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개 전(電)자는 의부(義符)로 비 우(雨)자에 성부(聲符)로 번개 전(电)자를 했습니다. 번개 전电)자는 번개칠 때 빛나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전기(電氣) 전화(電話) 전자(電子) 전차(電車) 전선(電線)
끊을 절(截)자는 ‘𢦏’자에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옛 글자를 보면 창 과(戈)자에 작을 소(小)자를 하고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새를 잡아 칼로 잘게 잘라애서 요리를 한다는 말이겠지요. 요리할 때 고기를 자르는 것을 절(截)이라고 합니다. 끊을 절(絶)자는 잘게 자르는 것이 아니라, 관계를 아주 끊어 버리는 것, 막아 버리는 것을 뜻합니다. 절주(截住) 절광기(截光器) 절격(截擊) 절연(截然) 단절(斷截) 직절(直截) 반절(半截) 거두절미(去頭截尾)
훔칠 절(竊)자는 의부(義符)로 구멍 혈(穴)자와 분별할 변(釆)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사람 이름 설(卨)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구멍 혈(穴)자는 도둑질은 어두운 곳에서 몰래한다는 뜻이고, 분별할 변(釆)자는 쌀 미(米)자의 변형으로 벌레에게 쌀을 도둑맞는다는 말입니다. 훔칠 절(竊)자는 바구미 같은 벌레가 쌀을 훔쳐가는 것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꺾을 절(折)자는 꺾을 때는 손으로 꺾으니까, 손 수(手,扌,才)자 변에 또 자르는 도구인 도끼 근(斤)자를 했습니다. 꺾을 절(折)자는 꺾고 자르고하는 손(手)과 도끼(斤)로 구성된 글자입니다. 꺾을 절(折)자는 회의 글자입니다. 절화(折花) 곡절(曲折) 굴절(屈折) 골절(骨折) 좌절(挫折) 절충(折衝) 절충(折衷)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