 어업을 생업으로 하는 수상가옥이 많이 있고 배로 된 학교와 교회, 관공서들이 호수 위에 떠 있다.
◆ 캄보디아 약사(略史)
캄보디아는 크메르(Khmer)족이 세운 크메르왕조가 인근의 베트남, 미얀마, 태국과 힘겨루기를 하고 또 한족(中國)의 침입(제갈량의 맹획 ‘칠종칠금/七縱七擒’ 고사)도 견디어 내며 성쇠를 거듭한다.
앙코르왕조는 7세기 자야바르만 2세(Jayavarman II)에 의하여 ‘캄푸챠(Kampuchea)’란 이름으로 롤류오스(Roluos) 지역에 건국되며 당시 중국에서는 이 캄푸챠를 진랍(眞臘)이라 불렀다.
AD 12, 수리야바르만 2세(Suryavarman II) 때 국토를 넓히고 지금의 앙코르와트(Angkor Wat)를 건설하게 되고 12세기 말 자야바르만 7세(Jayavarman VII)에 이르러 참파(Champa:베트남)의 침입을 막아내며 전성기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의 도시인구가 100만 명이 넘었다고 한다. 당시 우리나라(고려) 전체인구가 250만 정도였다고 하니 앙코르 왕조의 번성함을 짐작할 만하다. 이때 타프롬(Ta Prohm:어머니에게 헌사), 프레아칸(Preah Khan:아버지에게 봉헌), 앙코르톰(Angkor Thom), 바이욘(Bayon) 등 아름다운 불교 및 힌두교 사원들이 건립된다. 앙코르(Angkor)는 산스크리트어로 ‘도시’라는 의미이고, 톰(Thom)은 크메르어로 ‘크다’는 의미라고 한다.
15세기 중엽에 들어 앙코르왕조의 쇠락과 주변국들이 강대화하면서 아유타야왕국(Ayutthaya)의 침공으로 앙코르왕국은 수도를 남쪽의 프놈펜으로 옮기게 된다. 아유타야는 시암(Siam/Thai)족이 세운 국가로 현재의 태국에 있던 왕국이다. 아유타야의 왕 파라마라자(Paramaraja)는 수백 년 동안 앙코르왕국으로부터 지배와 간섭을 받았던 원한으로 철저히 유린하고 수많은 문화재, 신들의 무희(舞姬)인 압사라(Apsara), 수많은 대신과 백성들을 포로로 잡아간다. 앙코르를 손에 넣은 아유타야도 오래지 않아 이곳을 떠나고, 앙코르왕조도 폐허가 된 앙코르로 수도를 옮길 능력이 없어서 버려진 도시가 된다. 밀림 속에 묻혀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완전히 잊혀진 도시가 되었는데 1860년 프랑스의 식물학자 앙리 무오(Albert Henry Mouhot)가 재발견하여 세계에 알려지기까지 400여 년 동안 밀림에 묻혀 유령의 폐허(廢墟) 도시로 있었다. 캄보디아는 근대화 과정에서 주변국들과 함께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었다가 독립하는 과정에서 극심한 정권 다툼을 빚게 된다. 1975년 폴 포트(Pol Pot)가 이끄는 크메르루주(Khmer Rouge)에 의하여 공산화 되었다가 1979년 공산정권이 무너지기까지 어이없는 동족 대량살육이 이어져 킬링필드(Killing Fields)라는 치욕의 오명을 남기게 된다. 전 인구 750만 중 공산정권에 의하여 살해당하거나 행방불명된 수가 250만이었다고 하니 국민의 1/3이 희생된 셈이며 숙청 과정에서 지식인이 대상이 되었는데 손바닥에 굳은살이 없는 사람, 안경을 쓴 사람, 심지어 양복을 입은 사람까지 무조건 인민재판-살해의 과정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한다.
학살현장 / 해골 박물관 / 살인마 폴 포트
그로 인하여 30년이 지난 지금까지 전 국토에 깔린 지뢰와 이로 인해 수십만 명의 불구자가 발생하였고 지뢰박물관, 해골사원 등이 등장했으며, 풍부한 자원에도 불구하고 가난과 질병에 시달리는 후진국 대열에서 허덕이고 있다.
1. 신들의 땅 - 저주의 숲 『시엠 레아프(Siem Reap)』
눈부신 앙코르와트의 부조 / 앙코르와트 전경
영종공항에서 오후 5시에 출발한 대만 원동(遠東)항공 여객기는 3시간 비행 끝에 대만(臺灣) 까오슝(高雄) 공항에 도착했다. 한 시간 정도 면세점을 기웃거리다 다시 9시경 출발하여 3시간 정도 비행한 후 캄보디아 ‘시엠 레아프’ 공항에 도착하니 자정쯤이었는데 현지시간으로 새벽 두 시였다.(우리나라와 시차 2시간)
시엠 레아프(Siem Reap)는 앙코르와트를 비롯한 유적군 인근에 세워진 도시로 ‘시엠’(시암족:태국)을 ‘레아프’(격파하다)는 의미라고 한다.
