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국5. 품사의 종류 -문제(EBS)〛
◈ 단어의 분류
1. 품사의 뜻 : 성질이 공통된 것끼리 모아 분류해 놓은 단어의 각 갈래 2. 단어 분류의 필요성 : 문장에 쓰인 단어의 구실과 언어의 기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줌 3. 단어 분류의 기준
4. 단어의 분류 : 총 9개의 품사
◈ 체언과 용언
문제1) 다음 중 분류의 방법이 쓰인 문장은?
① 꽃은 꽃잎, 꽃받침, 암술, 수술 등으로 이루어져있다. ② 구전되는 문학인 설화는 다시 신화, 전설, 민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③ 텔레비전과 신문은 사람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매체이다. ④ 설명문은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지만, 논설문은 설득을 목적으로 한다. ⑤ 우리나라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한 동물에는 먹황새, 두루미, 까막딱따구리 등이 있다.
문제2) 악기를 다음과 같이 분류했을 때, 문제점이 무엇인지 쓰시오.
문제3) 다음과 같이 단어를 분류했을 때, '배'라는 단어는 어디에 들어가야 하는지를 쓰고, 그 이유를 쓰시오.
문제4)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수 없는 말은?
① 매우 ② 무척 ③ 행복 ④ 정말 ⑤ 대단히
문제5) 다음과 같이 단어를 분류한 기준으로 알맞은 것은?
① 단어의 형태가 바뀌는가? ② 문장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가? ③ 단어가 몇 음절로 이루어졌는가? ④ 순수한 우리 고유어로 된 단어인가? ⑤ 단어들이 가지는 공통적인 의미는 무엇인가?
문제6) 다음 중 품사의 뜻을 바르게 정리한 것은?
① 홀로 쓸 수 있는 말의 단위이다. ② 한 번에 소리 낼 수 있는 소리의 단위이다. ③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이다. ④ 더 이상 나누면 의미가 없어지는 의미의 최소 단위이다. ⑤ 성질이 공통된 것끼리 모아 분류해 놓은 단어의 갈래이다.
문제7) 품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모든 단어는 고유의 품사를 가지고 있다. ② 품사의 분류는 언어 기능의 이해에 도움을 준다. ③ 우리나라의 단어는 9개의 품사로 분류할 수 있다. ④ 문장에서 역할에 따라 단어의 품사는 달라질 수 있다. ⑤ 품사를 나누는 주된 기준은 단어들이 가지고 있는 의미이다.
문제8) 다음에서 설명하는 품사는?
① 수사 ② 조사 ③ 동사 ④ 부사 ⑤ 관형사
문제9) 다음 중 '명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문장에서 조사와 결합할 수 있다. ② 문장에서 형태가 바뀌지 않는다. ③ 문장에서 독립적으로 쓰일 수 있다. ④ 추상적인 대상의 이름이 될 수 있다. ⑤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등으로 쓰인다.
문제10♥) 다음 밑줄 친 단어 중 품사가 다른 하나는?
① 아저씨, 수박 하나만 주세요. ② 하나, 우리는 매사에 최선을 다해 임한다. ③ 우리학교의 교육이념의 첫째는 자유이다. ④ 민정이는 문구점에서 공책 한 권을 사왔다. ⑤ 그 아주머니에게는 아들 둘과 딸 하나가 있다.
문제11) ㉠과 ㉡이 가리키는 내용을 각각 쓰시오.
문제12) 다음 밑줄 친 낱말의 공통점은?
① 조사와 결합하지 않는다. ② 문장에서 형태가 바뀐다. ③ 용언의 의미를 분명히 한다. ④ 문장 전체를 꾸미기도 한다. ⑤ 다른 말을 꾸미는 역할을 한다.
문제13) 다음 중 부사가 쓰이지 않은 문장은?
① 너 오늘 정말 멋지다. ② 아직 한 사람이 오지 않았다. ③ 설마 그런 일이 일어나겠니? ④ 온갖 쓰레기를 모아 놓았구나. ⑤ 조심스럽게 문을 똑똑 두드렸다.
문제14) 다음 문장에 쓰인 부사의 개수를 쓰시오.
문제15) 다음 중 감탄사가 들어있지 않은 문장은?
① 어머나, 깜짝 놀랐잖아. ② 네, 선생님의 말씀이 맞습니다. ③ 아하, 그 사람이 바로 너였구나. ④ 그래, 그럼 내일 극장에 함께 가자. ⑤ 청춘, 이 얼마나 가슴 벅찬 말인가?
문제16) 다음 중 서술어의 품사가 다른 하나는?
① 둥근 보름달이 두둥실 떴다. ② 우산 셋이 나란히 걸어갑니다. ③ 아침부터 비가 주룩주룩 내린다. ④ 그 친구는 정말 빨리 달리는구나. ⑤ 가을 하늘이 티 한 점 없이 맑다.
문제17) 다음 밑줄 친 단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조사가 결합하지 않는다. ② 문장에서 독립어로 쓰인다. ③ 문장에서 형태가 바뀌지 않는다. ④ 문장에서 단어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 ⑤ 말하는 이의 감정이 직접 드러나는 단어이다.
문제18) 밑줄 친 단어의 품사를 잘못 연결한 것은?
① 하늘은 높고 바람은 선선하다. (형용사) ② 사람은 떡으로만 살지 않습니다, (동사) ③ 세 사람은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수사) ④ 앞만 보고 묵묵히 걷고 있습니다. (부사) ⑤ 선생님, 저는 정말 거기에 가지 않았습니다. (명사)
문제19) 체언에 포함되는 품사를 모두 쓰시오.
