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일러취급
1.주증기밸브 : 앵글밸브
2.감압밸브 : 피스톤형,다이어프램,벨로우즈형
①고압을 저압으로 유지
②고저압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③부하측압력을 일정하게 유지
3.온도조절밸브 : 탱크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
하여 증기량을 조절하는 밸브
4.증기트랩 : 증기관내 응축수를 분리하여 수격작용 방지
5.증기트랩의 종류
①기계적트랩 : 버킷,플로우트식
②온도조절식 : 바이메탈,벨로우즈등
③열역학적 트랩 : 디스크,오리피스
6.축열기(스팀어큐뮤레이터) : 잉여증기를 저장하는 장치
7.비수방지관 : 보일러내에 설치하여 비수현상 방지하고 건증기를 얻기 위함.
취출구 면적 : 주증기관의 단면적의 1.5배이상
8.기수분리기:증기중의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증기를 얻기 위함
※수관식 보일러 증기출구측에 설치
9.압력계의 종류 : 브르돈관식 압력계
10.압력계 지시범위 : 최고사용압력의 1.5~3배이상
11.사이폰관:고온고압의 증기로 압력계 파손방지(내부:물)
※동관:6.5mm↑,강관:12.7mm↑(210℃이상시 강관사용)
12.증기헷더
: 발생증기를 한곳으로 모아 각 사용처로 공급하는 장치
※헷더의 크기 - 주증기관지름의 2배
13.증기헷더 설치 상 장점
①송기 및 정지가 편리하다
②불필요 배관에 송기하지 않아 열손실이 적다
③증기의 과부족을 일부해소한다.
④급 수요에 응할수 있다
14.증기압력 조절기 :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압력을 사용하고자 하는
압력으로 조절하는 장치
(또는 증기압력을 검출하여 전기 저항의 변화에의해 연료량과 공기량을 조절하며 콘트롤 모터를 작동시킨다)
15.증기압력 제한기 :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압력을 최고사용압력
이하로 제한하여 보일러의 폭발을 방지
(또는 수은 수위치의 변위에 의해 전기의 온-오프신호를 버너의 전자밸브로 보내어 연료공급 및 차단을 한다)
16.여과기의 설치목적
: 배관내 이물질을 제거하여 기기나 밸브의 파손방지
※종류 : Y형, U형, V형
17.수주 : 고압의 증기로 인한 수면계 파손 방지
18.수면계의 형식 : 평형반사식
19.수면계 2개설치이유 : 수면의 정확한 판단을 위해
20.고저수위 경보장치:일반적으로 기계식(맥도널식)사용
: 운전 중 저수위 사고시 연료차단 및 수위 조절
21.맥도널식 내부에 설치 : 플로우트와 수은스위치
22.수주에 전극봉식 수위조절기 및 저수위경보장치(3개월마다 청소)
23.수면계의 종류
:원형유리관식, 평형투시식, 평형반사식,비색식, 멀티포트식
24.수면계 점검순서
①증기콕크와 물콕클르 잠근다.
②드레인밸브를 연다
③물콕크를 열어 통수확인 후 잠근다.
④증기콕크를 열어 통수확인 후 잠근다.
⑤드레인밸브를 잠근다.
⑥물콕크를 연다
25. 수면계 파손원인
①수면계 조임너트의 무리한 조임
②외부,내부의 충격을 가할 때
③장기간 사용으로 알카리에 의한 노후
④상하부의 축이 이완된 때
26. 수면계 점검 시기
①두개의 수면계 수위가 다를 때
②포오밍, 프라이밍현상 발생했을때
③수위가 의심스러울 때
④보일러 가동 직전
⑤증기 압력이 오르기 시작할 때
⑥수면계 교체 후
27.슈트블로워 : 연소실 및 연도에 부착된 그을음제거
( 공기분사식, 물분사식, 증기분사식)
28.파일롯트관 설명
:정압기 상부에서 인출되어 있는 관으로 정압기출구의
압력을 검지하여 버너에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29.분츨의 목적,시기,종류,주의사항은?
※목적:①관수의 농도를 한계치이하로 유지
②관수의 PH조절 ③캐리오버현상 방지
④스케일,슬럿지생성방지 ⑤전열의 향상
※시기:①보일러 점화전 ②포밍,프라이밍발생시
③운전중인 경우는 저부하시
④고수위시 ⑤관수의 과대농축시
※종류 ①수저(단속)분출:동저부의 침전된 슬럿지제거
②수면(연속)분출:수면의 유지류,부유물제거
※주의사항:
①불순물의 농도를분석하여 분출량 측정한다.
②2인1조가 행한다. ③시동전,저부하시에 한다.
④1일1회이상 분출하되 신속하게 분출한다.