크메르족은 인근의 나라들과 인도차이나반도의 주도권을 놓고 끊임없는 경쟁을 벌이는데 앙코르 왕조에 이르러 인도차이나반도의 맹주가 된다. 그 후 끊임없는 타민족의 도전을 받는데 시암족(태국)의 일곱 번 침공을 잘 막아내고 여덟 번째 침공에 무너졌다고 한다. AD 9세기부터 건립되기 시작한 거대한 사원들은 자야바르만 7세 때 이르러 앙코르와트를 비롯한 수많은 힌두사원들과 벽화와 조각상들이 대량으로 조성되는데 그 거대한 규모에서부터 정교한 석공들의 기술에 감탄을 금할 수 없다.
아유타야(시암족:태국)에 패한 후 400여 년 동안 밀림 속에 버려진 앙코르 유적군은 유령의 숲으로 알려져 그곳에 발을 들여놓는 사람은 저주를 받는다고 하여 아무도 접근하지 않으려고 했다고 한다.
♦ 앙리 무오의 탐사와 앙코르의 저주
앙코르와트 전경 / 브리흐마 탑(씨엠레아프) / 앙리 무오
1860년, 프랑스의 자연 과학자이자 탐험가인 앙리 무오(Albert Henry Mouhot)가 이곳의 유적을 탐사하기 위해 짐꾼을 모집하는데 현지인들은 저주를 받는다고 회피하여 애를 먹었다고 한다. 그런데 앙리 무오가 처음 발견한 것처럼 알려졌지만 사실은 그 이전에도 많은 서양 사람들이 앙코르와트를 이미 방문했었다고 한다. 프랑스의 보일러보 신부는 1857년 앙코르와트 탐방기인 『인도차이나 여행(안남과 캄보디아/ Travel in Indochina, The Annam and Cambodia)』라는 책자를 발간하였다. 앙리 무오는 1년여 탐사를 기록으로 남기고 말라리아에 걸려 현지에서 죽는데 이곳 사람들은 ‘앙코르의 저주’라고 무서워하였다고 한다. 앙리 무오의 기록이 책으로 출간된 후, 이곳을 방문하였던 몇 명이 더 희생되었고 이어진 폴 포트 정권 때 250만이 희생된 것도 앙코르 저주의 연장이라고 믿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9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 세워진 이 앙코르 유적군은 세계 7대 불가사의의 하나로 꼽히는 걸작으로 100여 개의 크고 작은 사원들이 밀림 속에 산재해 있는데 훼손이 매우 심각하고 워낙 방대하다 보니 가난한 캄보디아 국가 재정으로는 복원을 엄두도 못 내고 유네스코와 몇몇 나라에서 도와주고 있기는 하지만 복원의 진척도(進陟度)는 지지부진한 형편이다.
유네스코에서는 항공기 진동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하여 대형항공기의 취항을 억제하여 200명 정도의 승객을 태우는 비행기만 취항하고 있는데 비행장이 유적군과 너무 가깝게 건설된 것도 문제로 보인다.
2. 초기 유적 『롤루오스(Roluos) 유적군』
훼손이 심한 롤루오스 유적 / 프레아코 사원 / 입구의 여신상
시엠 레아프 남동쪽 약 15km 지점에 있는 롤루오스 유적군은 바콩(Bakong) 사원, 프레아코(Preah Ko) 사원, 롤레이(Lolei) 사원이 있는데 롤루오스는 ‘시바 신과 비슈누 신의 거처’라는 뜻이라고 한다.
이곳은 9세기 후반 자야바르만 2세에 의하여 수도로 정해져 10세기 초까지 앙코르 왕조의 수도였다는데 건축물들은 안타깝게도 훼손이 매우 심한 편이었다.
바콩 사원은 ‘시바’에 봉헌된 사원으로 수미산(須彌山/불교의 우주관에서 세계의 중심에 있다는 상상의 산)을 형상화한 첨탑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으며 해자(垓字/연못)로 둘러싸여 있다.
프레아코 사원은 ‘신성한 소’라는 의미로 시바가 타고 다니는 신성한 흰소(난디)를 의미한다고 하는데 훼손이 심하여 안타까웠다. 롤레이 사원은 야소바르만에 의하여 세워진 사원으로 4개의 첨탑이 있는데 각각 부모와 할아버지, 외할아버지에게 바쳐졌다고 한다. 지금은 메워졌지만 원래에는 거대한 호수 한가운데 세워졌다고 한다. 롤류오스 지역은 대체로 흙도 붉고, 돌도 붉은 빛이어서 모든 것이 붉게 보였다.
