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를 사는 지금, 2022년 5월까지 정착하며 살아가고 있다.
처음엔 도망으로 넘어온 제주
좋지 않은 상황에서 이곳으로 넘어온 나는
모든 상황을 극복하고, 오히려 새로운 삶을 살고 있다.
어쩌면 이 도망이 운명인 거겠지.
나와 맞는 주파수를 가진 제주.
나는 현재 이곳에서 미래를 그리고,
행복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한라생태숲에 핀 분홍 꽃. 참꽃나무가 마지막으로 빛나고 있다. 이제는 곧 지겠지만, 아직은 분홍빛으로 남아 화려한 자태를 뽐낸다. 제주에서 자생하는 이 꽃. 제주를 상징하는 꽃이기에 꼭 만나고 싶다 느꼈던 나. 끝나기 전이지만 마지막 만개한 모습을 볼 수 있으매 감사했고, 그 이야기를 오늘 두피디아에 나눠보면 좋겠다 생각이 들었다.



제주 여름 특유의 초록빛으로 빛나는 한라생태숲
한라생태숲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5161로 2596
한라생태숲은 산림청 소유 국유지로 5.16도로변 해발 600고지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생태숲은 1970년대 초부터 1995년까지 개인에게 대부돼 방목지로 사용되었으나 식생을 새롭게 꾸며 지금의 한라생태숲으로 만들었다.
숲이 훼손되어 방치되었던 야초지를 원래의 숲으로 복원 조상한 곳으로 난대성 식물에서부터 한라산 고산식물까지 한 장소에서 볼 수 있는 유일무이한 장소. 편안한 휴식공간과 다양한 자연 생태계의 자연현상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한라생태숲은 휴식과 함께 자연 생태계의 다양한 현상을 관찰하며 즐길 수 있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가고 있다.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제주도의 온, 난대 수종 및 한라산 고산대 희귀수종에 대한 유전자원 보급이 시급한 시점에 이르렀고, 또 한라산의 식생파괴가 확산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훼손지 복구를 위한 식물증식 및 내한성 적응시험을 할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있다.
숲은 다양한 식생으로 군락을 이루고 있어 사계절 내내 빛난다. 구상나무 숲, 참꽃나무 숲, 목련총림, 수생식물원, 난대수종적응시험림, 암석원, 야생난원, 벚나무 숲, 꽃나무 숲, 산열매나무 숲, 단풍나무 숲 등이 있다. 그중 오늘은 참꽃나무가 그 주인공이 될 것이다.


참꽃나무
제주도 한라산에 자생하고 있으며 주로 비탈이 지는 암석지대에서 자라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해가 잘 드는 수분이 있는 토양에서 잘 자라는 참꽃나무. 3~6m 높이로 자라며 나무 기둥은 연한 갈색과 붉은빛으로 돌고 오래되면 갈라진다. 잎은 가지 끝에서 큼지막하게 3개 정도로 모여 달리며, 4~5월에 피는 꽃은 잎과 거의 동시에 나오며 선홍색으로 2~5송이로 핀다. 꽃의 끝은 둥글지 않고 뾰족하며 은은한 향기가 일품이다. 열매는 9~10월 익으며 겉엔 갈색의 짧은 털이 많이 나고, 속에는 작은 씨앗이 많이 들어있다.
참꽃나무는 대한민국에서 제일 따뜻한 제주에서 자생하는 식물이고, 적당한 높이와 잔가지가 많아 풍성한 느낌을 주는 꽃이었다. 선홍색의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인기가 높은 꽃. 제주를 상징하는 꽃으로도 불릴만할 정도로 아름답다.




한라생태숲 여행기
작년 겨울쯤 찾았던 한라생태숲. 그때는 분명 노란빛이 도는 숲이었고, 조금은 사늘한 기분이 드는 숲이었는데 지금은 제주 특유의 초록빛으로 빛나고 있었다 밝은 연두색과 초록색 사이의 숲. 날은 분명 더웠지만, 걷는 내내 시원한 기분이 드는 이 숲은 분명 여름을 준비하고 있었다. 그런 초록빛의 숲을 10분에서 15분 걸었을까. 멀리서 초록빛 사이에 빛나는 분홍빛이 눈에 들어왔다.
그 숲은 제주의 상징인 '참꽃나무 숲'이었던 것이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상징 꽃인 참꽃나무는 진달래나 철쭉류에 비해 꽃이 컸고, 높게 자라고 있었다. 5월부터 핀다는 꽃. 중순이 넘은 지금도 화려하게 빛나고 있다는 것에 나는 안도했다. 붉은색 꽃송이가 제주도민의 의욕과 정열, 단결을 상징한다는 이 꽃. 한라생태숲에 18,270㎥면적에서 분홍빛 숲을 제대로 즐길 수 있었다.





분홍빛 참꽃나무 숲을 제대로 즐긴 나는 조금 더 깊은 곳으로 들어왔다. 그때 눈앞에 펼쳐진 연못은 숲을 더 다양하게 꾸미고 있었다. 수생식물이 자라는 이곳엔 조금 이른 감이 없지 않게 연꽃이 활짝 피어있었고, 개구리의 울음소리가 넘쳐 흐르고 있었다. 자연스럽게 만든 것은 아니지만 자연과 가깝게 만든 인공 연못. 그곳엔 여러 생물종이 서식하고 있어 한라생태숲을 다양하게 만들었고, 사랑스럽게 만들었다.
또, 오랜만에 보는 솟대는 왜인지 이곳을 더욱 친숙하게 만들었고, 한 바퀴를 돌면서 느낀 평화로운 분위기에 덧칠을 했다.


수생식물원까지 지난 나는 한라생태숲의 '혼효림'에 닿았다. 혼효림은 제주에서 자생하는 구상나무, 곰솔, 주목 등 침엽수와 푸조나무, 때죽나무, 그리고 느티나무 등 활엽수 18종이 한곳에 모여 있는 숲으로 동, 식물이 생태적으로 안정을 이루는 곳이었다. 또 그 모습은 가장 제주스러운 '곶자왈'과도 같은 모습이었다. 서로의 장점을 나누고 단점을 보완해 주며 경쟁하는 자연 그대로의 모습이었던 혼효림. 그곳까지 여행을 마친 나는 한라생태숲의 여정을 마무리했다. 가을이면 단풍나무 숲을 여행하기로 마음먹은 나는 사계절 아름다운 숲이 바로 한라생태숲인 것을 다시금 깨달으며 여행을 마무리했다.

지금이 마지막 적기인 한라생태숲. 분홍 꽃잎부터 야생화들이 다양한 모습으로 피고 있는 이곳은 작은 한라산이었고, 한라산을 고스란히 품은 숲이었다. 예약제로 바뀐 한라산. 그곳을 방문하기 어렵다면 이곳 한라생태숲으로 여행하자. 그렇다면, 완벽히 한라산을 느낄 수는 없지만, 한라산을 맛보고 왔다는 기분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