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8. 법설의설경(法說義說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구류수의 조우라고 하는 마을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는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이제 연기법(緣起法)에 있어서 그 법에 대한 설명[法說]과 뜻에 대한 설명[義說]을 말하리라.
자세히 듣고 잘 생각하여라. 마땅히 너희들을 위해 설명하리라.
무엇이 연기법의 법에 대한 설명인가?
云何緣起法法說
이른바 '이것이 있기 때문에 저것이 있고, 이것이 일어나기 때문에 저것이 일어난다'고 하는 것이니,
謂此有故彼有。此起故彼起。
즉 무명을 인연하여 행이 있고 ……(내지)…… 순전한 괴로움뿐인 큰 무더기가 발생하느니라.
謂緣無明行。乃至純大苦聚集。
이것을 연기법의 법에 대한 설명이라고 하느니라.
是名緣起法法說。
무엇이 연기법의 뜻에 대한 설명인가?
云何義說。
이른바 '무명을 인연하여 행이 있다'고 한다면 그 어떤 것을 무명(無明)이라 하는가?
謂緣無明行者。彼云何無明。
만일 과거를 알지 못하고 미래를 알지 못하고 과거와 미래를 알지 못하며,
若不知前際.不知後際.不知前後際。
안을 알지 못하고 밖을 알지 못하고 안팎을 알지 못하며,
不知於內.不知於外.不知內外。
업(業)을 알지 못하고 과보(果報)를 알지 못하고 업과 과보를 알지 못하며,
不知業.不知報.不知業報。
부처님을 알지 못하고 법을 알지 못하고 승가를 알지 못하며,
不知佛.不知法.不知僧。
괴로움을 알지 못하고 발생을 알지 못하며,
不知苦.不知集.
소멸을 알지 못하고 길을 알지 못하며,
不知滅.不知道。
인(因)을알지 못하고 인이 일으키는 법을 알지 못하며,
不知因.不知因所起法。
착함과 착하지 않음을 알지 못하고,
죄가 있고 죄가 없음과 익히고 익히지 않음과 못나고 뛰어남과
더럽고 깨끗함과 연기에 대한 분별을 모두 알지 못하며,
不知善不善.有罪無罪.習不習。若劣.若勝.染污.清淨。分別緣起。皆悉不知。
6촉입처를 사실 그대로 깨달아 알지 못하고,
於六觸入處。不如實覺知。
이러저러한것을 알지 못하고 보지 못하며,
於彼彼不知.不見.
빈틈없고 한결같음[無間等]이 없어 어리석고 컴컴하며,
無無間等.癡闇.
밝음이 없고 크게 어두우면 이것을 무명이라고 하느니라.
無明.大冥。是名無明。
무명을 인연하여 행이 있다 하니, 어떤 것을 행(行)이라고 하는가?
緣無明行者。云何為行。
행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몸의 행[身行]·입의 행[口行]·뜻의 행[意行]이니라.
行有三種。身行.口行.意行。
행을 인연하여 식이 있다 하니, 어떤 것을 식(識)이라고 하는가?
緣行識者。云何為識。
6식신(識身)을 이르는 말이니,
謂六識身。
안식신(眼識身)·이식신(耳識身)·비식신(鼻識身)·설식신(舌識身)·신식신(身識身)·의식신(意識身)이니라.
식을 인연하여 명색(名色)이 있다 하니, 어떤 것을 명(名)이라고 하는가?
緣識名色者。云何名。
이른바 네 가지 형상[色]이 없는 음(陰)이니, 謂四無色陰。
즉 수음(受陰)·상음(想陰)·행음(行陰)·식음(識陰)이니라.
어떤 것을 색(色)이라고 하는가? 4대(大)와 4대로 만들어진 것을 색이라고 말한다.
云何色。謂四大.四大所造色。是名為色。
이 색과 앞에서 말한 명을 합해 명색이라고 하느니라.
此色及前所說名是為名色。
명색을 인연하여 6입처(入處)가 있다 하니, 어떤 것을 6입처라고 하는가?
緣名色六入處者。云何為六入處。
6내입처(內入處)를일컫는 말이니,
謂六內入處。
안입처(眼入處)·이입처(耳入處)·비입처(鼻入處)·설입처(舌入處)·신입처(身入處)·의입처(意入處)이니라.
6입처를 인연하여 접촉이 있다 하니, 어떤 것을 접촉[觸]이라고 하는가?
緣六入處觸者。云何為觸。
이른바 6촉신(觸身)이니,
謂六觸身。
안촉신(眼觸身)·이촉신(耳觸身)·비촉신(鼻觸身)·설촉신(舌觸身)·신촉신(身觸身)·의촉신(意觸身)이니라.
