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소 | 필요한 것 | 용도 | 기타 의견 |
입구 | 신발장 | ||
게시판 | 광고, 홍보, 장소 사용 시간표, 달력게시판, 소모임게시판 | ||
갤러리 | 주요 활동 사진 전시, 조합원 이름, 조합원이 분포한 지역 지도, 관계도 | ||
입구 사무실 | 책상4개, 의자 | 사무 | 계단 쪽 벽에 창문을 내면 어떨까? |
책장 | 자료보관 | ||
테이블 | 회의 | ||
가운데 거실 | 왼쪽 벽 전면거울, 커튼or블라인드 가리개 | 춤 관련 소모임, 코드F/C 등에서 활용 | 거울공간은 너무 연습실 같지 않은 분위기가 되도록 |
수납장(잠금장치) | 소모임 물품, 개인 물품 보관 | ||
접이식 테이블/의자, 테이블보 | 조합원 수다 카페 | 테이블 모서리를 둥글게 의자도 둥글게, 곡선 느낌 | |
컴퓨터 | 설문조사, 인터넷 | ||
헬스기구: 짐볼, 역기, 덤벨, 요가매트(여러장), 샌드백, 거꾸리, 문에 다는 철봉, 실내암벽, 탁구대 | 운동 | 돈을 벌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낮에는 건강강좌, 밤에는 소모임) | |
공용장비 보관 공간 | 가끔 필요한 장비 공유- 전동드릴, 미싱, 믹서기 등 | ||
DIY bar | 면생리대, 천연화장품, 애기 턱받이 등 만들기, 셀프 타로점, mbti, 1페이지씩 이어가는 동화책 쓰기, 그림책 이어그리기, 방명록 쓰기, 레고 블럭, 소꿉장난감, 색칠공부, 도미노, 보드게임, 폴라로이드/스티커 사진 찍기 | ||
나무 화분, 상자텃밭 | 자연친화적분위기연출, 텃밭음식 | ||
탕비실 | 주방시설- 싱크대, 취사설비, 아일랜드식탁, 기본조미료, 냉장고, 정수기 | 밥앤찬 | |
안쪽 방 | 접이식 테이블/의자(팔걸이 없는), 방석 | 회의, 소모임 | 테이블과 의자 이동이 많으므로 스크래치가 적게 나는 소재의 다리 |
노트북 | 회의, 소모임 | ||
오디오 | 코드F/C | ||
화이트보드 | 회의, 소모임 | ||
온돌(장판) | 명상방, 수면실, 다도, 각종 건강 프로그램(요가, 아기마사지, 산모체조 등) | ||
문에 다는 noti판 | 현재 사용중인 모임 알리는 용도 | ||
마술공간(오목거울, 볼록거울, 천장의 높낮이 다르게) | 어린이용 | ||
위치 미정 | 빔프로젝터, 스크린, 음향 | 영화, 영상물 상영 등, 신문명 소모임 | |
차, 커피, 테이블, 편안한 의자, 콘센트, 와이파이, 책 | (북)카페 | 벽 상단 쪽에 선반을 만들어 책 꽂아 전시(사다리로 책 꺼내기) | |
분리된 사적 공간 | 수유, 애기띠 매기, 휴식 | 모임이 없어도 편안히 있을 수 있는 공간 | |
보면대, 마이크, 마이크스탠드 | 코드F/C, 회의 | ||
Fitting room | 옷 갈아입는 용 | 커튼 가림막으로 공간 분리 | |
공통 | 조명 | 간접조명, 조절가능한조명(회의용 밝은 조명&은은한 조명) | |
바닥 | 친환경 소재의 마루 바닥, 색상은 어두운 계통. | 입식보다는 좌식이 공간 활용에 좋음, 스크래치 적게 나는 재질 | |
벽 | 온난한 느낌의 색상 | ||
천정 | 연한 파스텔톤 색상 | ||
파티션 | 좁은 공간을 여러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곳에 설치 | ||
수납공간(붙박이장, 수납장) | 수납 | 반짝이지 않는 재질 | |
각종 소재 | 소비적이지 않은 재활용 느낌, 친환경적, 플라스틱보다는 천이나 나무 | ||
청소용품 | |||
방음 | |||
의원 대기실 | 안마의자, 족욕기, 파라핀 | 피로 풀기 | |
소파(페브릭 말고 레자), 테이블 | 환자 대기 | 많이 아픈 환자를 위해 거의 누울수 있는 편한 의자도 있으면 좋겠다 | |
컴퓨터 | 설문조사(진료만족도, 1차의료질평가, 조합원욕구조사), 인터넷 | ||
TV(1분 스트레칭 영상, 상영하고픈 각종 영상) | 대기자들이 지루하지 않고 유익하게 느끼도록. | ||
음향 | 편안한 음악(클래식) | ||
커피, 차, 정수기 | |||
아이들 공간, 장난감 | 아이들 대기 | 폭신한 바닥과 벽, 쿠션 등으로 안전하게. 장난감 수납용 박스형 소파 | |
게시판, 전시 공간 | 공지, 의료진&직원 소개, 조합원 작품 전시 | 살림의 가치를 드러내는 문구나 좋은 문구를 게시해도 좋겠다 | |
책꽂이, 책, 잡지 | 대기자들이 읽을 것 |
3. 리스트는 필요한 것 위주로 정리가 되었기에,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의견들이 있습니다. 아래 내용입니다.
