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땀을 극복하는 사람들(다한증 모임)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1. 땀나미침
    2. blue~*
    3. 쵸코쵸코
    4. 바부바부
    5. 난...땀이 넘시로..
    1. Ilovemango
    2. 불꽃노을
    3. LEEBJ
    4. HOFNER
    5. 축구왕슛돌이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아이수크림
    2. Ilovemango
    3. Qafgyfhj
    4. 다한증극복
    5. 수연아빠
    1. 이명채
    2. 요상한 신발냄새
    3. 십이초땀
    4. Hallowa
    5. 형님
 
카페 게시글
자유글방 스크랩 자료 생국5. 품사의 종류 -문제(EBS)
(부산)우디 추천 0 조회 288 08.10.20 17:23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생국5. 품사의 종류 -문제(EBS)〛

 

 

◈ 단어의 분류

 

     1. 품사의 : 성질이 공통된 것끼리 모아 분류해 놓은 단어의 각 갈래

     2. 단어 분류의 필요성 : 문장에 쓰인 단어의 구실과 언어의 기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줌

     3. 단어 분류의 기준

형태(모습)

단어의 형태가 변하느냐 변하지 않느냐에 따라 나눔

• 변하는 품사: 동사, 형용사

• 변하지 않는 품사 : 명사, 대명사, 수사

기능(쓰임)

문장에서 어떤 기능을 하느냐에 따라 나눔

• 주어, 목적어, 보어, 꾸밈기능 등의 기능

의미(뜻)

단어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의미에 따라 나눔

• 체언을 꾸미는 관형사, 용언을 꾸미는 부사 등

 

      4. 단어의 분류 : 총 9개의 품사

 

형태

기능

의미

불변어

(형태가 변하지 않음)

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수식언

관형사(체언), 부사(용언)

관계언

조사

독립언

감탄사

가변어 (형태가 변함)

용언

동사, 형용사 등 서술어

 

 

 

◈ 체언과 용언

 

체언

특징과 기능

①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등으로 쓰이는 단어이다.

② 문장에서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③ 문장에서 조사와 결합할 수 있다.

품사

명사

구체적인 대상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

공자, 색종이

추상적인 대상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

자유, 행복

대명사

사람, 사물, 장소의 이름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단어

나(사람), 이것(사물),

여기(장소)

수사

수량이나 순서를 가리키는 단어

하나(수량), 첫째(순서)

용언

특징과 기능

① 문장에서 주로 서술어로 쓰이는 단어이다.

② 문장에서 형태가 변한다. (활용) 예) 먹다, 먹으니, 먹어서

품사

동사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어

먹다, 날다, 떠들다

형용사

사람이나 사물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단어

아름답다, 곱다, 길다

 

 

 

 

 

문제1) 다음 중 분류의 방법이 쓰인 문장은?

 

         ① 꽃은 꽃잎, 꽃받침, 암술, 수술 등으로 이루어져있다.

         ② 구전되는 문학인 설화는 다시 신화, 전설, 민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③ 텔레비전과 신문은 사람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매체이다.

         ④ 설명문은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지만, 논설문은 설득을 목적으로 한다.

         ⑤ 우리나라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한 동물에는 먹황새, 두루미, 까막딱따구리 등이 있다.

 

 

문제2) 악기를 다음과 같이 분류했을 때, 문제점이 무엇인지 쓰시오.

 

악기 :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전통악기

 

 

 

 

문제3) 다음과 같이 단어를 분류했을 때, '배'라는 단어는 어디에 들어가야 하는지를 쓰고,

             그 이유를 쓰시오.

 

사과, 강아지, 세종대왕

태극기, 교과서, 선생님

나, 그녀, 여기 거기, 이것, 저것

 

 

 

 

문제4)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수 없는 말은?

 

높은 곳에서 바라보니 경치가 (            ) 좋다.

 

         ① 매우                   ② 무척                   ③ 행복

         ④ 정말                   ⑤ 대단히

 

 

문제5) 다음과 같이 단어를 분류한 기준으로 알맞은 것은?

