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리뷰
정사(正史)로 기록된 고려의 역사,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박시백의 손끝에서 생명력을 되찾다!
- 콘티부터 작화까지 오롯이 박시백이라는 장인의 손길을 거쳐 되살아난 고려사 500년
고려시대는 지금껏 겉으로는 친근하지만 속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한 번도 제대로 알지 못했던 우리 역사였다. ‘고려’에서 비롯한 ‘코리아(Korea)’라는 이름부터 팔만대장경판과 고려청자로 대표되는 문화적 성취, 2000년대 초 방영해 지금까지도 인터넷 밈으로 활용되는 사극 『태조 왕건』까지, ‘고려’ 하면 한국인 누구나 쉽게 떠올리는 것들은 있다. 하지만 고려시대가 흥성하고 쇠망한 역사적 흐름과 그 안에서 펼쳐진 정치적 격변의 구체적 사정을 아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고려 역사를 기록한 사료들은 최소 630여 년 세월의 풍파 속에서 자연적으로 그리고 의도적으로 지워져 소략하기 그지없고, 고려의 유물과 유적지들은 대부분 오늘날 북한 지역에 소재하여 쉽사리 접할 수 없는 실정이다. 깊이 있는 학술적 연구와 저작물 제작에 어려움이 따르니 고려시대에 관해 믿을 수 있으면서도 쉽고 재미있게 감상할 만한 콘텐츠는 여태 전무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박시백은 자신이 지금껏 해왔고 가장 잘하는 방식, 즉 정사(正史) 사료를 기반으로 삼아 고려시대를 복원하는 일에 나섰다. 박시백은 『조선왕조실록』, 『삼국사기』와 함께 대한민국 4대 정사로 손꼽히는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주목했다. 『고려사』는 조선 세종의 교지를 받아 김종서·정인지 등이 편찬한 고려시대 역사서로 오늘날 전하는 고려 사료 가운데 가장 오래됐으며, 당대의 역사서는 물론 문집·묘지명 등 다양한 원 사료를 수록하여 세가 46권, 지 39권, 연표 2권, 열전 50권, 목록 2권 등 총 139권 75책의 방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찬자가 문장을 만들어내지 않고 원 사료의 문장을 그대로 옮겨 적는 방식으로 엮었으며, 인물 평가도 한 개인에 대한 칭찬과 비판의 자료를 모두 기재하여 엄격한 역사성과 객관성을 유지한 역사서로 평가받는다. 『고려사』는 고려왕조사에 관한 가장 풍부한 기초 문헌이자 고려의 역사를 기록한 정사로서 학술적·문화재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21년 문화재청이 보물로 지정했고, 『고려사절요』 역시 단순히 『고려사』의 요약본이 아닌 『고려사』의 부족한 내용을 보완하는 귀중한 사료로서의 지위를 인정받고 있다.
박시백은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의 모든 기록을 한 줄 한 줄 들여다보며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뻔한 사실들을 차곡차곡 캐내고 쌓아 자신만의 역사 노트에 빼곡히 써넣었다. 이렇게 모은 재료를 공인된 역사적 맥락에 맞춰 스포트라이트의 강약을 노련하게 조절해가며 이야기로 꿰고 엮는다. 먼지 쌓인 사료 속 그저 한 줄의 기록으로만 존재해왔던 역사 조각들에 적절한 비유와 이해하기 쉽도록 풀어낸 문장이 얹어지고, 인물 생김새의 특징부터 주름진 얼굴과 날리는 머리칼까지 세심하게 표현한 작화가 덧입혀진다. 여기에 만화라는 장르적 장점을 살린 인물의 심리 묘사까지 생동감 있게 펼쳐진다. 모든 과정에서 오롯이 박시백이라는 장인의 손길만을 한 땀 한 땀 거쳐 재탄생한 『고려사』는 수백 년 세월의 그림자를 벗어던지고 넘실대는 생명력을 되찾아 고려 역사 500년의 역동성과 자주성을 우리 눈앞에 온전히 재현함으로써 독자의 감동과 전율을 이끌어낸다.
외침을 딛고 태평성세를 열다
결사 항전과 유연한 외교로 전성기를 이룬 변방의 강국, 고려!
- 『박시백의 고려사』 2 전쟁과 외교, 작지만 강한 고려
태조 왕건의 삼한 통일과 고려의 국가 체제 정비를 다루었던 1권에 이어 『박시백의 고려사』 2권은 제7대 왕 목종부터 제17대 왕 인종까지 150여 년의 시기를 다룬다. 고려의 왕이 모두 34명이니, 이번 출간으로 고려왕조의 전반기를 정리하는 셈이다. 2권에서는 이제 막 나라의 기틀이 잡혀가던 고려에 외세로 인한 시련이 몰아친다. 대륙의 주도권을 잡은 거란은 세 차례나 대규모 침략을 강행하고, 동북의 여진은 세력을 모아 나라를 세우며 사대를 요구한다. 내부에서는 김치양·이자겸·묘청 등 반란의 역도들이 바람 잘 날 없이 왕조의 정통성을 위협한다.
