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장간 |
乙(9), 癸(3), 戊(18) |
시 |
오전7시 - 오전9시 |
달 |
습기가 있는 3月 |
특징 |
水의 墓地 |
의미 |
전답, 농사지을 땅, 갯벌, 진창, 하수구, 지렁이, 녹용, 산 |
① 환상의 동물인 龍을 말하며 변화와 탈피, 탈속 등을 말한다.
㉠ 뜻을 펴고 발전하는 시기가 온 것이다.
㉡ 뛰어난 재주와 인생경험이 많으며 세상에 씨를 뿌리고 활동할 수 있는 모든 여건이 되는 시기이다. 인간이 살아감에 있어 가장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② 삶의 굴곡이 많고 한 가지 일을 하기가 어려우며 대인관계에서 우유부단하게 행동하거나 주변의 문제에 얽매이는 성향이 있다.
㉠ 만물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니 기술에 능하고 재주가 많다.
㉡ 남의 밑에 있기를 싫어하며 자기위시를 하는 경향이 있어 인간관계에서 손실이 있으며 의욕이 강하나 독선이 강하여 타인의 말을 무시하는 경우가 있다.
㉢ 대체로 외면에서는 유순하나 내면은 강하고 우월감과 집착이 강하며 총명한 사람이 많다.
③ 辰土는 비옥한 전답과 생명을 키워 나가는 시기이며 이제부터 木이라는 생명의 준비단계를 씨를 뿌리고 키워 나갈 준비가 모두 끝난 모습이다.
㉠ 딱딱한 씨앗이 변화의 단계가 시작이 되니, 새로운 일이나 미래지향적인 일에 전념을 하며 이미 지나간 것을 버리고 배신하며 자기에게 돌아올 火를 바라니 주변을 보살피고 남아 있기가 어렵다.
㉡ 辰土는 濕한 기운을 가지고 있으며 火절의 마름이 시작되기 직전이다.
㉢ 성격, 가풍 등을 버리고 현실에 맞는 배움의 단계이며 탈피를 할 것이다.
④ 辰土가 木을 보고 燥한 것을 濕하게 만드니 병이 많고 갑자기 사고가 발생하거나 심신이 고달프다.
㉠ 辰이 木을 보고 木이 되나 燥木이 아니라 濕木이 되는 것이다. 앞에 나서는 것이 아니라 뒤에서 보좌를 하거나 어려운 일이나 사고 등을 해결하는 것이다.
㉡ 이런 팔자는 주변에서 초상이나 변고 등을 접하는 일이 많거나 부고장을 받거나 불행한 자를 만날 일이 있다.
㉢ 辰에게 木은 뒷일, 혹은 마무리, 작은 일이나 소일거리, 거들어줘야 하는 상황이나 그런 사람(木)을 만나는 것이다.
⑤ 辰土가 火를 보면 현장 업무나 기술을 배우는 초보단계나 첫 출근 등을 암시한다.
㉠ 아직 숙달되지 못한 것 혹은 낯가림이나 미개척지로 진출함 등을 말한다. 새로이 인생을 출발하며 항상 도전과 실험 정신으로 삶을 사는 것이다.
㉡ 성질대로 못산다. 계절의 끝자락 태생이라 마무리 하고 다음을 준비해야 한다.
㉢ 辰이 火를 보는데 투덜대면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사람이라고 평가받는 것이다.
㉣ 벌인 일을 가지고 투덜댄다. 지나간 일에 대해서 탓을 하며 물건 반품하러 간다.
㉤ 辰이 火를 보면 결혼이나 직장, 투자나 지출, 구입 등을 하고 뒤에서 후회 한다.
⑥ 성질대로 살려면 계절의 중앙에 태어나야 한다.
⑦ 辰土가 土를 보면
㉠ 환절기의 만남이므로 고르고 선택하고 버리고 해야 하는 등의 생각할 일이 많다.
㉡ 잡기에 능하고 모사에 뛰어 나다.