1) 청소, 세탁, 린넨접기 등 자원활동을 하면 봉사통장에 적립을 해 주어 살림화폐로 사용할 수 있게 하자.
2) 입식? 좌식?
회의나 강의 등을 위해서는 입식이 필요하고, 그 외 다양한 공간 활용을 위해서는 좌식이 낫기 때문에 입식이냐, 좌식이냐는 고민이 되는 지점. 둘 다 가능키 위해 접이식 의자, 테이블 등 의견이 많았는데요. 번외로 입식 겸 좌식 구조 제안도 있었습니다. 바닥을 높여서 한쪽 구석은 입식처럼 사용하고 바닥은 수납장으로 활용, 나머지는 좌식 구조로, 일식집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태입니다.
3) 예산이 한정적이라면 돈에 맞춰 타협하기보다는 미완이라도 공을 들여가자.
4) 조합원 공간에 소모임원이 아니더라도 쉽게 접근하고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면 좋겠다.
5) 태양광발전판과 자전거발전기를 이용하여 자연친화적이고 경제적으로 우리 공간에 필요한 에너지를 스스로 생산해내면 좋겠다.
이제 이 내용들을 담아 도면이 나올 차례네요! 화이팅!
첫댓글 잘 읽었습니다. 그럼 어제 올리신 양파님의 태양열을 이용한 자전거발전기는 어떻게 되는건지 궁금.
자전거 운동기구로 발전하는건 가능 할것같은데요
정말 준비할게 많네요 와우... 이 많은 것들의 정리에 짝짝짝 박수를!
색깔 들어간 표 정리 @.@ 좋습니다
오..그 많은걸 한눈에 알아보게 정리....감사하네요...책꽃이엔
건강과 생협관련외에 (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같은 건강과 여성이 키워드인 책들비롯한 여성주의관련책들도 꽃혀있으면 좋겟네요..많은 여성들이 대기시간등을 활용해 읽고 마음과 몸에 새로운 인식을 함으로서 힘을 얻으면좋겠어요..저처럼
건의: 자신의 아픔을 서로 나누고 공감하며 정보를 얻으며 서로격려하고 용기를 얻는 부정기적인 모임이 있으면 하네요. 병원오는 환자들도 병원의 방을 이용한다면 내가주인이란의식이 생길듯( 정기적환자모임도좋음) 직접같은 아픔을 느껴보고 그것을 극복한 환자의 정보와 사례듣는게 치유에 막대한 효과를 나태낸다는 책이 있더군요.극복 사례?강연같은걸 할수도있을듯.특히 연세있으신 분이나 주부의 경우 이야길들어줄사람이 없는 자체가 스트레스나 화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대요.또 사람은 마찬가지지만 수다를 통해 혼자 이병을 앓는다는 두려움이나 병에 대한 긴장.고통을 말할 상대가 없었던 것들을 풀수있을듯..
중년이 되면 갱년기라고 우울증이나 마음의 병도 오기쉽고 육체의 고통도 오는데.이둘은 연관되어 참 힘들고외롭다.아무도안반겨주는 내 아픔을 털어놓을 공간이 약이나 주사보다 때로는 치유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데 이번에 세워질 병원에서 그런 방을 환자에게 내어주면 좋겠다는것입니다.문화공간.젊은이를 위한문화공간이나 투자는 점차 늘어가는데.사회에서 생산성이 떨어지는 중년여성들을 주목하지않죠.
지네의 아이디어대로 -나는 아프다-라는 말을 맘껏할수잇는 수다회를 교육과나눔위원회에서도 만들예그런 나이대가 비슷한 여성들의 수다회를 부정기적으로 열면 좋겠네요.환자모임.중년여성환자모임을 병원내공간에서 하길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