3. 반데이 스레이(Bantaey Srei)
아름다운 건축물 반데이 스레이 사원
붉은 사암의 눈부신 조각이 돋보이는 『반데이 스레이』는 앙코르톰 동북쪽 약 25km 지점에 떨어져 있고 차로 약 1시간 걸린다. 털털거리며 비포장도로를 달리다 보면 캄보디아의 농촌 모습과 가난이 곳곳에 묻어나는 듯하다. 일 년에 3모작이 가능하고 풍부한 자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가난에 시달린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는다. 사원은 전체규모가 그리 크지는 않으나 분홍빛 사암으로 지어졌는데 전체가 섬세하고 정교하게 조각된 환상적인 작품으로 채워져 있어 너무나 아름다워서 ‘여인의 성채’란 이름이 후일 붙여졌다고 한다.
원래는 시바에 봉헌된 사원이라는데, 1998년인가 미국의 여성 관광객 2명이 만류를 무릅쓰고 관광에 나섰다가 이 지역에 근거지를 두었던 크메르루주(Khmer Rouge) 잔당에게 살해당하고 그 후로는 장갑차의 호위를 받으며 관광이 이루어졌다는데 일반에게 공개된 것은 4~5년 정도 밖에 안되었다고 한다.
사원건물은 비교적 보존이 양호한 편이며, 정교한 꽃의 문양에서부터 비슈누와 크리슈나의 전설과 일상생활의 모습까지 마치 연한 나무를 다루어 조각한 듯 들여다보면 볼수록 숨이 막힐 정도로 아름다워서 앙코르 유적군 가운데 단연 돋보인다.
4. 프놈바켕(Phnom Bakheng)
오후에는 저녁놀이 특히 아름답다는 프놈바켕 사원으로 툭툭이(오토바이가 끄는 2인승 간이차)를 타고 갔다. ‘프놈’은 ‘산’이라는 뜻으로 ‘프놈’이라는 말 자체가 신성하다는 의미를 내포한다고 하니 프놈바켕 사원은 ‘신성한 바켕산 사원’ 쯤의 뜻이겠다. 바켕산은 높이 67m로 산꼭대기에 사원이 지어져 있어 산 전체가 사원이라 할 수 있다. 이 사원은 원래 평지에서부터 사원까지 4면에 가파른 계단을 설치했는데 거의 무너져 내려 사용하지 못하고 지금은 산을 빙 돌며 걸어 올라야 한다. 산 정상에는 거대한 사원(탑)이 들어서 있는데 약 70도 정도 경사의 좁은 계단을 올라야 하므로 조심해야 하며, 오르려면 제법 숨이 찬다.
저녁놀이 아름다운 프놈 바켕 사원 모습
산 밑 입구 부근에 지뢰로 다리를 잃거나 눈이 먼 7~8명 초라한 차림새의 장애인들이 고유의 악기로 우리 민요 ‘아리랑’을 연주하고 있다. 이곳 말고도 몇 군데서 아리랑을 연주하는 이런 무리들을 보았는데 5달러를 모금함에 넣어 주면서도 왠지 씁쓸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작년(2006) 캄보디아를 찾은 전체 관광객 중 25%가 한국인이었다는 가이드의 답변이 아리랑을 연주하는 이유이리라. 커다란 돌로 쌓은 사원에 도착하여 가파르고 좁은 계단을 오르면 광활한 밀림이 펼쳐지고 밀림 사이로 앙코르와트를 비롯하여 밀림에 흩어져 있는 사원들의 높은 첨탑들이 여기저기 보인다.
이 밀림 속에는 사원들이 100개도 넘게 흩어져 있다고 한다.
일몰은 그다지 감동적이지는 못했으나 오히려 거대한 나무들로 둘러싸인 밀림 속을 빙빙 돌며 오르는 등정로(登程路)와 거대한 사원 자체가 인상적이랄까... 그런데 앙코르와트를 비롯한 이곳의 사원들은 사원이라기보다는 하나의 거대한 탑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오히려 알맞을 듯하다. 기도를 드리는 방이라든지 제단이라든지 도무지 그런 것은 보이지 않고 가파른 계단을 오르고, 그 윗부분의 빈 공간에 수미산을 형상화한 거대한 첨탑들로 구성된 형식이다. 방이라 이름 붙일 공간이 있기는 하나 극히 좁아서 작은 부처나 힌두의 신 하나를 모시면 가득 찬다. 대부분 회랑(回廊)이 있고 벽면마다 가득 찬 정교하고 눈부신 부조(浮彫)들이 눈길을 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