⑤비수현상시나 관수의 농축시 행한다.
30.신축이음의 설치목적과 종류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여 배관파손을 방지한다.
루우프형, 슬리브형, 벨로우즈형, 스위블형
31.투시구 : 연소실내 화염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버너전면이나 보일러후부 방폭문에 설치
(색상 : 오렌지색 온도 : 1100℃
32.안전밸브 : 증기압력의 이상상승시 보일러폭발방지
안전밸브의 종류 : 스프링식,중추식,지렛대식
※일반적으로 스프링식 안전밸브 사용
33.증기보일러에는 안전밸브 2개이상 설치
(단,전열면적50m2이하인 경우 1개만 설치)
34. 안전밸브의 누설원인
①밸브와 변좌의 가공이 불량할 때
②스프링 장력이 감쇄될 때
③이물질이 끼어 있을 때
④조정압력이 낮을 때
⑤변좌의 마모가 손상되었을 때
⑥변좌에 밸브축이 이완 되었을 때
35.화염검출기 : 연소실내 화염유무를 검출하여 연료차단
※종류ⓐ플레임아이:화염의 발광체 이용
ⓑ플레임로드:화염의 이온화현상 이용
ⓒ스택스위치:화염의 발열이용(소용량보일러)
36.방폭문(폭발구) : 노내 미연소가스로 인한 폭발 방지(스프링식, 스윙식)
37.인터록 : 어떠한 조건이 구비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를 정지시키는 것.
※종류 : 프리퍼지인터록,저연소인터록,불착화인터록, 저수위인터록, 압력초과인터록,
38.유수분리기
:기름중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여 양호한 연소를 촉진
39.응축수탱크 위치 및 설치목적
①위치:기계실 바닥에 설치
②목적:증기사용 후 발생한 응축수를 한곳으로 모아 보일러에 재급수하여 열효율을 상승시킨다.
40.급탕탱크(열교환기,온수저장탱크)
:증기를 이용하여 급탕을 공급하거나 저장하는 탱크
41.가스정압기(가버너)의 위치와 설치목적
①위치:가스배관중 전자밸브전에 설치
②목적:가스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안정된 연소를 도모한다.
42.전자밸브의 설치위치와 용도
①위치:연료공급라인에 전선과 연결되어 있는 밸브
②용도:보일러에 이상발생시 자동으로 연료차단
43.오일프리히터(oil preheater)=유예열기
①설치목적:중유의 정도를 낮추어 송유양호 및 무화양호
②종류:전기식,증기식
③내부온도:80~90`C
44.배기가스온도계 : 연도에 설치하여 배기가스온도 측정
45.파일로트 버너
①가스점화시는 5,000~7,000V의 전압으로 승압
②기름점화시는 10,000~15,000V의 전압으로 승압
46.회전식버너 : 분무컵의 고속회전에 따른 원심력을 이용
하여 연료를 무화시킴
47.건타입 버너의 특징
①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이다.
②콤펙트하게 제작된다.
③분무매체가 필요없다.
48.보일러의 통풍방식 : 압입통풍, 흡입통풍, 평형통풍
49.송풍기의 종류 : 터보형
50.프리퍼지 : 점화전 댐퍼를 열고 연소실이나 연도내에
체류하고 있는 미연소가스를 송풍기를 이용해
내보내는 것.
51.포트퍼지 : 점화후 또는 갑작스런 실화시에 연소실이나
연도내에 가연성가스를 송풍기를 이용해
내보내는 것.
52.가스유량계 : 가스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53.보일러최상부로부터 천정 구조물까지의 거리
①소형보일러 : 0.6m이상 ②대형보일러 : 1.2m이상
54. 인젝터
정지순서 : 인젝터 핸들을 닫는다 →급수밸브를 닫는다 →증기밸브를 닫는다
→출구측 정지밸브를 닫는다
작동순서 : 출구측 정지밸브를 연다 →급수밸브를 연다 →증기밸브를 연다
→ 인젝터 핸들을 연다
55. 인젝터 작동불능 원인
①급수온도가 너무 높을 때 (50도 이상)
②증기압이 낮거나 높을 때(2kg/㎠이하, 10kg/㎠이상)
③노즐의 마모시
④흡입관에 공기 누입시
⑤인젝터 자체 온도가 높을 때
⑥증기가 너무 건조한 경우
56. 검출부 : 제어량을 검출하고 물리량으로 만드는 부분
조절부 : 제어계에 필요한 동작을 하는데 쓰일 신호를 만들어서 조작부로 보내는 부분
조작부 : 조절부로부터의 신호를 조작량으로 바꾸어 제어대상으로 작용시기는 부분
조작신호 : 공기압식, 유압식, 전기식
집진기 종류 중 사이클론, 머티클론, 세정식, 전기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