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D램 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45.7%로 1위, SK 하이닉스가 31.7%로 2위 입니다.
그리고 뒤이어 마이크론이 19.1%로 3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늘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그늘에 가려져 보이지 않았던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메모리 반도체 업계의 판도를 뒤흔들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현재 반도체 시장에서 가장 핫한 상품을 고르라면 단연 고대역폭메모리(HBM)일 것입니다.
AI(인공지능)이 주목받으면서, D램을 여러개 쌓아 데이터 처리 용량과 속도를 높인 AI서버용 메모리 반도체인 HBM의 성장세는 계속해서 커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올해 2조5000억원에 달하는 시장 규모는 2028년에 8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사실 HBM 시장은 삼성전자가 47.5%, SK하이닉스가 47.5%로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마이크론은 고작 5%에 불과하지만, 이번에 HBM3E(24GB 8단)를 양산하겠다고 선전포고를 날리면서 기술 격차가 줄어들어 국내 기업들을 따라잡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이크론은 현재 주력 제품인 삼성과 SK의 HBM3보다 전력 소비가 30% 적다고 밝히면서 삼성과 SK하이닉스를 도발하였습니다.
그리고 해당 제품을 양산하여 엔비디아에 납품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를 보고 있던 삼성전자는 불과 몇 시간 뒤, 외계인이라도 고문한 것인지 모르겠지만 12단으로 쌓은 HBM3E 기술 개발을 전격 발표하였습니다.
아직 마이크론이 따라오려면 멀었다는 것입니다.
사실 마이크론의 기술 추격 속도가 빠르기는 하지만 삼전과 SK하닉에 비해 HBM 투자가 늦어서 격차가 벌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되는 것은 바로 마이크론이 방장 사기맵의 방장인 '미국'이라는 것입니다.
미국 정부가 작정하고 보조금을 지원하고 자국 기업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이어진다면 엄청난 자금이 마이크론에 수혈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게다가 엔비디아와 마이크론이 갑자기 거래를 하는 것을 보면 미국의 입김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 또 다른 미국 반도체 기업인 인텔이 파운드리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잡겠다고 당찬 포부를 밝히면서 K-반도체를 잡기 위한 반도체-USA가 나온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편, 과거 반도체 시장을 제패했던 일본은 미국의 입김으로 인해 괴멸직전까지 갔었습니다.
아직도 그 여파가 회복되지 않은 상황이고요.
이에 미국이 또다시 자국 산업 피해를 견제하기 위해 경쟁 국가의 사업을 무릎 꿇리려는 것이 아니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