접촉을 인연하여 느낌이 있다 하니, 어떤 것을 느낌[受]이라고 하는가?
緣觸受者。云何為受。
3수(受)를 이르는 말이니,
謂三受。
괴롭다는 느낌·즐겁다는 느낌·괴롭지도 않고 즐겁지도 않다는 느낌이니라.
苦受.樂受.不苦不樂受。
느낌을 인연하여 애욕이 있다 하니, 어떤 것을 애욕이라고 하는가?
緣受愛者。彼云何為愛。
이른바 3애(愛)이니,
謂三愛。
욕애(欲愛)·색애(色愛)·무색애(無色愛)이니라.
欲愛.色愛.無色愛。
애욕을 인연하여 취함이 있다 하니, 어떤 것을 취함[取]이라고 하는가?
緣愛取者。云何為取。
4취(取)이니,
四取。
탐욕에 대한 취함[欲取]·소견에 대한 취함[見取]·계에 대한 취함[戒取]·나에 대한 취함[我取]이니라.
欲取.見取.戒取.我取。
취함을 인연하여 존재가 있다 하니, 어떤 것을 유[有]라고 하는가?
3유(有)이니,
욕유[欲有]·색유[色有]·무색유[無色有]이니라.
존재를 인연하여 태어남이 있다 하니, 어떤 것을 태어남[生]이라고 하는가?
緣有生者。云何為生。
만일 이러저러한 중생들이 이러저러한 몸의 종류로 생겨나, 뛰어넘고 화합하고 태어나서
若彼彼衆生。彼彼身種類一生。超越和合出生。
음(陰)을 얻고, 계(界)를 얻고, 입처(入處)를 얻고, 명근(命根)을 얻으면 이것을 태어남이라고 하느니라.
得陰.得界.得入處.得命根。是名為生
태어남을 인연하여 늙음과 죽음이 있다 하니, 어떤 것을 늙음[老]이라고 하는가?
緣生老死者。云何為老。
만일 털이 하얗게 세고 정수리가 벗겨지며, 가죽이 늘어지고 감각기관이 문드러지며,
사지가 약해지고 등이 굽으며, 머리를 떨어뜨리고 끙끙 앓으며,
숨이 짧아져 헐떡이고 앞으로 쏠려 지팡이를 짚고 다니며,
몸이 시커멓게 변하고 온몸에 저승꽃이 피며, 정신이 희미해져 멍청히 있고
거동하기 어려울 정도로 쇠약해지면
이것을 늙음이라고 하느니라.
若髮白露頂。皮緩根熟。支弱背僂。垂頭呻吟。短氣前輸。柱杖而行。
身體黧黑。四體班駮。闇鈍垂熟。造行艱難羸劣。是名為老
어떤 것을 죽음[死]이라고 하는가?
이러저러한 중생들이 이러저러한 종류로 사라지고, 옮기며, 몸이 무너지고, 수(壽)가 다하며,
따뜻한 기운이 떠나고, 명(命)이 소멸하여 음(陰)을 버릴 때가 이르면 이것을 죽음이라고 한다.
이 죽음과 앞에서 말한 늙음을 합해 늙음과 죽음이라고 한다.
云何為死。彼彼衆生。彼彼種類沒.遷移.身壞.壽盡.火離.命滅。捨陰時到。是名為死。
此死及前說老。是名老死。
이것을 연기의 뜻에 대한 설명이라고 하느니라
是名緣起義說。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여러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S.12.2
Dwelling at Savatthi... "Monks, I will describe & analyze dependent co-arising for you.
(서로 의존하여 함께 일어난다는 것이 무엇인지 설명하겠다)
"And what is dependent co-arising?
(연하여 함께 일어나는 것이란 무엇인가)
From ignorance as a requisite condition come fabrications.
(행 :조작은 무명으로부터 온다.)
From fabrications as a requisite condition comes consciousness.
(식은 행으로 부터 온다)
From consciousness as a requisite condition comes name-&-form.
(명색은 식으로부터 온다)
From name-&-form as a requisite condition come the six sense media.
(육입은 명색으로부터 온다)
From the six sense media as a requisite condition comes contact.
(촉은 명색으로부터 온다)
From contact as a requisite condition comes feeling.
(수는 촉으로부터 온다)
From feeling as a requisite condition comes craving.
(애는 수로부터 온다)
From craving as a requisite condition comes clinging/sustenance.
(취는 애로부터 온다)
From clinging/sustenance as a requisite condition comes becoming.
