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을 절(絕)자는 가는 실 사(糸,糹)자에 칼 도(刀)자를 하고 큰 뱀 파(巴)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가는 실 사(糸)자와 큰 뱀 파(巴)자는 긴 형태를 가진 것들입니다. 그 긴 형태를 칼 도(刀)자로 끊어내는 모양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절정(絶頂) 절색(絶色) 절명(絶命) 거절(拒絶) 절묘(絶妙) 백아절현(伯牙絶絃) 송도삼절(松都三絶)
끊을 절(切)자는 일곱 칠(七)자에 칼 도(刀)자를 했습니다. 그런데 일곱 칠(七)자는 일곱의 뜻이 아니라 비수 비(匕)자를 그리 쓴 것입니다. 절실(切實) 간절(懇切) 절친(切親) 친절(親切) 절맥(切脈) 일절(一切)
마디 절(節)자는 대 죽(竹)자 아래에 곧 즉(卽)자를 했습니다. 대나무의 특징이 바로 마디가 있는 것입니다. 대나무의 특징인 마디를 나타내기 위하여 곧 즉(卽)자를 했습니다. 곧 즉(皍,卽)자는 흰 백(白)자 아래에 비수 비(匕)자를 하고 병부 절(卩)자를 했습니다. 곧 즉(卽)자는 밥그릇을 앞에 놓고 있는 모양입니다. 지금 바로 먹을 수 있다는 말이지요. 계절(季節) 절개(節槪) 절조(節操) 절중(節中) 절약(節約) 품절(品節) 절후(節候)
끈끈할 점(粘)자는 의부(義符)로 쌀 미(米)자에 성부(聲符)로 차지할 점(占)자를 했습니다. 차지할 점(占)자는 점 복(卜)자 아래에 입 구(口)를 했습니다. 여기서 점 복(卜)자는 차지한 땅에 내 것이라는 표시로 깃발을 꽂아 표시를 해놓은 모습이고, 입 구(口)자는 차지한 영토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