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진바이오팜
당사는 2004년 설립 이래 지속적으로 천연소재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여유해생물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고 감소시키는 피해감소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이는 Pest Control 산업과 연관성이 높은 사업입니다.
또한 기존 유해동물 및 해충 피해감소제를 연구개발하는 과정에서 축적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신규사업 부문인 기생충(Sea Lice) 피해감소제를 연구개발하여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기존 유해동물 및 해충 피해감소제 관련 사업을 기반으로 어류 기생충 피해감소제 사업을 재도약의 발판으로 삼아, 유해생물 피해감소제 중심의 바이오 전문 회사로서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장하여 글로벌 바이오 회사로 성장하고자합니다.
구분 | 사업 내용 | |
기존사업 부문 | 유해동물 피해감소제 사업 | 농작물 및 시설물에 피해를 주는 비둘기, 멧돼지, 고라니 등의 야생동물의한 피해를 감소시켜주는 제품 |
방충방향제 사업 | 방충 및 방향, 탈취, 항균, 항진균 기능 등을 가지는 융합제품 | |
신규사업 부문 | 기생충 피해감소제 사업 | 연어에 기생하는 Sea Lice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켜주는 사료첨가제 |
닭진드기 피해감소제 사업 | 닭에 기생하는 진드기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켜주는 제품 |
가) 유해동물 피해감소제 사업
유해동물 피해감소제 사업은 기존 유해동물 퇴치제와는 다르게 유해동물을 죽이지 않고 감각기관을 자극하여 친환경적으로 피해를 예방할 수있는 새로운 개념의 퇴치 사업입니다. 당사는 피해감소제 개발을 통해Pest control 산업에서 신규시장 개척, 점유율 확대 및 판매 증대를 목표로 사업을진행하고 있습니다.
유해동물에 의한 피해는 조류, 멧돼지, 고라니 등에 의한 농작물, 건물,건축물(문화재, 문화유산), 전력시설 등이 입는 피해, 해충(모기등)으로부터 전염되는 말라리아, 일본뇌염 등과 같은 전염병에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인류에 막대한 인명 및 재산 상의 손실을 입히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유해동물을 죽이지 않고 환경 친화적으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고, 유해동물의 생리학적 특성에 기초한 다중감각(시각, 후각, 촉각, 미각)을 자극하여 안전하게 유해생물을 퇴치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하여 천연소재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습니다. 그리고 유효성분을 장기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방출속도조절 담체, 캡슐레이션, 유실방지 등의 제형화 기술을 확보하여 유해동물의 접근을 사전에 차단하고 피해를 예방해 주는 유해동물 피해감소제관련 기술 개발에 성공하였습니다.
기존의 퇴치방법(물리적, 살충, 살서 등)은 유해동물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무작위로 유해동물을죽이는 방법으로서 이로 인해 생태계가 교란, 파괴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져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당사의 유해동물 피해감소제는유기화학 소재, 독성물질 등을 배제하고 안전한 천연유래 소재를 원료로 사용하였습니다. 또한 유해동물의 감각기관을 자극하여 효율적으로 피해를 감소 및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퇴치제가 가지는문제점 및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될 것입니다.
(나) 방충방향제 사업
당사는 해충퇴치 기능을 가지는 방충제와 방향 기능을 가지는 방향제를 접목시켜 방충방향제라는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였고 피해감소제응용사업으로서 새로운 니치마켓을 개척하여 방향제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현재 일반 생활화학 제품(소비재)과 관련하여화학물질이 빈번하게 검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법적 규제 역시 더욱 강화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따라서최근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제품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으며, 자연 친화적인소재와 방식을 선호하여 홈&라이프를 위한 품목이 다양해지고 활성화되면서 관심은 높다고 할 수있습니다.
당사는 안전한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방충기능 외 방향, 탈취, 항균, 항진균, 정전기방지 기능 등을 포함하는 동시에 지속력이 우수하고 피부자극이 없는 다목적, 다기능성의 방충방향제를 개발하여문제가 되고 있는 생활 화학제품의 대체재로 소비자들이 믿고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TTSS(Type ⅢSecretion System; 제3유형분비체계, 그람음성세균에서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인자) 저해소재에 대한 원천기술을 확보하였습니다.이를 이용해 병원성 세균에 노출되기 쉽고 내성균의 출현이 잦은 의료기관에 특화된 방충방향제를 상용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 신규사업부문
(가) 기생충(Sea Lice) 피해감소제 사업
최근 유럽, 미국을 중심으로 소비되던 연어가 중국을 포함한 신흥국을 중심으로 아시아전역으로 확대되고 있어 연어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연어에 기생하는 Sea Lice에 의한 피해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연어를 양식하는 노르웨이 및 칠레에서는 뚜렷한해결책을 찾지 못해 큰 난항을 겪고 있음을 2014년 당사는 처음 인지하였습니다.