(유는 취로부터 온다)
From becoming as a requisite condition comes birth.
(생은 유로부터 온다)
From birth as a requisite condition, then aging & death, sorrow, lamentation, pain, distress, & despair come into play.
(생으로부터 노사우비고뇌 등이 작동한다)
Such is the origination of this entire mass of stress & suffering.(이것이 고통의 덩어리의 근원이다)
"Now what is aging and death?
(노사란 무엇인가)
Whatever aging, decrepitude, brokenness, graying, wrinkling, decline of life-force, weakening of the faculties of the various beings in this or that group of beings, that is called aging.
(어떤 것이든지 노화하는 것, 노쇠하는 것, 부수어지는 것, 퇴색해가는 것, 쭈글쭈글해지는 것, 생력이 줄어드는 것,
이런 저런 종류의 존재들에 있어서 여러 가지 기능이 쇠퇴하는 것을 노화라고 한다.
Whatever deceasing, passing away, breaking up, disappearance, dying, death, completion of time,
break up of the aggregates, casting off of the body, interruption in the life faculty of the various beings
in this or that group of beings, that is called death.
(어떤 것이든지 끊어지는 것, 떠나는 것, 사라지는 것, 죽은 것, 죽음, 시간의 완성,
오취온의 붕괴, 몸에서 벗어나는 것, 이런 저런 이러한 여러 가지 존재의 삶의 기능들이 방해를 받는 것 을 죽음이라고 한다)
"And what is birth? Whatever birth, taking birth, descent, coming-to-be, coming-forth, appearance of aggregates, & acquisition of [sense] media of the various beings in this or that group of beings,
that is called birth.
(생이란 무엇인가. 무엇이든지 태어나는 것, 출생하는 것, 오온이 나타나는 것,
이런 저런 존재하는 것들에게서 육입이 얻어지는 것을 생이라고 한다.)
"And what is becoming? These three are becomings: sensual becoming, form becoming, & formless becoming.
This is called becoming.
(유란 무엇인가? 세 가지 유가 있다. 욕유, 색유, 무색유이다. 이것을 유라고 한다)
"And what is clinging/sustenance?
These four are clingings: sensuality clinging, view clinging, precept & practice clinging, and doctrine of self clinging.
This is called clinging.
(무엇을 취라고 하는가? 네가지 취가 있다. 욕취, 견취, 계취, 아취 등이다. 이것을 취라고 한다)
"And what is craving?
These six are classes of craving:
craving for forms, craving for sounds, craving for smells,
craving for tastes, craving for tactile sensations, craving for ideas. This is called craving.
(애- 색애, 성애, 향애, 미애, 촉애, 법애)
"And what is feeling? These six are classes of feeling:
feeling born from eye-contact, feeling born from ear-contact, feeling born from nose-contact,
feeling born from tongue-contact, feeling born from body-contact,
feeling born from intellect-contact. This is called feeling.
(수- 안촉수, 이촉수, 비촉수, 설촉수, 신촉수, 의촉수)
"And what is contact?
These six are classes of contact: eye-contact, ear-contact, nose-contact,
tongue-contact, body-contact, intellect-contact. This is called contact.
(촉- 안이비설신의촉)
"And what are the six sense media?
These six are sense media: the eye-medium, the ear-medium, the nose-medium, the tongue-medium,
the body-medium, the intellect-medium. These are called the six sense media.
(육입처- 안입처, 이입처, 비입처, 설입처, 신입처, 의입처)
"And what is name-&-form?
Feeling, perception, intention, contact, & attention: This is called name.
(명색이란? 명이란? 수,상, 행, 식(contact 와 attention 은 무엇이라 하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The four great elements, and the form dependent on the four great elements: This is called form.
(색이란? 사대와 사대에 의존하는 색)
This name & this form are called name-&-form.
(이것을 명색이라 한다)
"And what is consciousness?
These six are classes of consciousness:
eye-consciousness, ear-consciousness, nose-consciousness,
tongue-consciousness, body-consciousness, intellect-consciousness.
This is called consciousness.
(식- 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 의식을 식이라고 한다)
"And what are fabrications?
These three are fabrications: bodily fabrications, verbal fabrications, mental fabrications.
These are called fabrications.
(행- 신행, 구행, 의행)
"And what is ignorance?
Not knowing stress, not knowing the origination of stress,
not knowing the cessation of stress, not knowing the way of practice leading to the cessation of stress:
This is called ignorance.
(무명 - 고집멸도 사성제를 모르는 것을 무명이라 한다)
"Now from the remainderless fading & cessation of that very ignorance comes the cessation of fabrications.