 

새, 한, 모든, 이

아주, 일찍, 모두

 

         ① 단어의 형태가 바뀌는가?

         ② 문장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가?

         ③ 단어가 몇 음절로 이루어졌는가?

         ④ 순수한 우리 고유어로 된 단어인가?

         ⑤ 단어들이 가지는 공통적인 의미는 무엇인가?

 

 

문제6) 다음 중 품사의 뜻을 바르게 정리한 것은?

 

        ① 홀로 쓸 수 있는 말의 단위이다.

        ② 한 번에 소리 낼 수 있는 소리의 단위이다.

        ③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이다.

        ④ 더 이상 나누면 의미가 없어지는 의미의 최소 단위이다.

        ⑤ 성질이 공통된 것끼리 모아 분류해 놓은 단어의 갈래이다.

 

 

문제7) 품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모든 단어는 고유의 품사를 가지고 있다.

        ② 품사의 분류는 언어 기능의 이해에 도움을 준다.

        ③ 우리나라의 단어는 9개의 품사로 분류할 수 있다.

        ④ 문장에서 역할에 따라 단어의 품사는 달라질 수 있다.

        ⑤ 품사를 나누는 주된 기준은 단어들이 가지고 있는 의미이다.

 

 

문제8) 다음에서 설명하는 품사는?

 

• 문장에서 형태가 바뀌지 않는다.

• 문장에서 다른 단어들을 꾸미는 역할을 한다.

• '비행기'나 '옷'과 같은 단어들을 꾸밀 수 있다.

 

          ① 수사              ② 조사            ③ 동사

          ④ 부사              ⑤ 관형사

 

 

문제9) 다음 중 '명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문장에서 조사와 결합할 수 있다.

         ② 문장에서 형태가 바뀌지 않는다.

         ③ 문장에서 독립적으로 쓰일 수 있다.

         ④ 추상적인 대상의 이름이 될 수 있다.

         ⑤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등으로 쓰인다.

 

 

문제10♥) 다음 밑줄 친 단어 중 품사가 다른 하나는?

 

              ① 아저씨, 수박 하나만 주세요.

              ② 하나, 우리는 매사에 최선을 다해 임한다.

              ③ 우리학교의 교육이념의 첫째는 자유이다.

              ④ 민정이는 문구점에서 공책 권을 사왔다.

              ⑤ 그 아주머니에게는 아들 과 딸 하나가 있다.

 

 

문제11) ㉠과 ㉡이 가리키는 내용을 각각 쓰시오.

 

철수는 크고 무거운 가방을 들고 가시는 할머니를 보았다. ㉠는 ㉡그것을 들어 드렸다.

 

 

문제12) 다음 밑줄 친 낱말의 공통점은?

 

옷을 빨았다.

• 자동차가 빨리 달린다.

 

          ① 조사와 결합하지 않는다.

          ② 문장에서 형태가 바뀐다.

          ③ 용언의 의미를 분명히 한다.

          ④ 문장 전체를 꾸미기도 한다.

          ⑤ 다른 말을 꾸미는 역할을 한다.

 

 

문제13) 다음 중 부사가 쓰이지 않은 문장은?

 

           ① 너 오늘 정말 멋지다.

           ② 아직 한 사람이 오지 않았다.

           ③ 설마 그런 일이 일어나겠니?

           ④ 온갖 쓰레기를 모아 놓았구나.

           ⑤ 조심스럽게 문을 똑똑 두드렸다.

 

 

문제14) 다음 문장에 쓰인 부사의 개수를 쓰시오.

 

미술을 아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작품을 실제로 보는 것이다.

미술 작품은 재료와 크기에 따라 전혀 다른 느낌을 준다.

 

 

 

문제15) 다음 중 감탄사가 들어있지 않은 문장은?

 

           ① 어머나, 깜짝 놀랐잖아.

           ② 네, 선생님의 말씀이 맞습니다.

           ③ 아하, 그 사람이 바로 너였구나.

           ④ 그래, 그럼 내일 극장에 함께 가자.

