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enuri.com/knowbox/List.jsp?kbcode=kc8&smart_tap_menu=1&kbno=516787
SSD 구매가이드 13년 12월 27일 조회: 52,553 운영자(노라조)
SSD 구매가이드
SSD? 하드보다 빠르고 충격에 강한 저장장치. 하지만 용량대비 비싼 가격이 단점
무조건 큰 용량 보다는 80~120G 정도의 SSD가 가격 대비 가장 무난함
읽기/쓰기/IOPS 속도가 높을수록 빠른 SSD지만, 표기속도와 체감속도는 다를 수 있음
1. SSD는 왜 빠를까? ㆍHDD 대비 특징
SSD는 모터 같은 부품이 없기 때문에 충격에 강하고, 소비전력이 낮아서 노트북 배터리 사용시간도 늘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용량 제품이 거의 없고 가격이 비쌉니다.
대용량 게임을 많이 설치하지 않는다면, 80~120G 정도 용량의 SSD가 적당합니다.
HDD SSD
동작 방식
무게 무거움(700g) 가벼움(100g)
소비전력 보통 매우 적음
충격보호
거의 안됨
강함
가격 씨게이트 바라쿠다(2T): 1G 당 45원
삼성 840 EVO 시리즈(120G): 1G 당 964원
ㆍHDD와 SSD 속도 비교
부팅 윈도우 설치
포토샵 실행
HDD 2분 15분 40초
SSD 20초 9분 10초
※속도는 컴퓨터 사양, 제품마다 다를 수 있으며, 단순 비교를 위한 참고사항입니다.
2. SSD 선택시 참고사항
ㆍ데스크탑 PC라면 되도록 0번 또는 1번 SATA 단자에 장착
메인보드는 보통 4~6개의 SATA 단자를 제공하는데, 그 중 앞 번호의 SATA가 가장 빠르고 안정적입니다.
특히, 6개 이상의 단자를 제공하는 메인보드라면 꼭 제일 앞번호 단자를 쓰는 것을 권장합니다.
ㆍXP, 비스타보다는 윈도우 7 사용 권장
SSD에 윈도우 7을 설치하면 사용자가 신경쓰지 않아도 최적화를 자동으로 해주기 때문에, SSD를 처음 설치했을 때의
빠른 속도를 계속해서 유지시켜 줍니다.
ㆍ토렌트 등 파일공유 프로그램은 HDD에 저장할것
파일을 여러 조각으로 쪼개서 저장하는 토렌트 같은 공유 프로그램은 SSD 수명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토렌트를 자주 사용할 경우 토렌트 저장용 HDD를 별도로 설치하는것이 좋습니다.
3. 장착 방식별 SSD 선택하기 ㆍSATA
PC, 노트북, NAS 등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하는 형태입니다. 하위 버전에 연결하면 하위버전 속도로 작동합니다.
데스크탑은 3.5" 크기만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2.5" 크기 SSD는 변환 브라켓을 써야 합니다.
(변환 브라켓은 별매인 제품도 있음)
ㆍMicro SATA
일부 슬림 노트북에서 사용합니다. Micro SATA와 SATA는 서로 호환되지 않습니다.
대용량 제품은 거의 없고, SATA 방식에 비해 비쌉니다.
4. 좋은 SSD 고르는 법
ㆍ컨트롤러(SSD 칩셋): SSD를 제어하는 두뇌 역할을 합니다. 같은 컨트롤러를 썼다면 성능은 비슷합니다.
고급형 = 삼성, 샌드포스
보급형 = 마블, 인디링스
ㆍ속도: 읽기/쓰기/IOPS 등이 높은 SSD일수록 빠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표기된 속도는 특정 상황에서의 측정(벤치) 자료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 속도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읽기 쓰기 IOPS 읽기 IOPS 쓰기
의미 파일 불러옴 파일 기록 작은 파일 불러옴 작은 파일 기록
단위 MB/초(높을수록 좋음)
IOPS(높을수록 좋음)
영향받는 속도 영화 등 대용량 파일의 복사, 재생 등
부팅 속도, 프로그램 실행(로딩) 속도
ㆍ관리 프로그램: SSD의 빠른 속도를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삼성, 인텔만 제공합니다.
관리 프로그램으로 할 수 있는 것: 속도 최적화 기능, SSD 상태 모니터링, SSD에 저장된 데이터 영구 삭제(초기화) 등
인텔 ToolBox
삼성 SSD Magician
프로그램 다운로드
<무단복제 엄금 -출처: 에누리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