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적 황군(皇軍)을 격파한 파르티잔 대장 트리피츤 (41) 일본군의 접근과 트리피츤의 변화
(원제 : 메즈도우소비차(МЕЖДОУСОБИЦА, 국제전). 아무르강 하류 비극의 발자취 (По следам нижнеамурской трагедии). 저자 : 스말야크 (В. Г. Смоляк, 1937-2008))
불타게 되는 도시
1920년 5월 말. 아무르강 하류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인 니콜라예프스크는 마지막 날을 보내고 있었습니다.
1920년 5월 29일, 전화 메시지가 니콜라예프스크(니항, 니콜라옙스크)로부터 발송되었습니다.
오늘날 러시아 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레 시에 남아있는 니항사건 추모비 중 하나
니콜라예프스크에서 모스크바로 보낸 전화메시지
“이르쿠츠크에서 얀손(Янсон)으로, 복사본 : 모스크바의 레닌(Ленин)에게.
우리는 귀하가 보낸 전보 9562번을 받았고 이 메시지가 우리에게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우리는 두 달 전 일본이 극동 전체를 장악할 준비를 하고 있으며, 그들과의 전쟁이 불가피하다고 말했습니다.
귀하는 완충국가 건설로 볼셰비키 군대 전체를 배신했습니다.
극동의 군대는 시베리아에 남아있는 일본군을 축출할 수 있을 정도로 강력했습니다.
이제 일본군은 하바로프스크에서, 바다에서, 그리고 데-카스트리(Де-Кастри)의 3면에서 니콜라예프스크에 접근하고 있습니다.
사할린(Сахалин)과 데-카스트리(Де-Кастри)에 상륙한 그들의 군대는 20,000여명 정도입니다.
수만 파운드의 화약, 수만 개의 포탄 및 기타 귀중한 재산을 포함하여 여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저장품들을 파괴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곧 우리는 라디오 방송국을 불태우고 우리 뒤에 있는 모든 것을 파괴할 것입니다.
주민들은 대피시킬 것입니다......
민주공화국을 선언하면, 일본이 인수를 거부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마십시오.
그들은 소비에트 정권이 했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노동자와 농민을 이길 것이니 안심하십시오....
그러나 당신은 ‘젬스트바(земство, 지방자치회) 완충 국가(земский буфер)를 만들라’라는 명령을 반복합니다.
이것을 알지 못하겠지만, 중대한 실수이자 배신임을 기억하십시오.
우리는 니콜라예프스크를 지키기 위해 소비에트 정권을 유지하라는 명령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하바로프스크 인근의 파르티잔들
블라가베셴스크에서 니콜라예프스크로 보낸 전화 메시지
5월 30일, 블라가베셴스크(Благовещенск)에서 니콜라예프스크로로 전화 메시지가 수신되었습니다.
“군부대가 벗어났습니다. 지역 사령관 트리피츤(Тряпицын).”
니항사건에서 사망한 파르티잔들의 장례식 1920. 4. 1. 일경
아무르 혁명위원회의 지시
아무르 혁명 위원회 위원인 즈다노프(Б. Жданов)가 극동 공화국(Дальневосточной Республики) 창설 목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극동공화국 군대(НРА) 사령관 동지(тов)의 명령에 따라,
치타 근처에서 활동하는 에이히(Эйхе)에게,
모든 전선에서 활동하는 드미트리 쉴로프(Дмитрия Шилов), 라조(Лазо), 셰르셰프(Серышев), 트리피츤(Тряпицын)은 그의 명령에 따라야 합니다.
중앙의 정책은 일본과 싸우지 않고 그들에게 양보하고 모든 전선을 파괴하는 것입니다......
당신은 우리 편의 어떤 실제적인 무력을 기대해서는 안됩니다.
이것에 대한 물리적 가능성은 없으며, 이것이 우리의 비극입니다.
일본인들은 그런데, 모든 협상과 연설에서 3월의 니콜라예프스크 사건의 공포를 강조하며, 일본 민간인의 파괴를 지적했습니다.
