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할 조(詔)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부를 소(召)자를 했습니다. 부를 소(召)자는 칼 도(刀)자에 입 구(口)자를 했습니다. 사람을 부를 때 손짓을 하고 소리를 질러 부릅니다. 칼 도(刀)자는 칼을 뜻하는 글자가 아니라, 손을 표시한 글자이고, 입 구(口)자는 말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비출 조(照), 참매미 조(蛁), 새로 길들인 말 조(駋)자들은 부를 소(召)자가 들어 있어서 ‘조’로 읽습니다. 조령(詔令) 조사(詔使) 조책(詔冊) 조함(詔函) 조칙(詔勅) 조칙(詔飭) 조명(詔命) 조문(詔文)
성급할 조(躁)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울 소(喿)자를 했습니다. 울 소(喿)자는 나무 목(木)자 위에 입 구(口)자를 세 개를 해서 새들이 나무에 올라앉아서 우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잡을 조(操), 마를 조(燥), 조급할 조(趮), 고치 켤 조(繰), 면류관 옥 조(璪)자들은 울 소(喿)자가 들어 있어서 ‘조’로 읽습니다. 조급(躁急) 조울(躁鬱) 광조(狂躁) 경조(輕躁) 초조(焦躁) 조상태(躁狀態) 조병(躁病)
만날 조(遭)자는 의부(義符)로 쉬엄쉬엄 갈 착(辵,辶)자에 성부(聲符)로 마을 조(曹)자를 했습니다. 마을 조(曹)자는 동녘 동(東)자 두 개를 합하여 놓고 아래에 가로 왈(曰)자를 했습니다. 해가 뜨는 쪽이며 나무가 있는 곳이라는 뜻이겠지요. 가로 왈(曰)자는 그렇게 부른다는 말이니, 동쪽 마을이라는 뜻을 표시하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동쪽에 있는 마을에는 마음이 가고, 생각해야 할 일이 많습니다. 마음이 거기에 가 있기 때문입니다. 옛날 이웃 마을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그래서 관아(官衙) 조(曹)자로도 읽습니다. 성씨로 쓸 때에는 성씨 조(曺)자를 써야 합니다. 조사(遭事) 조도(遭到) 조제(遭制) 조겁(遭劫) 조핵(遭劾) 조수(遭受) 조고(遭故) 조시불우(遭時不遇)
험할 조(阻)자는 의부(義符)로 언덕 부(阜,阝)자에 성부(聲符)로 또 차(且)자를 했습니다. 또 차(且)자는 고기 덩어리는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고기가 또 있다는 표시입니다. 곧 제사를 지내 모신다는 뜻입니다. 조상 조(祖), 끈 조(組), 도마 조(俎), 도울 조(助), 구실 조(租), 거칠 조(粗), 험할 조(阻), 푸성귀 조(䔃)자들은 또 차(且)자가 들어 있어서 ‘조’로 읽습니다. 조후(阻候) 조응제(阻凝劑) 조격(阻隔) 조격(阻擊) 조제(阻制) 조력(阻力) 험조(險阻) 조해(阻害) 조격(阻隔)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