From the cessation of fabrications comes the cessation of consciousness.
From the cessation of consciousness comes the cessation of name-&-form.
From the cessation of name-&-form comes the cessation of the six sense media.
From the cessation of the six sense media comes the cessation of contact.
From the cessation of contact comes the cessation of feeling.
From the cessation of feeling comes the cessation of craving.
From the cessation of craving comes the cessation of clinging/sustenance.
From the cessation of clinging/sustenance comes the cessation of becoming.
From the cessation of becoming comes the cessation of birth.
From the cessation of birth, then aging & death, sorrow, lamentation, pain, distress, & despair all cease.
Such is the cessation of this entire mass of stress & suffering."
(무명이 멸하면 행이 멸하고
행이 멸하면 식이 멸하고..
....
생이 멸하면 노사우비고뇌 등의 모두 끝난다.
이것을 고통의 완전한 덩어리의 멸이라고 한다.)
-----------------------------------
영문은 아주 거칠게 직역한 것입니다.
파초의 마구잡이 실력이니 너그러이 봐 주시고,
언제든지 고쳐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첫댓글 헌데 무슨 별다른 이야기가 있어 보이지는 않습니다. 시간이 걸려서 올렸지만요... 그저 보통 알고 있는 십이연기 이외에 더 자세한 설명은 없는 것 같아요.
돛단배님의 아랫글에서의 대화를 통해서 한가지 사항을 강조하면,, 행에 의해 생긴 식은 조작에 의한 식이며 이것은 안과 색, 즉 내입처, 외입처를 연하여 생긴 식을 말하는 것으로 만약 이 식이 육근과 육경에 의해 생긴, 망념이 전혀 개입되지 않은 식이라면 행에서 발생했다고(즉 조작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이 식을 그냥 우리의 순수의식으로 오해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순수의식, 즉 깨어있는 상태의 식이라면 이 식을 멸하면 의식이 없어지는 것이므로 죽는 것이나 마찬가지겠지요. 두 가지를 구분해야 할 것입니다.
fabrications(행)은 bodily fabrications, verbal fabrications, mental fabrications 를 말합니다. 다른 경을 참조하면 bodily fabrications은 in&out breath로, verbal fabrications 은 directed thought(심), evaluation(사)로, mental fabrications 은 feeling(수), perception(상) 로 정의됩니다. 그리고 12연기에서 식은 육식으로 정의됩니다. 그러므로 [행에 의존해 일어난 식]을 풀어서 설명하면 ["들숨날숨, 심, 사, 수, 상 " 에 의존해 일어난 "안식 ~ 의식" ]이 됩니다.
[명색에 의존해 일어난 식]을 풀어서 설명하면 ["색, 수, 상, intention, 촉, attention" 에 의존해 일어난 식]이 됩니다.
근과 경에 의존해 식이 일어난다 고 대개 설명되는데 어떤 경에서는 attention(주의]라는 조건이 추가로 붙었던 것이 기억납니다. - 제 기억에 의존한 거라 확신을 가지고 말하지는 못하겠습니다. 찾아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행은 한글로 보통 설명할 때 유위의 행으로 사람의 의도가 포함된 것을 이야기하고 그래서 무명으로 인해 생기는 것이겠지요. 십이연기의 식은 이러한 과정에서 생기는 것으로 사람이 의식이 없다, 있다 할 때의 그 의식과는 다른 차원의 식이라는 것이 저의 요지입니다. 그것에는 동의하시겠지요. 명색에 의존한 식은 오온과 상호 연기하는 식이겠구요.
근과 경에서 일어나는 순수한, 무명이나 욕탐이 개입되지 않은 식은 반야라고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저는 오온의 나타남과 육입의 현현에 주목합니다.그런데 본문은 잘 보이질 않네요.각묵스님 역을 인용합니다.[“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태어남인가? 이런저런 중생들의 무리로부터 이런저런 중생들의 태어남, 출생, 도래함, 생김, 탄생, 오온의 나타남, 감각장소[處]를 획득함 ―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태어남이라 한다.”라고 태어남을 정의하고 계십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분명히 특정한 존재로 태어나는 것을 뜻하고 있습니다. ]
이분은 오온을 물질,정신/몸,마음으로 인간으로 보고 있고 육입은 감각기관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상한 부분이 발견됩니다. 오온이 인간 존재라면 인간이란 눈코입..을 이미 가지고 있지 않나요? 감각기관 없는 사람 없지요. 육입의 획득이란 감각기관의 획득인가요? 2용어는 동어 반복이기도하지만 부처가 인간존재가 나타나고 감각기관도 획득 한다고 했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위에는 appearance of aggregates, & acquisition of [sense] media --> 오취온이 나타나는 것, 육입을 얻는 것 이라고 제가 대강 번역을 해 놔서.. 노랑님이 주목하는 부분은 바로 여기입니다.
