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 장(丈)자는 칠 복(攵,攴)와 닮았습니다. 몽둥이를 들고 있는 사람 인(人)자입니다. 옛날 어른은 훈육하는 책임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금처럼 젊은이들이 어른을 얕보는 시대가 아니었습니다. 장인(丈人) 장륙(丈六) 장팔(丈八) 장팔사모(丈八蛇矛) 장부(丈夫) 주인장(主人丈)
손바닥 장(掌)자는 의부(義符)로 손 수(手,扌,才)자 변에 성부(聲符)로 오히려 상(尙)자를 했습니다. 오히려 상(尙)자는 향할 향(向)자에 여덟 팔(八)자를 했습니다. 여덟 팔(八)자는 더한다는 뜻이 있는 의부(義符)입니다. 향할 향(向)자는 성부(聲符)입니다. 오히려 상(尙)자는 성부(聲符)로만 사용되어, 상(尙)자가 들어 있는 글자는 ‘상’과 ‘당’으로 발음합니다. 항상 상(常), 상줄 상(賞), 치마 상(裳), 맛볼 상(嘗)자들은 ‘상’으로 읽는 예이고, 당할 당(當), 무리 당(黨), 집 당(堂), 해당화 당(棠)자들은 ‘당’으로 읽는 예입니다. 장중(掌中) 장내(掌內) 고장난명(孤掌難鳴) 박장대소(拍掌大笑) 여반장(如反掌)
단장할 장(粧)자는 의부(義符)로 쌀 미(米)자에 성부(聲符)로 농막 장(庄)자를 했습니다. 농막 장(庄)자를 했습니다. 농막 장(庄)자는 집 엄(广)자 아래에 흙 토(土)자를 해서 땅에서 농사지은 결과물들을 쌓아두거나 농사지으려고 사는 농촌의 집임을 나타냈습니다. 장구(粧具) 장책(粧冊) 장도(粧刀) 화장(化粧) 장북(粧北) 성장(盛粧) 미장(美粧)
오장 장(脏,臟)자는 의부(義符)로 고기 육(肉,月)자에 성부(聲符)로 감출 장(藏)자를 했습니다. 감출 장(藏)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착할 장(臧)자를 했습니다. 풀섶 속에 숨어 감추었다는 뜻입니다. 착할 장(臧)자는 널빤지 장(爿)자에 창 과(戈)자를 하고 신하 신(臣)자를 했습니다. 널빤지와 창은 무기와 방패입니다. 승리할 만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신하 신(臣)자를 해서 공격하지 못하고 눈치를 살피는 모양을 했습니다. 착할 장(臧)자의 뜻은 힘은 갖추어 있지만 함부로 공격하지 못한다는 뜻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오장 장(脏)자는 오장 장(臟)자의 약자(略字)입니다. 장병(臟病) 장기(臟器) 오장(五臟) 위장(胃臟) 장염(臟炎) 내장(內臟) 심장(心臟)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