이에 당사는 Sea lice 피해감소제를 개발하기 위해 영국 Stirling대학을 통해 Sea lice에 효과적인 유효물질을 선별하고캐나다 CATC에서 연어를 이용한 효능시험 완료하였습니다. 또한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독성시험을 수행하여 소재의 안전성을 검증하였고 글로벌 기업과 협력을 통해 Sea lice 피해감소제를출시할 예정에 있습니다. 차세대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는 연어 관련 산업이 거대화 되고 있는만큼 당사의 Sea lice피해감소제 사업이 본 궤도에 오른다면 회사의 성장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측됩니다.
현재 당사는 sea lice 피해 감소에 효과적인 천연소재 2종에 대해 국내 특허등록을 완료하였고 노르웨이와 칠레에서도 특허를 출원하였습니다. 향후 이들 국가 이외에 약 10개국에 특허를 출원하기 위해 준비중에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Sea Lice 피해감소제 기술을기반으로 연어 기생충(Sea Lice)뿐만 아니라 다양한 어종에 기생하는 스쿠티카충, 아가미흡충 등과 같은 기생충에도 적용 가능성 여부를 타진 중에 있습니다.2016년 기준 우리나라 어류 양식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어종이 넙치류이며 다음으로 조피볼락, 돔류, 숭어류입니다. 스쿠티카충은양식 넙치에서 주로 발견되는 기생충으로, 대량 폐사를 일으키고 전체 질병 가운데 혼합감염 포함 40% 정도의 발병을 일으키고 있으며 양식 농어, 돔류, 조피볼락, 복어 등에서도 피해를 줍니다. 그리고 아가미흡충은 조피볼락, 뱀장어 등의 아가미에서 발견되는 아가미병으로폐사율이 가장 높고 전염성 또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Sea Lice 피해감소제 소재 접목 가능성을기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천연소재를 사용해 사료첨가제 형태로 제품을 상용화 할 수 있어 기존 기생충 퇴치제와 비교했을 때 사용의 편의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인바, 어류 기생충 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당사의 제품 다변화 및 매출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나) 닭진드기(와구모) 피해감소제 사업
닭진드기는 닭의 몸에 기생하여 흡혈활동을 통해 질병을 매개하거나 닭의 수면 방해 및 빈혈을 초래하며,알레르기 유발, 발육지연 등 조류에 많은 스트레스를 유발합니다. 이러한 닭진드기를 퇴치하기 위해 피레스로이드계, 카바마이트계, 유기인계 약제를 비롯해 피프로닐 등의 살충성분을 사용해 왔으나, 이로인해 살충성분이 포함된 달걀이 시중에 유통되어 크게 논란이 된 바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닭진드기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는 영국 MoredunResearch Institute에서 당사의 천연소재에 대한 효능시험을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종의 유효물질을 확보하였습니다. 향후 당사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을통하여 in vivo 실험을 추가로 실시하여 제품을 상용화할 계획입니다.
유해동물 피해감소제 사업
당사는 15년째 천연소재 라이브러리를 전문적으로 구축하고 피해감소제 사업을 수행해왔으며, 기술 중심의 제품화를 목적으로 하는 특성상 전문화된 경험과 기술이 풍부한 인적자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재와 제형의 복합 기술을 보유하고 연구기법 및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어 산업 상황에 맞추어 사업의다양성, 확장성 측면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현재 유해동물 방제 및 예방 서비스업을 영위하고 있는 대부분의 업체들은 일부 피해감소제 제품군을 사용하고 있으나, 제품의 다양성이 다소 떨어지며, 주로 물리적, 화학적 퇴치에 의존해 유해동물을 퇴치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영세업체 위주로 조류 및 멧돼지에 대한 제품군 개발이 완료되어 있으나, 기술적한계 및 연구 인프라의 부족으로 새로운 제품의 개발 및 확장에 소극적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당사는 연구개발을통한 제품화부터 유통까지 책임지고 있어 일반 유통업체와 차별성을 갖고 있습니다.
