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전투기 현대화.러 부품 조달 타진...한.미 '대가 따를 것'
김정은, Su-35 시험 비행도 참관
러시아 채평양함대도 시찰 계호기
한,미 외교.국방차관 2+2 회의
'신 천안함' 방문, 공조 의지 다져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만났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5일 하바롭스크주를
찾았다.
타스 통신 등에 따르면 김위원장은 이날 오전 하바롭스크주에 도착한 뒤 곧장 '유리 가가린' 전투기 곧장으로 향했다.
러시아에 전쟁 무기를 제공하기로 하고 푸틴으로부터 '인공위성 개발을 돕겠다'는 약속을 받아낸
김 위원장이 이번엔 러시아 지원을 받아 공군력 현대화를 도모하려는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유리 가가린 공장은 수호이(Su)-27, Su-30, Su-33 등 옛 소련제 전투기와 2000년대 개발된 4.5세대 다목적 전투기 Su-35, 2020년 실전 배치된 첨단 5세대 다몯적 전투기 Su-57 등은 물론 민간항공기도 함꼐 생산하는 시설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데니스 만투로프 러시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과 함께 Su-35, Su-57 전투기 신형 여객기 수호아 수퍼젯(SJ)-100의 최종 조립 공정을 지켜보고 Su-35 시험 비행도 참관했다.
현재 북한이 봉한 최신기종은 1977년 첫 비행에 성공한 미그-29지만 실제로는 6.25전쟁 때 사용했던 미그-15와 미그-17 등
'박물관 전시용'에 가까운 기종이 대부분이다.
오랜 제대로 전투기 부품과 항공유도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미5세대 스텔스 전투기인 F-35로 무장하고 자체 개발한 4.5세대 KF-21 양산을 앞둔 한국 공군 전력과 비교가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김 위원장이 정상회담 직후 콤소몰스크나아무레를 방문한 배경엔 전투기 현대화와 부품 조달 가능성을 타진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일정을 마친 뒤 열차편으로 블라디보스토크로 16일 정오를 전후해 러시아 태평양함대를 시찰한 뒤
세르케리 쇼아구 러시아 국방장관을 만나 정상회담 때 거론된 무기 거래 방식 일정 등을 구체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북한으로 돌라갈 것으로 보이지만 김 위원장을 수행 중인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착용한 비표에 '11-18.09. 2023'으로 읽히는 숫자가 표시돼 있어 일각에선 16일 이후로도 러시아 일정이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그런 가운데 한.미 외교.국방 차관은 이날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제4차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 회의를 열고 북.러 군사 협력 움직임에 대해 '대가가 따를 것'이라며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를 냈다.
이들은 공동 언론발표문에서 '유엔 안보리 결의에 부합하지 않는 북.러 협력에 가장 강력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양국 대표단은 회의 후 '신 천안함'에 오르며 대북 공조 의지를 재확인 했다.
푸틴 '우크라전 북한군 투입 난세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 남부 소치체서 알렉산드르 투카센코 밸리투스 대통ㄹ여을만나 북.러 장상회담 결과를 설명하며
'한반도 상황과 고나련한 어떤 합의도 위반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또 현재 우크라이나에서 진행 중인 특별군사작전에 외국 군인을 투입할 필요가 없는 상황이라며 북한군이 이 작전에 투입될 수 있다는 일각의 주장은 '말이 안 되는 난센스'라고 말했다. 강태화.이승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