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털빕새귀리 (종명)
현재의 사진/직접 촬영하신 사진) 좌우 비율은 수정하지 말아주세요 전체컷, 부분컷(열매, 꽃, 잎, 줄기 등 특징이 될 만한컷) |
2020. 0 . / 공원(사진촬영장소 및 일시 기재)
2021.5.1. 12:25 충북대에서
2021.5.1. 12:25 충북대에서
2021.5.1. 12:25 충북대에서
2.학명: Bromus tectorum L
문: 피자식물문
강: 단자엽식물강
목: 화본목
과: 벼과
속: 참새귀리속
개화기: 6-7월
꽃색: 녹색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30-100cm
3. 생리생태학적 특징
(줄기, 꽃, 열매 등의 외형적 특징을 비롯하여 서식지 특징, 생태계적 특징, 서식지에 대한 특징등) 조사한 사진 또는 현장 사진 첨부하여 서술
분포
한국(중부 및 남부 근교), 북아메리카, 아시아
특징
잎
잎은 편평하고 짙은 녹색이며 폭 5-7mm로서 엽초와 더불어 털이 있고 잎혀는 막질이며 길이 2mm이다.
꽃
꽃은 6-7월에 피고 원뿔모양꽃차례는 길이 5-15cm로서 끝이 처지며 소수가 드문드문 달리고 소수는 길이 1.2-2cm로서 옆으로 편평하며 6-10개의 꽃이 들어있고 짙은 녹색이다. 포영은 길이가 같지 않으며 털이 있고 첫째 것은 길이 4-6mm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길이 8-10mm로서 3맥이 있다. 양성꽃의 호영은 길이 10-12mm로서 5맥이 있고 끝이 2개로 갈라지며 끝부분에서 길이 10-14mm의 까락이 돋는다. 내영은 길이 9mm 정도고 능선에 털이 있다.
줄기
높이 30-100cm이며 곧게 서고 가냘프다.
생육환경
들이나 경작지에서 자란다.
4. 숲 해설 소재에 관한 스토리텔링
(설화, 문화역사적 이야기, 이름과 관련된 유래 등 숲해설을 해주고 싶은 이야기)
참새귀리는 농촌 밭 경작지 주변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한해살이로 논처럼 습한 땅보다는 건조한 땅을 좋아한다. 그렇다고 땅속이 바싹 마른 곳보다는 수분이 늘 공급되면서도 습하지 않은 곳을 선호한다. 그리고 직사광선이 내리쬐는 곳에서 산다. 참새귀리와 아주 비슷한 털빕새귀리(Bromus tectorum)2) 또는 말귀리3)라고 부르는 신귀화식물(Neophyten)이 아주 흔하게 보인다. 유럽과 북미 원산인 털빕새귀리도 참새귀리와 마찬가지로 한해살이인데, 두 종의 서식처 조건에 미묘한 차이가 관찰된다.
참새귀리가 농촌형이라면 털빕새귀리는 도시형에 가깝다. 회색의 도시화와 산업화가 심하면 심할수록 서식처는 더욱 메마르고, 수분스트레스가 쉽게 발생하는데 그런 곳에서는 털빕새귀리의 출현빈도가 훨씬 높다. 자갈모래땅이라면 털빕새귀리의 출현빈도가 더욱 높다. 반면에 보다 온화한 농촌 환경의 서식처에서는 참새귀리가 더욱 흔하다. 농촌지역에서 털빕새귀리가 흔하게 관찰된다면, 그만큼 도시화가 많이 진행되었고, 농촌 생활환경이 심하게 메말라가고 있으며, 농촌의 고유 경관이 사라져 가고 있다는 증거다.
참새귀리는 털빕새귀리와는 형태적으로 많이 비슷해서 구분하기 어렵지만,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관찰하면 구분할 수 있다. 털빕새귀리는 식물체 전체에 털이 훨씬 많다. 특히 꽃대(花軸)가 만들어져 있으면 받침겨(苞潁) 겉에 나 있는 맥의 숫자에서 뚜렷이 구분된다.
털빕새귀리는 바깥잎겨(첫째 苞潁)에 맥이 하나지만, 참새귀리는 3~5개 있으며, 속잎겨(둘째 苞潁)에는 7~9개로 아주 많다. 모두 돋보기로 관찰하거나 망원경을 뒤집어서 관찰하면 확인할 수 있다.
참새귀리는 ‘참새’와 ‘귀리’의 합성어이고, 한자명 작맥(雀麦)과 일본명 수주메노쟈히끼(雀茶挽)에서 힌트가 된 것 같다. 일본명에서 ‘쟈히끼(茶挽)’는 메귀리를 지칭하며, 아마도 참새귀리건 메귀리건 식물체가 메마르면 갈색 차(茶) 색을 띠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말 식물명에 ‘참새’의 의미는 새(鳥)를 통칭하기도 하지만, ‘작다’는 의미 또는 ‘그다지 효용이 없다’는 의미도 있다. 속명 브로무스(Bromus)는 희랍어 ‘broma’에서 유래하고, 보리(barley)나 귀리(oat; 메귀리 참조)와 같은 곡식을 의미하는데, 특히 보리를 지칭한다.
5. 유사종에 대한 비교
(비슷하지만 다른 종에 대한 비교설명 또는 같은 계열의 다양한 종들에 대한 묶음 설명등)
유사종
• 참새귀리 : 높이 20-70cm, 줄기는 밀생, 기부가 곧게 서거나 마디가 있다. 엽초와 잎몸에 털이 있고 잎몸은 선형이다.
• 빕새귀리 : 높이 100cm가량, 잎은 납작하고 엽초에는 털이 없거나, 밑부분에 짧은 털이 있고 잎혀는 짧다.
• 꼬리새 : 근경은 짧고 줄기는 연모가 있다. 엽초는 닫혀있고 털이 있다.
6. 조사된 자료의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참새귀리 [Field brome, スズメノチャヒキ, 雀麦] (한국식물생태보감 1, 2013. 12. 30., 김종원)
[네이버 지식백과] 털빕새귀리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