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7월 29일 “오늘의 말씀 묵상 편지”
“주께 속죄제물로 드릴지니라.”
“주께서 또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기를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말하라. 만일 어떤 사람이 무지로 인하여 마땅히 행하지 말아야 할 것들에 관한 주의 명령들을 거역하여 그 중에서 하나라도 어겨 행하되 만일 기름 부음을 받은 제사장이 (백성의 죄에 따라) 죄를 지으면 자기가 범한 죄로 말미암아 흠 없는 어린 수송아지 한 마리를 가져와서 주께 속죄제물로 드릴지니라.”(레위기 4:1-3)
(Now the LORD spoke to Moses, saying, "Speak to the children of Israel, saying: 'If a person sins unintentionally against any of the commandments of the LORD in anything which ought not to be done, and does any of them, 'if the anointed priest sins, bringing guilt on the people, then let him offer to the LORD for his sin which he has sinned a young bull without blemish as a sin offering.)”
임마누엘!!
오늘 말씀 탐구의 주제는 ‘속죄제물’입니다.
히브리어 'chatta'a(핫타아)'. ‘죄(sin)’, ‘죄가 되는 일(sinful thing)’. ****(chatta't 핫타트, 여성).‘죄(sin)’, ‘속죄제물(sin offering)’에서 유래했으며, '죄, 유죄, 죄의 형벌, 속죄제'를 의미합니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약 300여회 나옵니다.
1) 핫타아는 사람에 대한 죄(창 31:36, 창 50:17, 민 12:11, 삼상 20:1)와 하나님에 대한 죄(레 4:14, 레 4:23, 레 4:28, 삼상 2:17, 삼상 14:38, 사 3:9, 렘 5:25, 애 4:6, 애 4:22, 겔 16:51, 암 5:12 등)에 대해 사용되었습니다.
2) 핫타아는 '죄의 상태, 유죄'에 대해 사용되었습니다(창 18:20, 민 16:26, 민 32:23, 겔 3:20, 겔 18:24, 렘 17:1).
3) 핫타아는 슥 14:19에서 '죄의 형벌'에 대해 사용되었습니다: "애굽 사람이나 열국 사람이나 초막절을 지키러 올라오지 아니하는 자의 받을 벌이 이러하니라".
4) 핫타아는 '속죄제(물, sin offering)'라는 의미로 레위기, 민수기, 역대하, 느헤미야, 에스라, 에스겔서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핫타아는 하나님에 대한 불순종의 실체인 '죄'와 희생제사의 제도를 통하여 하나님 앞에 행한 범죄와 죄의 형벌을 없애는 수단인 '속죄제' 이 두개의 의미로 번갈아 나옵니다.
우리는 이 단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찾을수 있어 감사합니다. 그것은 다름이 아닌 죄를 범한 사람은 반드시 속제의 제사를 하나님께 올려야만 한다는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범죄와 속제를 같은 단어로 사용하고 있다고 봅니다.
인간은 고백과 죄에서 돌이켜 하나님께로 향하는 것과 연결된 희생제사를 통해서 만이 죄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자신들의 죄에 계속 머물러 있는 자들을 벌하심으로(수 24:19, 왕상 14:16, 느 9:37 등), 죄를 사하시므로(왕상 8:36, 대하 6:25, 대하 6:27, 시 32:5, 렘 36:3) 죄를 정화시킴으로(시 51:2, 사 6:7, 슥 13:1) 죄를 처리하십니다.
5) 고대 근동의 종교에서는 죄를 제의적, 정치적, 사회적 생활에 있어서 현상(status quo)에 대한 위반으로 이해하였기 때문에 특수한 강조 사항을 지닌 각 나라에서 이방인들은 마술적인 행사로 죄의 결과를 중화 시키려고만 노력하였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죄란 하나님의 뜻에 대한 불순종, 타인의 권리에 대한 착취, 무시라는 것을 계시에 의하여 알게 되었습니다. 죄는 궁극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선언되었으며, 하나님의 창조적이고 은혜로운 자비로우신 용서의 행위에 의해서 만이 제거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회복은 효과적이며 기쁨과 결실의 새로운 생명을 가져옵니다.
이스라엘 민족에게는 개인적으로 또는 국가적으로 삶의 변화에 대한 소망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는 죄(주로 우상숭배,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죄)에 대한 그의 분노를 기꺼이 돌이키시며, 회개하여 죄에서 돌이켜서 고백하고 배상하며 하나님과 그의 구원의 길에 순종하는 자들을 위하여 놀라운 일을 행하시기 때문입니다. 시편에서 많은 도래들은 죄의식과 그 형벌의 무거운 짐으로부터 해방되는 실상을 선포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서울에서
이 우복 목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