           ⑤ 청춘, 이 얼마나 가슴 벅찬 말인가?

 

 

문제16) 다음 중 서술어의 품사가 다른 하나는?

 

           ① 둥근 보름달이 두둥실 떴다.

           ② 우산 셋이 나란히 걸어갑니다.

           ③ 아침부터 비가 주룩주룩 내린다.

           ④ 그 친구는 정말 빨리 달리는구나.

           ⑤ 가을 하늘이 티 한 점 없이 맑다.

 

 

문제17) 다음 밑줄 친 단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아뿔사, 내가 좀 늦었구나.

 

          ① 조사가 결합하지 않는다.

          ② 문장에서 독립어로 쓰인다.

          ③ 문장에서 형태가 바뀌지 않는다.

          ④ 문장에서 단어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

          ⑤ 말하는 이의 감정이 직접 드러나는 단어이다.

 

 

문제18) 밑줄 친 단어의 품사를 잘못 연결한 것은?

 

          ① 하늘은 높고 바람은 선선하다. (형용사)

          ② 사람은 떡으로만 살지 않습니다, (동사)

          ③ 사람은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수사)

          ④ 앞만 보고 묵묵히 걷고 있습니다. (부사)

          ⑤ 선생님, 저는 정말 거기에 가지 않았습니다. (명사)

 

 

문제19) 체언에 포함되는 품사를 모두 쓰시오.

 

 

 

문제20) 다음은 단어에 대한 설명이다. 이 설명과 일치하지 않는 품사는?

 

홀로 설 수 있는 말을 단어라고 하며,

다른 말로 낱말이라고 하기도 한다.

 

            ① 명사 ② 동사 ③ 부사 ④ 조사 ⑤ 감탄사

 

 

문제21) 다음 문장에 쓰이지 않은 품사는?

 

그 친구는 정말 빨리 달리는구나.

 

              ① 명사 ② 조사 ③ 부사 ④ 형용사 ⑤ 관형사

 

 

(22-2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도깨비는 부잣집 문 앞에서 둘째 아들을 세워놓고, "여보게 ⓐ자네는 ⓑ여기

기다리고 있게. ⓒ는 들어가서 딸의 혼을 꾀어 올 테니."

하고는 ⓓ 집으로 들어갔다. 둘째 아들이 잠시 기다리고 있는데, 도깨비가

금방 나왔다.

㉠"딸의 혼은 어떻게 했나?" "ⓔ여기 있네. 지금 이렇게 꼭 쥐고 있지 않은가?"

 

 

문제22) ⓐ~ⓔ 중에서 품사가 다른 하나는?

 

 

 

 

문제23) ㉠에 쓰인 조사의 개수를 쓰시오.

 

 

 

문제24) 다음 중 밑줄 친 단어의 기본형을 잘못 연결한 것은?

 

          ① 진구가 민수보다 더 빨랐다. (빠르다)

          ② 노란 꽃이 아름답게 피었다. (아름답다)

          ③ 너는 정말 음식을 맛있게 먹는구나. (먹는다)

          ④ 파란 하늘에 하얀 구름이 떠가고 있다. (하얗다)

          ⑤ 어제는 아침 일찍 아버지와 약수터에 갔다. (가다)

 

 

문제25) 다음 문장에 쓰인 품사가 모두 들어 있는 문장은?

 

새 옷을 입으니 기분이 정말 좋다.

 

         ① 행복은 돈으로 사는 것이 아니야.

         ② 그 말을 듣고 네가 매우 힘들겠다.

         ③ 나는 그의 명랑한 성격이 정말 좋아.

         ④ 철수는 내가 말한 바로 그 사람이야.

         ⑤ 미국에서 온 친구에게 예뿐 인형을 받았어.

 

문제26) 다음 중 관형사가 들어 있는 문장은?

 

          ① 구르는 돌에는 이끼가 끼지 않는다.

          ② 모르던 사실을 하나씩 알게 되었다.

          ③ 갖은 고생을 다하고 이제야 돌아왔다.

          ④ 어진 어머니가 현명한 아들을 만든다.

