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뇨병 자 고혈압 자 동맥 경화 자 중
아스피린 복용 해서는 안 되는 자
당뇨병이나
고혈압이나
동맥 경화 등을 지니고 있다 할지라도
협심증이나 일시적 뇌허혈 증상 같은
뚜렷한 임상 증상이 없는 자들은
아스피린을 복용하면
오히려 유해하다.
[그림] 아스피린으로 인한 뇌출혈
일차 예방 효과가 거의 없을 뿐 아니라
뇌내 출혈
장내 출혈 등
부작용이 더 크기 때문이다
이는
미국 의사회 학술지 (JAMA) 최신호와
영국 의사회 학술지 (BMJ) 최신호를 통해 발표된 것이다.
[그림] 아스피린의 1차 예방효과는 Placeobo 와 거의 동일 (심장병 뇌졸중 일차 합병증 발생 누적 수치가 동일)
1 차 예방 효과가 없다
정상인이나
고혈압 자나
당뇨병 자가
처음으로 협심증이나
뇌졸중에 걸리는 것을 예방하는 것을
1차 예방 효과라 한다.
[그림] 심근 경색(Infarction): 협심증이 악화되면 심근 일부분이 괴사
[그림] 거미막하 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고혈압자의 뇌막하 출혈
이미 지니고 있는 협심증이
심근 경색으로 악화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은
2차 예방 효과라 한다.
일시적 뇌허혈 증상을 지닌 자들이
뇌졸중을 일으키지 않게 하는 것도
2차 예방 효과라 한다.
[그림] 아스피린의 작용 기전: 모든 항 혈소판 약보다 작용기전이 가장 넓다
아스피린은
2차 예방 효과는 확실하게 입증된 약이다.
그러나
아스피린의 1차 예방 효과가 없다는 사실은
최근에 이르러 집중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그림] 아스피린의 작용 기전: 모든 항 혈소판 약보다 작용기전이 가장 넓다
Placebo와 동일
아스피린의 일차 예방 효과는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
위 표에서 처럼
Placebo와 동일하다
또한
아래 표에서 처럼
아스피린 고 용량 요법에서도
1차 예방 효과가 없음이 발표되었다.
동맥경화 정도 증가해도
무 증상인 경우는 아스피린 효과 없다.
발목 상완 지수(ABI)는
동맥 경화 정도를 측정하는 지수이다.
발목 수축기 혈압을 팔의 수축기 혈압으로 나눈 값이다.
[그림] 발목 상완지수 (Ankle Brachial Index): 발목의 수축기 혈압을 팔의 수축기 혈압으로 나눈 값: 동맥 경화 정도를 나타냄
이 수치가 1 이면 동맥 경화가 정상이고
0.99 이하로 내려갈수록
동맥 경화 정도가 심해진다.
본 임상에서는
발목 상완 지수가 0.95 이하 이면서
임상적 증상이 없는 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아스피린의 1차 예방 효과를 비교 임상한 것이다.
위 표에서 처럼
아스피린은 Placebo와 동일하게
1차 예방 효과가 없을 뿐 아니라
동맥 경화 정도가 심하든 그렇지 않든
임상 증상이 없는 자들에게는
동일하게 1차 예방 효과가 없다
[그림] 뇌막 하부: 출혈이 잘 일어나는 곳 (거미막하 : Subarachnoid)
[그림] 아스피린으로 인한 뇌 출혈
뇌 내 출혈 등 중대한 출혈율이 높다
아스피린의
1차 예방 효과는
Placebo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다
[그림] 아스피린으로 인한 위장 출혈
그러나
뇌내 출혈 등 중대 부작용은
Placebo와 비교하여 차이가 많다.
물론 부작용 발생의 절대 수치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을 만큼 큰 것은 아니다.
이는 아스피린이 원래 안전한 약이기 때문이다.
[그림] 순환기 질환 발병 위험 요인 들
2 차 예방은 하는데
1차 예방은 왜 못하나
1차 예방 효과란
협심증이 없던 자에게
협심증이 발생하는 것을 막는 작용이다.
협심증이 발생하는 병태는 매우 다양하다.
아스피린의 항 혈소판 작용 하나만으로
이를 방지하기 어려운 것이다.
2차 예방이란
협심증이 있는 자에게
협심증이 심근 경색 등으로
악화되는 것을 막는 작용이다.
즉 혈류 장애가 심해지는 것을 막는 작용이다.
이는 항혈소판 작용만으로도 상당히 해결해 줄수 있다.
[근거] Published 21 April 2010, doi:10.1136/bmj.c1805 1)21 April BMJ ;340:c1805 ;Practice;Change Page; Don’t use aspirin for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Helen Barnett, associate editor1, Peter Burrill, specialist pharmaceutical adviser for public health2, Ike Iheanacho, editor1 1 Drug and Therapeutics Bulletin, BMJ Group, London WC1H 9JR, 2 Derbyshire County Primary Care Trust, NHS Derbyshire County, Chesterfield S41 7PF 2) JAMA. 2010;303(9):841-848. CLINICIAN'S CORN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F. Gerald R. Fowkes, FRCPE; Jacqueline F. Price, MD; Marlene C. W. Stewart, PhD; Isabella Butcher, PhD; Gillian C. Leng, MD; Alistair C. H. Pell, MD; Peter A. G. Sandercock, DM; Keith A. A. Fox, FRCP; Gordon D. O. Lowe, DSc; Gordon D. Murray, Ph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