그러나 난세가 검을수록 빛나는 인물들이 있었으니, 외교 담판으로 강동 6주를 얻어낸 서희, 귀주에서 10만 거란군을 무찌른 강감찬, 서경의 난을 능란하게 제압한 김부식 등에 힘입어 고려는 내우외환을 이겨내고 기세 좋게 번영기를 열어나간다. 거란의 침략부터 여진의 부상,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까지 갖가지 국난을 겪으면서도 꿋꿋하게 전진하여 황금기를 구축해내는, 작지만 강하고 단단하면서도 유연한 나라 고려의 눈부신 진면모가 펼쳐진다.
총 5권으로 예정된 『박시백의 고려사』 시리즈는 2023년 11월에 완간할 계획이며, 올 12월 3권 출간이 예정되어 있다.
변방의 작은 나라. 이웃한 북방에선 대륙을 호령하며 송나라에 굴욕을 안겨준 요나라와 금나라가 연이어 등장했다. 요나라는 송나라와 대적하기 위해서라도 배후의 고려를 최소한 중립화해야 했다. 이를 위해 채택한 방법은 군사를 동원한 엄포. 그러나 아무런 소득도 얻어내지 못한 채 물러나야 했다. 고려가 보여준 완강한 저항과 전투력 때문이다. 변방의 작은 나라 고려는 차돌처럼 단단한 나라였던 것이다.
- ‘작가 후기’에서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97476297
http://www.yes24.com/Product/Goods/110864524?WCode=033
첫댓글 12월 3권 출시예정.
뻔한 소리만 있고... 비추입니다. 고려역사는 고려사와 고려사절요만 갖곤 제대로 재구성할 수 없습니다.
뻔한 소리라도 고려사에 대해 읽어보지 못하신 분들이 있으니 소개드리는 것이 맞습니다. 송나라를 비롯한 중원의 역사서 까지 살펴 볼 시간이 없으니까요. 고려의 역사를 드라마 태조 왕건으로 배우신 분들도 많을 것입니다. 저작자가 오랫동안 이 길을 걸어오셨는데 보고 판단해도 늦지 않겠지요.
@Red eye 중원 사서까지 안 가더라도, 대중 상대로 나온 교양서는 참조가 필수입니다. 1권 보고 대강 견적은 나오더군요. 기대할게 없습니다.
@마법의활 그건 본인들이 직접 사서 읽어보고 판단하면 됩니다. 그리고 아직 나오지도 않았어요.
@Red eye 광고 문구하고 1권 상태를 보면 대강 알쪼입니다. 직접 보지 않았으면 가만 있으란 얘긴 1권이 나오지 않은 전제에서나 가능합니다.
@Red eye 물론 제가 틀렸을 수는 있으나, 저 홍보문구만 놓고 보면 1권의 문제점이 과연 나아졌을진 잘 모르겠습니다.
@마법의활 1권을 보고 2권을 판단한다? 라. 읽어보지 않으신 분들이 있으니 여기까지 하죠.
@Red eye 1권의 문제점이 나아지려면 반성이 있어야하는데 그게 전혀 보이질 않습니다. 물론 말씀드렸다시피 광고문구가 틀렸을 수도 제가 틀렸을 수도 있으나, 1권의 방향을 보고 차후를 판단하는걸 원천차단하시는 것도 그닥 현실적이지 않은 것 같습니다.
걍 먼나라이웃나라급 대중교양서라고 생각하센
@▦무장공비 조선왕조실록 만화에 비해 좀 심하게 저퀄이라서요;;
@마법의활 사료 접근성이 꽤 떨어지잖수
솔찌 고려시대라면 대충 굵직한 흐름이랑 흥미돋는 중요이벤트 정도만 알아도 많이 아는 축인데
딱히 막 개헛소리만 없으면 개괄서 츄라이 느낌으로 관대하게 보는게 역사학 저변확대에 좋다고 봄.
@▦무장공비 그건 조선시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렇다는 거지, 삼국 시대에 비하면 훨 나은 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오히려 조선 시대가 사료가 다른 시기 및 배경에 비하면 대단히 많은데 조선 시대하고 비교하면 안 되고요;;;
게다가 대중 상대로 나온 교양서들만 해도 부지기수로 많은데 그걸 거진 읽지도 않는다는 생각이 강하게 듭니다.
일제35년하고 조선왕조실록 만화 그리던 시절만 해도 이런저런 서적을 꽤 많이 탐독한 게 보이는데, 고려사 만화는 그런 자취가 거진 보이지 않습니다.
때문에 사료 접근성은 거의 이유로 들어지기엔 명분이 없고요. 그냥 정성이 떨어지거나 아예 방향을 잘못 잡았든지로 보입니다.
아마 이유 둘 다가 아닐까.....그 생각은 듭니다.
@▦무장공비 솔까말 왕건만 포용의 화신이고 견훤과 궁예는 포용 못해 망했다는 내러티브는 지금 와선 개헛소리 맞거든요. -_-
.....(궁예는 말기에 포용 이런 수준이 아니고 그야말로 태조왕건 드라마에서 보여주는 바로 그 모습이었기에 변명의 여지는 없지만요 ->
태조왕건은 드라마일 뿐이라고 악 써대는 얼치기들은 여기서 Out.)
책 한두 개만 더 읽어봤어도 못할 소린데 그야말로 고려사와 고려사절요만 보면 이런 중요한 사항은 죽어도 알 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