그 부분 맞습니다.aggregates 이 단어가 집합,통계,결집,모으다 라는 의미가 있으므로 몸,마음,인간,사람을 의미 하기보다 '취'의 '식'의미가 적당하다고 보여집니다. 육입은 영문본을 통해 판단하기에 애매한 상태지만 오온을 인간의미의 역이 보이지 않으므로 태어남을 생물적 생으로 보면 안되는 부분이군요. 영어로 보니 확실히 다가 옵니다.
제가 가져온 그 싸이트에서 사실 취온은 clinging- aggregates 라고 해서 aggregates 와는 다르게 사용하고 있긴 합니다. 저도 그냥 온이라고 고치겠습니다. 그런데 온이나 aggregates 나 모두 쌓였다는 의미가 내포된 것이니 그 쌓인 것이 무엇일까 한번 생각해 보면 어떨까 싶어요.
감각의 장소라고 한 처가 sense media로 영문번역이 되어 있는 것이 보입니다. 이 media 를 보니 처가 어떤 장소라는 뜻으로 이해되고 있는 듯 합니다. 감각이 이루어지는 장소,, 어디일까. 능엄경이 문득 떠오르네요.
처로 번역된 감각장소란 아주 어려운 말이라 생각됩니다. 처는 장소, 바탕,집,거주지 등의 많은 뜻이 있습니다.안입처란 얼굴의 눈썹 밑인가요^^
명색의 명에 관해: <아함>- 이른바 네 가지 형상[色]이 없는 음(陰)이니(謂四無色陰),즉 수음(受陰)·상음(想陰)·행음(行陰)·식음(識陰)이니라. <니까야>- Feeling(수음), perception(상음), intention, contact(촉), & attention: This is called name(명).
[형상[色]이 없는 음(陰)이니]란 표현은 [그림자] 란 이미지를 떠올립니다. 무엇의 그림자일까요?
육입처에 대해: <아함>-6내입처(內入處)를 일컫는 말이니, 안입처(眼入處)·이입처(耳入處)·비입처(鼻入處)·설입처(舌入處)·신입처(身入處)·의입처(意入處)이니라. <니까야>-These six are sense media: the eye-medium, the ear-medium, the nose-medium, the tongue-medium, the body-medium, the intellect-medium. These are called the six sense media.(육입처- 안입처, 이입처, 비입처, 설입처, 신입처, 의입처)
왜 아함에선 6입처가 아니라 6내입처라 표현했을까요?
육입을 보통 12처, 육입으로 부릅니다.그러니깐 육입처는 육내입처(안이비설신의)와 육외입처(색성향미촉법)로 나눕니다. 제가 보기엔 내입처 부분만 쓰인 것 같네요
수에 대해: <아함>-3수(受)를 이르는 말이니, 괴롭다는 느낌·즐겁다는 느낌·괴롭지도 않고 즐겁지도 않다는 느낌이니라 <니까야>-These six are classes of feeling: feeling born from eye-contact, feeling born from ear-contact, feeling born from nose-contact, feeling born from tongue-contact, feeling born from body-contact, feeling born from intellect-contact. (수- 안촉수, 이촉수, 비촉수, 설촉수, 신촉수, 의촉수)
애에 대해; <아함>-이른바 3애(愛)이니, 욕애(欲愛)·색애(色愛)·무색애(無色愛)이니라. <니까야>-These six are classes of craving: craving for forms, craving for sounds, craving for smells, craving for tastes, craving for tactile sensations, craving for ideas. (애- 색애, 성애, 향애, 미애, 촉애, 법애)
생에 대해: <아함>-만일 이러저러한 중생들이 이러저러한 몸의 종류로 생겨나, 뛰어넘고 화합하고 태어나서 음(陰)을 얻고, 계(界)를 얻고, 입처(入處)를 얻고, 명근(命根)을 얻으면 이것을 태어남이라고 하느니라. (得陰.得界.得入處.得命根。是名為生) <니까야>-Whatever birth, taking birth, descent, coming-to-be, coming-forth, appearance of aggregates, & acquisition of [sense] media of the various beings in this or that group of beings,
得陰은 appearance of aggregates에, 得入處는 acquisition of [sense] media 에 대응하는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