【 유해동물 피해감소제 경쟁업체별 기술수준 】 |
구분 | 경쟁업체 | 기술개발내용 | 기술격차 | |
조류피해감소제 | 국내 | 이지플렉스 | - 촉각, 후각, 미각 자극 기술 | - 다중감각자극, 유실방지 및 변성방지 기술에서 격차 존재 - 단일 제품만 개발, 판매하여 제품의 확장성 및 다양성에서 격차 존재 - 천연소재에 대한 전문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됨 - 국내외 기술 인증에서 격차 존재 |
노텍바이오 | - 시각, 후각, 미각 자극 기술 | |||
국외 | Rentokil (미국) | - Capsaicin을 이용한 기술 - 촉각자극을 이용한 기술 | - 캡슐레이션 등 제형 기술을 적용하 고 있지않는 것으로 분석됨 - 다중감각자극 소재 기술 미흡 - 미생물에 의한 변성방지 및 외부 환경에 의한 내용물 소실 방지하는 유실방지 기술 미흡 | |
Bird Barrier (미국) | - Peppermint, cirtomella oil, agar beeswax 이용한 촉각 자극 기술 | |||
Bird-X (영국) | - Polybutene을 이용한 기술 | |||
대동물피해감소제 | 국내 | Vinlyhouse | - 목타르, sodium polyacrylate 등 - 후각 자극 이용 | - 다중감각자극 소재 기술 미흡 - 편의성과 관련된 제형화 기술 격차 - 제품의 다양성, 확장성 부분 격차 - 다양한 피해감소제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와 인프라를 갖추지 않음 |
노텍바이오 | - 천연소재 이용 기술 - 후각, 미각 자극 기술 - 담체 기술 | |||
국외 | SHIMIZU (일본) | - Silane siloxnae water 이용 - 멧돼지피해감소 | - 다중감각자극 소재 기술이 미흡 - 사용 편의성을 고려한 제형화 기술 격차 존재 - 일본을 제외하고 대부분 유럽이나 미국의 경우 멧돼지 피해감소제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어 기술 격차 존재 | |
Woodstram (미국) | - Whole egg solids 이용 - 사슴피해감소 | |||
Shakeaway (미국) | - Coyote urine, fox urine 이용 - 사슴피해감소 |
(나) 방충방향제 사업
우리나라는 국민의식 수준이 향상되고 선진화되면서 환경과 안전에 대한 인식 변화 및 규제의 강화가 심도있게 다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들은 환경친화적으로 변해가는 사회의 성향을 잘 나타내주는 현상으로 새롭게 전개되는 해충 퇴치방식에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또한 당사는 이러한 사회적 변화 및 시장의 변화를 충분히 반영하고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는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발맞추어 공인시험기관을 통하여 제품의 효능 및 안전성 검증을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타 회사에서 보유하고 있지 않은 시험 항목을 당사에서 선제적으로 수행하면서 방충방향제 사업을 영위하고있으며, 국내에 이어 해외에 제품을 출시하는 등 향후 세계 다양한 국가로의 사업 확장이 기대됩니다.