문제20) 다음은 단어에 대한 설명이다. 이 설명과 일치하지 않는 품사는?
① 명사 ② 동사 ③ 부사 ④ 조사 ⑤ 감탄사
문제21) 다음 문장에 쓰이지 않은 품사는?
① 명사 ② 조사 ③ 부사 ④ 형용사 ⑤ 관형사
(22-2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제22) ⓐ~ⓔ 중에서 품사가 다른 하나는?
문제23) ㉠에 쓰인 조사의 개수를 쓰시오.
문제24) 다음 중 밑줄 친 단어의 기본형을 잘못 연결한 것은?
① 진구가 민수보다 더 빨랐다. (빠르다) ② 노란 꽃이 아름답게 피었다. (아름답다) ③ 너는 정말 음식을 맛있게 먹는구나. (먹는다) ④ 파란 하늘에 하얀 구름이 떠가고 있다. (하얗다) ⑤ 어제는 아침 일찍 아버지와 약수터에 갔다. (가다)
문제25) 다음 문장에 쓰인 품사가 모두 들어 있는 문장은?
① 행복은 돈으로 사는 것이 아니야. ② 그 말을 듣고 네가 매우 힘들겠다. ③ 나는 그의 명랑한 성격이 정말 좋아. ④ 철수는 내가 말한 바로 그 사람이야. ⑤ 미국에서 온 친구에게 예뿐 인형을 받았어.
문제26) 다음 중 관형사가 들어 있는 문장은?
① 구르는 돌에는 이끼가 끼지 않는다. ② 모르던 사실을 하나씩 알게 되었다. ③ 갖은 고생을 다하고 이제야 돌아왔다. ④ 어진 어머니가 현명한 아들을 만든다. ⑤ 토끼의 빨간 눈이 아직도 기억에 남는다.
문제27) ㉠, ㉡, ㉢의 품사를 각각 쓰시오.
<정답과 해설>
문1-② / ① 분석 ③ 공통점 - 비교 ④ 차이점 - 대조 ⑤ 예시 문2-분류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는 연주 방법으로 분류한 것에 반해 전통악기는 시대별로 분류 문3-㉠, ㉠에는 사물들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을 모아 놓았으므로㉠에 놓아야 한다. ㉠ 명사 - 구체적인 이름 ㉡ 대명사 - 사람이나 사물을 대신해서 쓰는 단어 문4-③ 문5-⑤ / ② 둘 다 꾸미는 기능 / 관형사와 부사를 분류한 기준은? ㉠ (체언을 꾸며주는) 관형사 ㉡ (용언을 꾸며주는) 부사 문6-⑤ ① 단어 - 홀로 쓸 수 있는 말의 단위이다. (자립하여 쓸 수 있는 말의 단위) ② 음절 - 한 번에 소리 낼 수 있는 소리의 단위이다. ③ 음운 -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이다.(모음, 자음) ④ 형태소 - 더 이상 나누면 의미가 없어지는 의미의 최소 단위이다. 문7-④ 문장의 성분이 달라질 뿐이다. 문8-⑤ 관형사는 체언을 꾸민다. / 관형사와 부사의 차이점 문9-③ 문장에서 독립적으로 쓰일 수 있는 것은 감탄사이다. 문10-④ '한 권'에서 '한'은 '권'을 꾸며주는 관형사임. 품사를 묻는 문제는 거의 수사냐 (수)관형사냐를 묻는 문제임 ① 뒤에 조사를 붙였을 때 말이 되면 수사 ② 수를 나타내는 말 뒤에 조사가 오면 수사! 명사가 오면 관형사! 문11-㉠ 철수 ㉡ 크고 무거운 가방 / 문12-⑤ / ④ 부사 문13-④ 관형사 / ① 정말 = 멋지다 ② 아직 - 오지 ③ 설마 - 문장 전체 ⑤ 똑똑 - 두드렸다 문14-3개 : 가장 / 실제로 / 전혀 문15-⑤ 감탄사 뒤에는 조사가 붙을 수 없다. 문16-⑤ 맑다 - 형용사 나머지 동사 - 떴다. 걸어갑니다. 내린다. 달리는구나 ※ 동사 형용사 구분: 어간에 'ㄴ다' 또는 '는다'를 붙여 말이 되면 '동사' 문17-④ 조사 - 문장에서 단어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 문18-③ '세' 는 '사람'을 꾸며주므로 관형사이다. 문19-명사, 대명사, 수사 문20-④ / 문21-④ / 그(관) 친구(명)는(조) 정말(부) 빨리(부) 달리는구나(동). 문22-ⓓ 관형사 - 그 / ⓐⓑⓒⓔ - 대명사 문23-2개 -'의'와 '은' / 문24-③ 문25-② 관, 명, 조, 부, 동, 형 등 5개 품사 새(관) 옷(명)을(조) 입으니(동) 기분(명)이(조) 정말(부) 좋다(형). 없는 품사 : ① 관형사 ③ 동사, 관형사 ④ 형용사 ⑤ 관형사 문26-③ 갖은 - 관형사 / ① 구르는 ② 모르던 - 동사 ④ 어진, 현명한 ⑤ 빨간 - 형 문27-㉠처럼 - 조사, ㉡ 저거 - 대명사, ㉢ 수 - 명사 |
출처: 다이내믹 존(Dynamic Zone) 원문보기 글쓴이: 호나우당뇨
첫댓글 이건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