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가수이자 작곡가, 시인, 배우 Serge Gainsbourg(세르쥬 갱스부르).. 1960~1970년대 프랑스 대중음악의 상징이자 시인 샤를 보들레르에 비견될 정도로 괴팍하고 방탕한 천재의 모습을 보여준 아티스트.
그의 초기 작품들은 전통적인 샹송의 방식을 따른 Boris Vian과 재즈의 영향을 많이 받은 작품이 많았으나 이후 샹송의 형식을 유지하면서도 발라드, 맘보, 라운지, 레게, 팝, 펑크, 디스코, 보사노바, 로큰롤 등 다양한 스타일의 음악을 시도하여 샹송의 예술성을 한 단계 끌어올리며 프랑스의 국민가수로 등극했고, 전 세계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쉽게 말하자면 에디트 피아프, 샤를 아즈나부르로 대표되는 중후하면서도 극적인 '고전 샹송'의 형식에서 벗어나 타 장르와의 융합을 통해 '현대 프렌치 팝'으로 변화하던 과도기에서 작곡가이자 작사가이자 가수로서 새로운 트렌드를 이끄며 선구자 역할을 한 중요 인물이다.
아이러니와 말장난과 노골적인 성적 이미지로 점철된 다중적인 의미의 가사를 즐겨 쓴 것으로도 악명이 높은데, 프랑스 현지에서의 평가 역시 '위대한 음악가이자 영원한 국민가수'이면서 '희한하고 일반적이지 않았던 괴짜' 두개의 시선이 뒤섞여 있다.
Serge Gainsbourg
Corine
My Lady Héroïne
Oh my Lady Héroïne
Oh ma beauté ma divine
Referme sur moi tes ailes
Mon bel ange ma toute belle
Oh my Lady Héroïne
Ma liaison clandestine
En douceur mon sucre candi
Emmène-moi au paradis
Oh my Lady Héroïne
Oh ma beauté ma divine
Toi mon amour platonique
Mon bébé ma fille unique
Oh my Lady Héroïne
Aussi pure que Justine
Tous les malheurs de ta vertu
Et tous ses bonheurs me tuent
Oh my Lady Héroïne
Dans ta beauté je devine
Quand ton regard me transperce
Tous les charmes de la Perse
Oh my Lady Héroïne
Mon opium ma cocaïne
Est-tu venue d'Extrême Orient
Ou bien d'un marché persan
Oh my Lady Héroïne
Dans ta beauté je devine
Quand ton regard me transperce
Tous les charmes de la Perse
Oh my Lady Héroïne
Mon opium ma cocaïne
Est-tu venue d'Extrême Orient
Ou bien d'un marché pers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