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 子曰 賜也 非爾所及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자공)야! 이는 네가 미칠 바가 아니다.”
此仁者之事, 不待勉强, 故夫子以爲非子貢所及. 이것은 인자의 일이니, 억지로 하는 것을 기다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공자께서는 자공이 미칠 바가 아니라고 여기신 것이다.
朱子曰 欲無加諸人 此等地位 是本體明淨發處 盡是不忍之心 不待勉强 乃仁者之事 子貢未到此田地而遽作此言 故夫子謂非爾所及 言不可以躐等 주자가 말하길, “남에게 가해짐이 없기를 바란다는 이러한 종류의 경지는 本體가 밝고 맑게 발현되는 부분이니, 전부 다 不忍之心이며, 억지로 하기를 기다리지 않으니, 도리어 어진 사람의 일이다. 자공은 이러한 경지에 아직 이르지 못했으면서도, 갑자기 이러한 말을 하였기 때문에, 공자께서 ‘네가 미칠 바가 아니다.’라고 말씀하셨던 것이니, 단계를 건너뛰어서는 아니 됨을 말씀하신 것이다.”라고 하였다. |
3 | ○ 程子曰: “我不欲人之加諸我, 吾亦欲無加諸人, 仁也; 施諸己而不願, 亦勿施於人, 恕也. 恕則子貢或能勉之, 仁則非所及矣.” 정자가 말했다. “남이 나에게 더하기를 내가 바라지 않는 것을 나 역시 남에게 더함이 없기를 바라는 것은 仁이다. 나에게 베풀어서 이를 원하지 않으면, 역시 남에게 베풀지 말라는 것은 恕다. 恕라면 곧 자공이 혹시 열심히 노력할 수 있을 테지만, 仁은 자공이 미칠 바가 아니라는 것이다.”
愚謂無者自然而然, 勿者禁止之謂, 此所以爲仁恕之別.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없다는 것은 자연스럽게 그렇게 되는 것이고, 말라는 것은 금지하는 말이니, 이것 때문에 仁과 恕가 구별되는 것이다.
朱子曰 此章程子晩年仁熟方看得如此分曉 說得如此明白 所以分仁恕者 只是生熟難易之間爾 熟底是仁 生底是恕 自然底是仁 勉强底是恕 無計較無覩當底是仁 有計較有覩當底是恕 주자가 말하길, “이 장에서 정자는 만년에 仁이 잘 익어서 바야흐로 살펴보기가 이처럼 환하게 밝고, 말하는 것이 이와 같이 명백하였다. 仁과 恕를 구분하는 방법에는 그저 生熟과 難易의 차이가 있을 따름이니, 익은 것은 仁이고, 날 것은 恕이며, 자연적인 것은 仁이고 억지로 노력하는 것은 恕이며, 따지는 것이 없고 합당한지 살펴보는 것이 없는 것은 仁이고, 따져보고 합당한지 살펴보는 것이 있으면 恕인 것이다.”라고 하였다.
雲峯胡氏曰 本文無字 是子貢說 勿字 是夫子說 程子是借夫子說恕之事 以見子貢所言是仁之事 운봉호씨가 말하길, “본문의 無자는 자공이 말한 것이고, 勿자는 공자께서 말씀하신 것이다. 정자는 공자께서 말씀하신 恕의 일을 빌려다가 자공이 말한 것이 바로 仁의 일이라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라고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