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둘째 주 마른장마는 괜찮은데…
참깨는 작물 밀원이다. 지난 날을 싸리 꿀과 함께 2대 가을 밀원 이었다. 싸리꿀은 산청, 깨꿀은 야청으로 불렸다.(사진 자연꿀동호회에서)
작지만 강인한 생명력을 가진 바이텍스 꽃이 핀다. 3개월 이상 꽃이 피는 나무이다.
산에는 지난날 같지 않지만 참싸리가 피었고, 들에는 참깨꽃이 피기 시작하여 꿀을 뜰 수 있다. 참깨를 많이 심는 곳에서는 꽃피는 기간도 길어 기대할 수 있는 밀원이다.
장마가 계속되므로 장마에 대비하며 햇빛이 나면 물을 주고, 산란권 밖에 먹이가 가득한 먹이장 양쪽에 한 장씩 들어 있도록 먹이를 준다. 고체먹이를 주는 것이 편리하다.
마른 장마는 밀원이 있으면 계속 꿀이 들어오게 된다. 장마라고 계속 비가 내리는 것은 아니다. 올해는 장마 시작 하자 물폭탄이 내린 곳도 있고 폭염경보도 내렸다.
1. 새왕이 태어난 벌통의 관리
여왕봉이 짝짓기에 성공하여 알을 낳기 시작하면 여간 기쁜 일이 아니다. 꿀벌 치며 맛보는 큰 기쁨이다. 강군에서 번데기장을 보충하여 빨리 정상적인 자격군으로 만들어야 한다. 먹이는 항상 넉넉하도록 관리한다.
여왕벌 알낳는 모습과 호기심에 찬 표정의 시중드는 일벌들
2. 농약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길
꿀벌은 꽃에서 꿀과 꽃가루를 얻기 위해 찾아갔다가 농약 피해를 받지만, 여름철에는 물을 찾아갔다가 오염된 물이나 농약피해를 입기 쉽다. 자동물주기, 나들문으로 물주기, 먹이통을 이용하여 물을 주면 어는 정도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주는 물에는 소금을 타서 0.9% 식염수를 주는 것이 좋다.
3. 도둑벌이 심한 때입니다
도둑벌이 발생하게 되면 유밀기가 다시 시작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둑벌 발생을 중단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도둑벌이 나타나지 않도록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6. 가을 꿀샘식물 심고 가꾸기
들깨와 코스모스 모종을 하고 오가피를 삽목하는 시기이다. 오가피 효소는 부저병 예방도 된다고 한다. 순을 남기고 잎을 따내고 꺾꽂이하면 잘 살아 붙는다. 8월 초순에는 메밀을 심을 계획도 세워보세요. 봉평이 아니라도 맑은 가을 아래 하얀 메밀밭. 꽃놀이하는 꿀벌들……. 논이 있어야 벼농사짓듯 꿀샘식물 있어야 꿀벌 기른다.
메밀꽃과 꿀벌 (사진 자연꿀동호회 산신령)
지난날 3대밀원인데 요사이는 메밀꿀은 못 떠도 겨울먹이가 절약된다.
<참고자료> 양봉에 쓰이는 EM의 종류
“뜸팡이(EM. 효소)는 세균을 죽이고, 산(개미산 옥살산 젖산)은 응애와 곰팡이를 없앤다.”
자연꿀 천연꿀 유기양봉 선언문 중에서 양봉에 쓰이는 EM의 종류이다.
[사전에서]
EM 또는 유용미생물군(Effective Microorganisms)은 일본 류큐대학 농학부교수 히가 데루오(일본어: 比嘉照夫)박사가 1983년 토양개량, 자연·유기농업에 이용을 목적으로 개발한 미생물 자재의 명칭이다.
효모, 유산균, 누룩균, 광합성 세균, 방선균 등 80여 종의 유용한 미생물을 모아 배양한 것이다.
(자료 : 부산 기장군농업시술센터)
<참고자료>감로꿀
감로꿀이 들어와 산란할 자리가 없도록 꿀이 가득 찬 벌집(자연꿀동호회에서)
감로꿀은 기온이 높고 날씨가 가물 때 식물은 말라 주지 않기 위하여 당분을 분비하여 잎을 코팅한다. 이 당액을 꿀벌이 수집하여 벌집에 저장 전화 한 것이 감로꿀이다. . 진한 갈색이며 맛은 군고구마 맛이 납니다. 고로수 수액을 30배 정도 농축하면 감로꿀과 비슷하게 된다.
칼슘함량이 일반꿀보다 높고 강력한 항산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반꿀은 라디컬 소거능력(항산화능력)이 28.7%인데 감로꿀은 66.85라고 한다. (농촌진흥청자료)
일부 지역에서만 감로꿀이 분비되어 산란권이 압박될 정도였으나 지난해에는 전국적으로 감로꿀이 분비되었다. 감로꿀은 벌집에서 결정되어 굳어지는 일이 있으므로 채취도 어렵고 벌의 먹이로도 적당치 않다.
감로꿀이 분비되면 자연생꿀을 물을 2배로 타서 사양하면 당액이 섞이지 않고 꿀을 뜰 수 있다.
3번째 꿀이 감로꿀이다. 겨울을 지나면 결정이 이루어진다. 감로꿀이 섞인 꿀을 오래 두었을 때 3층으로 되었다고 한다. 소린 꿀이 감로꿀( 사진 제공 칠곡 양봉인)
첫댓글 다시 정리하고 있습니다.
착오 누락 의문점을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둘 째 사진 바이텍스의 벌과 네번 째 깨꽃에 붙은 벌의 가슴 뒷쪽 날개사이에 반짝이는 것은 무엇입니까?
"담로꿀이 섰인 뚤" 오자입니다.
감사합니다. 고쳤습니다.
밤늦게 졸린 눈으로 친 오타입니다. ㅎ
늘 살펴주시길 바랍니다.
전 세계에 닥친 10만년래의 폭염!
이제 시작이라니 무서운 생각이 듭니다.
지구환경이 파괴되고 있습니다.
저탄소 탄소 중립하고 꿀샘 나무를 많이 심고
우리는 꿀벌 잘되게 하는 길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