【 방충방향제 경쟁업체별 기술수준 】 |
구분 | 경쟁업체 | 기술개발 내용 | 기술격차 | |
방충제 | 국내 | Reckitt Benckiser | - Empenthrin 이용 | - 천연소재 이용 방충 기술미흡 - 경쟁사의 경우 천연소재를 이용한 항균, 항진균, 정전기 방지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 격차가 있음 - TTSS 관련 기술은 당사의 독자적 기술로 기술격차가 큰 것으로 분석 |
팜클 | - 에틸부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등 이용 방충 및 살충제 기술 | |||
크린스타 | - 나프텔렌, 시트로넬라 이용 | |||
국외 | KINCHO | - 살충성분 empenthrin 이용 | ||
ENOZ | - 발암물질 naphthalene 이용 | |||
Rentokil | - 살충성분 transfluthrin 이용 - 살충물질 permethrin 이용 | |||
방향제 | 국내 | P&G | - 방향ㆍ탈취기술 - 미생물억제제(보존, 항균) BIT, DDAC를 사용한 항균기술 | - 천연소재 이용 방향제 개발 미흡. - 항균 관련 기술에서 논란이 되고있는 MIT,BIT, DDAC 등의 살생물질을 사용해 당사와 기술 격차 있음 - 대부분의 경쟁업체가 천연소재를 이용한 항진균 관련 기술 미보유 - TTSS 관련 기술은 국내외 모두 현재까지 상용화 사례가 없음 |
S.C. Johnson | - Triethylene glycol 방향기술 | |||
Henkel | - 카라기난 이용 젤 및 방향기술 | |||
국외 | P&G | - Cyclodextrin, polyaziridine 탈취 - DDAC, BIT 이용한 항균기술 | ||
S.C. Johnson | - 탈취기술 triethylene glycol | |||
Reckitt Benckiser | - MIT, BIT 이용한 항균 기술 |
기생충(Sea Lice) 피해감소제 사업
현재 국내에는 어류 기생충 관련 사업은 존재하나 연어 기생충에 특화된 제품은 존재하지 않으며, 연어기생충 피해감소제 사업은 당사가 국내 최초로 시도한 사업으로 시험방법, 기술 노하우,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고 다양하고 효능이 뛰어난 천연소재를다수 보유하고 있어,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안전성과 안정성이 높은 제품 개발을 진행하여 다양한 어종으로의확장, 세계 시장으로의 진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타 업체에서도 사업시작은 가능하겠으나 전문인력 확보, 시험방법 설계 및 기관 섭외, 인프라 구축 등의 단계를 진행하는것이 일반적인 시험에 비해 매우 어려운 조건으로 진입장벽이 높은 사업분야라 할 수 있습니다.
【 기생충(Sea Lice) 피해감소제 경쟁업체별 기술수준 】 |
구분 | 경쟁업체 | 기술개발내용 | 기술격차 |
해외 | Cargil (미국) | - Diflubenzuron 이용 | - In feed 방식으로 사료에 첨가 - 농업용, 수산용 살충제로 사용 - 천연소재를 사용한 퇴치기술 없음 |
Novartis (스위스) | - Azamethiphos, cypermethrin 이용 | - Bath 방식으로 Sea Lice에 감염된 연어를 약욕하는 방식으로 사용 - 천연소재를 사용한 퇴치기술 없음 | |
Merck (독일) | - Emamectin benzoate, ivermectin 이용 | - In feed 방식으로 사료에 첨가 - 소나무재선충이나 농업용 살충제로도 사용 - 천연소재를 사용한 퇴치기술 없음 | |
Skretting (노르웨이) | - Teflubenzuron 이용 | - In feed 방식으로 사료에 첨가 - 농약성분으로 해충방제를 위해 사용 | |
PHARMAQ (노르웨이) | - Deltamethrin 이용 | - Pyrethroid계열의 살충제로서 농업용, 가정용, 수의학용 살충제로 사용 - 천연소재를 사용한 퇴치기술 없음 | |
Solvay (벨기에) | - Hydrogen peroxide 이용 | - Bath 방식으로 Sea Lice에 감염된 연어를 약욕하는 방식으로 사용 - 세균성 아가미병 및 기생충 등에 효과가 있어 양식장에서 포르말린 대신 사용 - 천연소재를 사용한 퇴치기술 없음 |
(나) 닭진드기(와구모) 피해감소제 사업
닭 사육의 특성상 양계 농장의 94%가 진드기에 감염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화학 살충제에 내성을 갖게된 닭진드기에 화학 방제 처리를 하는 것은 사실상 큰 효과가 없는 상황이며, 양계장에서도 더이상 화학물질이 포함된 제품을 찾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닭진드기 포획 제품, 천연물질이 포함된 제품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으나제대로된 효능검증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습니다.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는 닭진드기와 관련된 실험을 수행할수 있는 공인시험기관이 없어 천연소재를 이용한 제품효능 검증 및 제품개발 여건에 어려움이 많아 상용화가 쉽지않은 상황입니다.
이에 당사는 천연소재를 이용한 닭진드기피해감소제를 개발하기 위해 영국 Moredun Research Institute와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바, 효과가우수한 닭진드기피해감소제를 상용화한다면 살충성분을 사용한 기존 퇴치제를 대체해 닭진드기 퇴치시장에 진출 가능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