당신은 극동공화국 정부를 인정하기 위해, 지역의 노동자들 뿐만이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 대해 공식 성명을 발표해야 합니다.”
트리피츤의 상급부서 지시 불복종
트리피츤은 이전의 지침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지침을 준수하지 않았습니다.
그의 행동에 대한 가장 간단한 설명은, 그의 성격 특성과 아무르 강 하류 상황의 복잡성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이스트파르타(истпарта) 책 <극동에서의 혁명(Революция на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에서 이러한 상황은 다음과 같이 고려되었습니다.
러시아 내전 시기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실수들
“일단 집권한 동지들은 혁명의 일반적인 흐름뿐만 아니라 하바로프스크(Хабаровск) 시 근처에 위치한 지역 혁명 사령부로부터도 단절되었기 때문에 많은 전술적 실수를 저질렀습니다.
이 동지들은 그들의 실수로 목숨을 잃었습니다. (께르비 마을에서 총에 맞았습니다).
하지만 아마도
완전히 고립되고 국가 및 외교 활동에 대한 준비가 거의 없었던 그 지독하게 어려운 혁명적 상황에서 특정한 실수를 저지르지 않을 사람은 거의 없었을 것입니다.”
어업이 번성했는 니콜라예프스크 일대
니항사건 생존자들의 회고록
아무르 강 하류 지역에서 소비에트 권력 회복을 위한 투쟁에서 살아남은 거의 모든 생존자들은 회고록에서 트리피츤은 1920년 5월 중순과 그 이후부터는 완전히 다른 두 사람이었다고 썼습니다.
아우셈의 주장
사할린 주 집행 위원회의 전 부의장 아우셈(О. Ауссем)은 다음과 같이 증언합니다.
“피난이 시작되자마자 모든 것이 드라마틱하게 변화되었습니다.
트리피츤이 바뀌었습니다.
니나 레비제바(Нина)가 달라졌습니다.
왜요? 답은 하나뿐입니다.
심리적 패배입니다.
아우셈
트리피츤의 변화
두 명의 트리피츤(Тряпицын)이 있었습니다.
한명은 우리의 승리 기간에 있었습니다......
훌륭한 조직가, 재능있는 군사 지도자, 열정적인 혁명가, 말로만 듣던 전우였습니다.
그러나 일본군이 상당히 우위를 점하고, 일본군으로부터 니콜라예프스크를 방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분명해지면서 이 트리피츤(Тряпицын)은 존재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아무르강 하류. 니항 입구의 츠니르라흐 요새 관련 시설
2022년경 츠니르라흐 요새 인근 모습
아무르강 하류. 니항 입구의 츠니르라흐 요새 화약고 및 해안포대 사진들
오자수정
압치니코프 에서 -> '압친니코프' (일본으로 도주한 니항사건의 일제밀정)
셰르쇼프 에서 -> '셰르셰프' (자유시 참변 당시 볼셰비키 군대 2군단장)
치니르라흐 에서 -> '츠니르라흐' (니콜라예프스크 인근의 제정러시아 시대 해안 포대)
니콜라옙스크 에서 -> '니콜라예프스크' (오늘날의 하바로프스크 주 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레 의 예전 명칭)
뜨랴피친, 트리아피친, 뜨래피친 에서 -> '트리피츤' (Тряпицын의 일본식 발음을 러시아 발음으로 변경)
아우스셈 을 -> ‘아우셈’(О. Ауссем) 로
로 변경합니다.
첫댓글 두 명의 트리피츤으로 표현할 만큼의 트리피츤의 변화가 있었군요
예.
포로로 잡힌 일본군 130여명을 후퇴시 처형한 것은. 비록 일본인들의 민간인 학살과 침략에 따른 보복이었다고 하지만
일본에 의해 선전도구로 활용되었고,
또 볼셰비키가 봤을 때는... 자기들에게도 약점이 있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1차대전중.. 양측이 독가스까지 살포했다는 점에 있어서...
그 시대의 전쟁이 다 그러했다는 점도 있습니다....
3.1운동도 비폭력 평화시위로 시작되었는데.. 무력진압이 무력독립투쟁을 불러온 점도 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