㉢ 마음에 변덕이 있고 싫증이 잘 난다.
㉣ 환절기란 변덕이 심한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 辰戌丑未는 인생의 쓴맛, 단맛을 다 본 사람, 성공과 실패 등의 좌절을 겪은 사람을 말한다.
⑧ 辰月이 土를 보면 잡다한 인간 군상들 속에서 살아야 한다.
㉠ 사연이 많고 힘든 자들을 만나 상담이나 안내를 하는 경우가 있고 실패한 자나 불운한 사람과 결혼을 하거나 연애를 하며 주로 어렵고 힘든 자와 함께 동업을 하거나 일거리를 나누기도 하며 먹이고 보살핀다.
㉡ 종교인이 되는 경우도 있으며 타인의 재물이나 금전 출납 등을 담당하기도 한다.
㉢ 燥濕이 자주 바뀌므로 인간사를 잘 알고 사람 속을 아는 재주가 있으며 혼자 생각이 많으며 마음에 번뇌를 안고 산다.
㉣ 寒暖이 잘된 것은 세월이나 세상 혹은 때와 장소를 잘 알고 있다.
⑨ 金을 보면
㉠ 木절기에 金절기와 합을 할 수 있는 재주가 있으니 하던 일을 바꾸고 만나던 사람을 바꾸거나 전생과 이생을 넘나는 등 변화가 무쌍하다.
㉡ 火의 계절을 넘어서 대립이 안 되고 합이 드니 이해심이 많고 속마음을 감추고 대화를 하기도 하며 과정은 생략하고 결과를 중시하기도 한다.
㉢ 辰이 金을 보면 잘 대해줘도 결과가 더 중요한 사람이다.
⑩ 辰土가 水를 만나면 금전, 재복으로 우여곡절이 많고 富하면 貴하지 못하고 권력을 가지면 명예를 가지지 못한다.
㉠ 辰戌丑未는 무엇이던 生관계에서 단절되는 습성이 있고 한편으로 기움 현상이 있다.
㉡ 富貴功名이 함께 가지 못한다.
㉢ 土水관계는 주로 금전, 물질 등으로 사람이 대립이 되거나 혹은 인간관계가 나빠지는 것이다. 연애를 하던 가정을 꾸리던 사업을 하던 모든 것이 물질에 의하여 관계가 좋고 나쁜고로 연결이 된다.
㉣ 잡기월 태생은 이혼할 때 혹은 파혼, 동업파기, 계약파기 때 금전으로 타협 기간이 오래 간다.
㉤ 木절기에 습한 기운을 가지고 있으니 몸에 병이 많고 피가 탁하며 호흡기가 약한 편이다. 또한 피부가 거치고 어둡다.
㉥ 치질, 염증, 습진, 설사를 의미한다.
<예문 2>
壬 壬 壬 丙 坤, 스님
寅 戌 辰 午
① 월령 진토가 병화 끈다. 진술충 습목과 조금의 상전 -> 개인 문제가 아니라 집안 문제
② 갑자기 살이 찜 : 진토 -> 하체부터 두꺼워짐.
③ 화습 -> 좌불안석. 화운 오면 안 된다. 정해년만 넘기세요.
④ 편재 성분 때문에 타인의 돈을 끌어 지역 설정을 한다. -> 종교사업 적당하다.
⑤ 토수 관계 -> 돈관계, 인간관계 주의.
※ 진토가 망가뜨리는 것
1. 병화 -> 화식. 우울증. 허리통증. 관절. 부계가 병약, 심약하다.
2. 임수 -> 혼탁. 금전채무관계. 채무불이행. 선의의 피해자.
3. 경금 -> 상전. 대인관계 고통, 다툼, 우여곡절.
을경암합 -> 애정문제 유발. 양다리. 오해라도 사게끔 한다.
첫댓글 3연속 1등~ 수고하셧어요.
내가 제일 좋아하는 강의 내용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