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할 친(親)자는 설 립(立)자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하고, 글자의 오른쪽에 볼 견(見)자를 했습니다. 친할 친(親)자는 세 개의 글자가 합해서 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이 세 개 글자의 뜻을 종합해 보면, 나무 위에 올라가 서서 멀리 바라본다는 뜻입니다. 누구를 기다리는 글자입니다. 옛날 풍속대로라면 먹을 것을 구하려고 밖에 나간 아버지를 아이들과 엄마가 기다리는 글자입니다. 친한 가족이기에 나무에 올라가서까지 기다리는 것입니다. 단 일분일초라도 더 먼저 보고 싶은 것이 가족입니다. 가장 친한 관계이지요. 친할 친(親)자는 어버이 친(親)지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친구(親舊) 친부(親父) 부친(父親) 친밀(親密) 친자(親子) 친척(親戚)
옻 칠(漆)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옻 칠(桼)자를 했습니다. 옻 칠(桼)자는 나무 목(木)자 아래에 물 수(水)자를 해서 나무에서 나오는 진액을 나타냈습니다. 칠기(漆器) 칠흑(漆黑) 초칠(初漆) 생칠(生漆) 금칠(金漆) 건칠(乾漆) 단칠(丹漆)
일곱 칠(七)자는 열 십(十)자의 변형입니다. 여기서 열 십(十)자는 셈대를 가로로 4까지 놓고 오에서 ×표로 놓고 열에서 십(十)자로 놓는 그런 뜻이 아니라, 종이나 천을 자를 때 가로로 칼집을 내고 세로로 칼집을 내어 물건을 뚫고 자르는 모양을 그린 글자입니다. 물건을 뚫고 자를 때 십(十)자로 한 것을 글자를 변형시켜서 칠(七)자로 표시한 것입니다. 칠일(七日) 칠종칠금(七縱七擒) 십칠(十七) 칠백(七百)
다듬잇돌 침(砧)자는 의부(義符)로 돌 석(石)자에 성부(聲符)로 차지할 점(占)자를 했습니다. 차지할 점(占)자는 점 복(卜)자 아래에 입 구(口)를 했습니다. 여기서 점 복(卜)자는 차지한 땅에 내 것이라는 표시로 깃발을 꽂아 표시를 해놓은 모습이고, 입 구(口)자는 차지한 영토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모탕 침(枮)자도 차지할 점(占)자가 들어 있어서 ‘침’으로 읽습니다. 침기표(砧基表) 침자(砧子) 침가(砧家) 침성(砧聲) 침목(砧木) 침박자(砧拍子) 신침(新砧) 침질(砧鑕)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