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th Korean mega-churches 한국의 대형교회
For God and country 신과 나라를 위해…
An influential pastor comes under scrutiny for his business dealings
영향력 있는 목사. 사업거래로 조사 받다.
Oct 15th 2011 | SEOUL | from the print edition
Big in Korea
KOREA has long been a hotbed of religiosity. Before a certain Kim Il Sung began having other ideas, Pyongyang (now the capital of North Korea) used to be known as “The Jerusalem of the East”. And in today’s Seoul, practitioners of traditional shamanism, Buddhism, Christianity and even cults such as the Unification Church (better known in the West as the Moonies), all have plenty of followers.
오랫동안 한국은 신앙심의 산실이었다. 김일성이 인간 이상의 존재가 되기 시작하기 전부터, 평양(이제는 북한의 수도가 된)은 "동양의 예루살렘"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리고 현재는 서울에서, 전통적 토속신앙, 불교, 기독교, 그리고 심지어는 통일교 같은 사이비 종교 지도자들을 많은 신도들이 따르고 있다.
Many of them also have lots of money (not least because religious institutions are tax-exempt). The Protestant church, in particular, seems to have produced a tribe of flashy, mansion-dwelling pastors. This is partly a result of the character of Korean Protestantism: a common theme, for instance, at the Yoido Full Gospel Church in Seoul is that a poor Christian is not a good Christian. However, it is also a result of the incentives created by the sheer size of some churches. Yoido itself ranks as the largest Christian congregation in the world, with over 1m members. Another, Somang Church, has hundreds of thousands of faithful, including South Korea’s president, Lee Myung-bak.
돈이 많은 종교지도자도 많이 있다(종교단체가 면세혜택을 받기 때문만은 아니다.). 특히 개신교는 소위 호위 호식하는 목사를 많이 배출해온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한국식 개신교의 특성이 만들어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의도 순복음교회에서는 가난한 기독교인은 훌륭한 기독교인이 아니라는 주제를 갖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개신교 목사들이 돈이 많은 이유로 일부 교회의 엄청난 규모로 인해 발생하는 혜택을 들 수 있다. 여의도순복음 교회는 신자 수 면에서 세계 1위로 그 수가 1백만 명이 넘는다. 또 다른 교회인 소망교회는 이명박 대통령을 포함해 신자가 수십만에 이른다.
With all these people throwing their spare won into the collection plate, mega-churches have become big businesses. Yoido Full Gospel Church’s founder Cho Yong-gi, who has run the congregation since 1958, has family interests ranging from private universities to newspapers. Members of his church were once asked to pray for higher sales for one of his titles.
이러한 많은 신자들이 교회에 한푼 두푼 헌금을 하는 가운데 대형교회는 점차 거대한 사업과도 같아졌다. 순복음교회 창립자인 조용기 목사는 1958년 이래 주욱 그 교회를 운영해 왔고, 조 목사 일가는 사립대학, 신문사 등에 이해관계가 있다. 조 목사의 순복음 교회 신도들은 조 목사가 운영하는 사업이 높은 수익을 올리도록 기도해 달라는 요청을 받은 적도 있다.
A pastor at a Seoul-based church of a mere 60,000 members notes that the likes of Yoido have become “so big, and with assets so huge, that human greed comes into play”. And in late September, following complaints by 29 church elders, prosecutors began investigating Mr Cho over the alleged embezzlement of 23 billion won ($20m) from Yoido’s funds. A documentary aired by MBC, a television station, claims that this money was used to buy property in America. The show also charged that Mr Cho’s wife sold a building constructed with collection money for her own gain. Its buyer was Hansei University—an institution where she also happens to be president. Mr and Mrs Cho deny the allegations.
신도수가 6만 명 밖에 되지 않는 서울의 한 교회의 목사는 순복음교회 같은 대형 교회는 몸집이 너무나 거대해졌고, 엄청난 자산을 소유한 가운데 인간적 탐욕이 교회에 개입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리고 지난 9월, 교회 장로 29명의 고발에 따라 검찰은 순복음교회 자금 230억 원의 횡령 혐의로 조 목사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 MBC방송국이 방영한 한 프로에 따르면, 이 자금이 미국에서 부동산을 구입하는데 이용됐다고 한다. 이 프로는 교회 헌금으로 지어진 건물을 조 목사의 부인이 사사로운 이익을 위해 매각했다고 했다. 그 건물의 매입자는 한세 대학으로 조 목사 부인이 통장으로 있는 곳이다. 조 목사 부부는 이에 대한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Yoido Church’s founder is rarely out of the news in South Korea. In March he sparked a storm of criticism by claiming the earthquake and tsunami in Japan was “God’s warning” to a country that follows “idol worship, atheism, and materialism”.
조 목사에 대한 보도는 하루가 멀다 하고 신문지상에 오르내린다. 3월에는 일본에서 있었던 지진과 쓰나미가 “우상숭배, 무신론, 물질만능주의”를 좇는 나라에 대한 “하느님의 경고”라는 주장으로 거대한 비난을 불러일으켰다.
He is also too political for some. When President Lee’s government drew up plans to legislate for Islamic sukuk bonds in South Korea, Mr Cho argued that this would aid “terrorists”, and that the president was forgetting the vital role the Protestant lobby had in electing him. Following concerted efforts by Mr Cho and other South Korean church leaders, the government blinked first, and the plan was dropped.
어떤 경우에는 지나치게 정치적일 때도 있다. 이명박 대통령이 한국에 이슬람의 수쿠크 본드를 허가하려는 계획을 마련했을 때, 조 목사는 그 조치는 “테러리스트”를 지원하는 것이고, 대통령이 당선 시 개신교들이 한 중요한 역할을 잊고 있다고 주장했다. 조 목사와 여타 교회 목사들이 합심한 저지노력에 정부는 처음에는 꼼짝도 하지 않았지만, 곧 그 계획은 폐기됐다.
There are plenty of rank-and-file Christians in South Korea who do not indulge in the cathedralism of the mega-pastors. Many of the underground networks helping North Koreans on the run in China are organised by South Korean Christians. Refugees who reach South Korea are often cared for by church groups, and South Korean church aid-agencies are usually among the first to respond to natural disasters around the world, including the Japanese tsunami in March.
대형교회 목사들의 “대성당주의”에 빠지지 않은 교인도 많이 있다. 중국에서 도망자 신세에 있는 북한 탈북자들을 돕는 숨은 네트워크 중 상당수를 조직한 것도 한국의 기독교 인들이다. 한국에 도착한 망명자들을 돌보는 것도 교인들이고 한국 교회의 원조단체는 3월 일본 쓰나미 등을 비롯해 세계적으로 재난 발생시 대응작업에 가장 먼저 달려간다.
But in a country that thrives on group activities and collective bonding, as well as religion, Seoul is a natural home for mega-churches. The likes of Mr Cho, for all their flaws, provide something that millions of Koreans find irresistible.
그러나 단체 행동과 집단적 유대감, 그리고 종교를 바탕으로 승승장구하는 나라, 한국에서 서울은 대형교회의 본거지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목사 같은 부류는 그들의 잘못된 점에도 불구하고 수백만의 한국인들이 거부할 수 없는 무언가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