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완전경쟁시장에서의 시장수요곡선은 개별기업의 수요곡선을 합한 것이니까 시장수요곡선이 시장전체의 MR곡선이 되는건가요?
2.시장이론에서, '수요곡선이 우하향의 직선일때 D=AR이고 MR곡선과 수요곡선의 절편은 동일, 기울기는 수요곡선의 2배'라고 할 때의 '수요곡선'은 '개별기업의 수요곡선'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그럼 완전경쟁시장에는 적용할 수 없고, 독점시장과 독점적경쟁시장, 과점시장에만 적용할 수 있는 규칙인건가요?
3. 1과 2를 종합했을때, (교재와 강의에서와 같이)완전경쟁시장을 가정한 외부성그래프는 시장전체그래프이고, 그 그래프의 수요곡선은 곧 MR곡선이고, 문제에서 별다른 언급이 없을 경우 완전경쟁시장을 가정하므로 MR=MB(=수요곡선)로 보고 풀어도 괜찮지만 만약 문제의 시장구조가 독점이라고 주어져있으면 수요곡선과 MR곡선은 별개의 것이니까 반드시 수요곡선(MB)과 SMC곡선이 만나는 점이 사회적 최적점이다라고 풀어야할 것 같은데, 제 생각이 맞나요?
미시 8편 심화문제 11번을 풀다가 급 혼란이 오네요ㅠ
첫댓글 1번에서 논리흐름이 개별기업의 수요곡선의 합 -> 시장수요곡선
이 아니라
시장에서(우하향의 D와 S의 교차점) 가격,생상량 균형이 결정되면 개별기업은 가격수용자 이므로
수평의 수요곡선에 '직면'하게 되는 것입니다.
2. MR곡선이 수요곡선과 절편은 같고 기울기가 2배인 건 모든 시장에서 적용가능합니다.
다만 완전경쟁시장에서 개별기업이 직면하는 수요곡선은 수평선(=기울기가 0)이므로 기울기가 2배인 것이 의미가 없는 것입니다
앗 감사합니다!! 그럼 3번은 아예 틀린 생각인가요?ㅠ 정병열 미시책 풀다가 혼란이 와서요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