          ⑤ 토끼의 빨간 눈이 아직도 기억에 남는다.

 

 

문제27) ㉠, ㉡, ㉢의 품사를 각각 쓰시오.

 

두 아이는 눈을 커다랗게 뜨고, 수정㉠처럼 맑은 물속을 헤엄치고 있는

아름다운 열대어들을 바라보았다. 그러다가 남자아이가 소리쳤다.

"야아 우리도 ㉡저거 살 ㉢ 있죠?" "그럼" 나는 대답했다.

 

 

 

 

 

 

<정답과 해설>

 

문1-② / ① 분석 ③ 공통점 - 비교 ④ 차이점 - 대조 ⑤ 예시

문2-분류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는 연주 방법으로 분류한 것에 반해 전통악기는 시대별로 분류

문3-㉠, ㉠에는 사물들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을 모아 놓았으므로㉠에 놓아야 한다.

       ㉠ 명사 - 구체적인 이름 ㉡ 대명사 - 사람이나 사물을 대신해서 쓰는 단어

문4-③

문5-⑤ / ② 둘 다 꾸미는 기능

/ 관형사와 부사를 분류한 기준은? ㉠ (체언을 꾸며주는) 관형사 ㉡ (용언을 꾸며주는) 부사

문6-⑤

① 단어 - 홀로 쓸 수 있는 말의 단위이다. (자립하여 쓸 수 있는 말의 단위)

② 음절 - 한 번에 소리 낼 수 있는 소리의 단위이다.

③ 음운 -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이다.(모음, 자음)

④ 형태소 - 더 이상 나누면 의미가 없어지는 의미의 최소 단위이다.

문7-④ 문장의 성분이 달라질 뿐이다.

문8-⑤ 관형사는 체언을 꾸민다. / 관형사와 부사의 차이점

문9-③ 문장에서 독립적으로 쓰일 수 있는 것은 감탄사이다.

문10-④ '한 권'에서 '한'은 '권'을 꾸며주는 관형사임.

품사를 묻는 문제는 거의 수사냐 (수)관형사냐를 묻는 문제임

① 뒤에 조사를 붙였을 때 말이 되면 수사

② 수를 나타내는 말 뒤에 조사가 오면 수사! 명사가 오면 관형사!

문11-㉠ 철수 ㉡ 크고 무거운 가방 / 문12-⑤ / ④ 부사

문13-④ 관형사 / ① 정말 = 멋지다 ② 아직 - 오지 ③ 설마 - 문장 전체 ⑤ 똑똑 - 두드렸다

문14-3개 : 가장 / 실제로 / 전혀

문15-⑤ 감탄사 뒤에는 조사가 붙을 수 없다.

문16-⑤ 맑다 - 형용사 나머지 동사 - 떴다. 걸어갑니다. 내린다. 달리는구나

※ 동사 형용사 구분: 어간에 'ㄴ다' 또는 '는다'를 붙여 말이 되면 '동사'

문17-④ 조사 - 문장에서 단어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

문18-③ '세' 는 '사람'을 꾸며주므로 관형사이다.

문19-명사, 대명사, 수사

문20-④ / 문21-④ / 그(관) 친구(명)는(조) 정말(부) 빨리(부) 달리는구나(동).

문22-ⓓ 관형사 - 그 / ⓐⓑⓒⓔ - 대명사

문23-2개 -'의'와 '은' / 문24-③

문25-② 관, 명, 조, 부, 동, 형 등 5개 품사

        새(관) 옷(명)을(조) 입으니(동) 기분(명)이(조) 정말(부) 좋다(형).

        없는 품사 : ① 관형사 ③ 동사, 관형사 ④ 형용사 ⑤ 관형사

문26-③ 갖은 - 관형사 / ① 구르는 ② 모르던 - 동사 ④ 어진, 현명한 ⑤ 빨간 - 형

문27-㉠처럼 - 조사, ㉡ 저거 - 대명사, ㉢ 수 - 명사

 
다음검색
댓글
  • 08.10.21 01:32

    첫댓글 이건뭐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