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안녕하세요! 기출과 여러 문제를 풀다가 제 개념에 오류가 있는거 같은데, 어떤 부분이 잘못된건지 한번 봐주실 수 있을까요?
모든 가역반응은 평형이 존재하고, 평형에서는 델타G=0 입니다. 델타G가 0이 되려면 델타H 와 델타 S의 부호가 같을 때, 즉 흡열반응이면서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반응이거나, 발열반응이면서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반응에서만 가능합니다. 둘의 부호가 다르면서도 델타G가 0이려면 아래 그래프와 같이 절대온도가 음수가 되는 수 밖에 없는데 이는 열역학 제3법칙을 위배하기 때문에 불가능 합니다.
저는 위와 같이 생각하고 기출문제나 사설문제를 풀때 기체분자가 감소하는 가역반응이면 다른 조건은 볼것도 없이 정반응은 발열반응, 기체분자 수가 증가하는 반응이면 흡열반응이라고 생각하고 문제를 조금 더 빠르게 풀 수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문제들은 위 조건을 만족했으나, 2016 DEET 9번 문제와 같이 일부 문제를 풀 때는 가역반응임에도 델타H와 델타S의 부호가 다른 경우도 있었습니다.
제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 있는건가요 아니면 출제 오류일까요?


첫댓글 저 그림의 세로축은 델타G가 아니라 델타G0입니다.
델타G와 델타G0를 정확히 구분을 못하고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내공수련 해당단원을 처음부터 싹 다 다시 들어보도록하세요~
답변 감사합니다 선생님!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표준상태의 델타G노트 그래프의 의미도 알고 있지만 위 그래프는 반응의 자유에너지 그래프를 식에 맞춰서 그린것입니다.
그래프와 별개로 가역 반응 중 흡열이면서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반응이 존재 하는건가요??
@팜푸 아니면 가역반응 중 평형이 없는 반응이 존재하는 것인가요?
다시 명확히 그 내용만 질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