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을 조(造)자는 쉬엄쉬엄 갈 착(辵,辶)자에 알릴 고(告)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알릴 고(告)자는 알려서 일을 만든다는 말입니다. 일을 지어 만들려면 무슨 꼬투리가 있어야 합니다. 알릴 고(告)자는 그 꼬투리를 알린다는 말입니다. 알릴 고(告)자는 소 우(牛)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한 것처럼 보이지마는 알릴 고(告)자에서는 소 우(牛)자가 아니라, 날 생(生)자입니다. 말이 입에서 생겨 나와서 전해진다는 뜻으로 날 생(生)자를 하고, 그 날 생(生)자의 변형으로 소 우(牛)자로 썼습니다. 알릴 고(告)자는 말소리로 알린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제조(製造) 조선(造船) 조작(造作) 조화(造化) 창조(創造) 조화(造化) 조화(造花) 조성(造成)
새 조(鳥)자는 새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조류(鳥類) 대조(大鳥) 흑조(黑鳥) 백조(白鳥) 익조(益鳥) 화조(花鳥) 수조(水鳥) 수조(獸鳥)
잡을 조(操)자는 의부(義符)로 손 수(手,扌,才)자 변에 성부(聲符)로 울 소(喿)자를 했습니다. 울 소(喿)자는 나무에 새가 앉아 시끄럽게 울어대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입 구(口)자는 새가 우는 소리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마를 조(燥), 성급할 조(躁), 누에고치를 켤 조(繰)자들은 울 소(喿)자가 들어 있어서 ‘조’로 읽습니다. 조종(操縱) 체조(體操) 조업(操業) 조작(操作) 조선(操船) 조타(操舵) 지조(志操) 정조(貞操)
고를 조(調)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두루 주(周)자를 했습니다. 두루 주(周)자는 먼 거리를 나타내는 멀 경(冂)자에 땅을 뜻하는 흙 토(土)자를 하고 사방 범위를 표시하는 네모인 입 구(口)자를 했습니다. 먼 곳(冂)까지 두루 모두라고 범위(口)를 표시하는 글자(周)입니다. 두루 주(周)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빽빽할 조(稠), 시들 조(凋), 비웃을 조(啁), 찌를 조(㨄), 돌집 조(碉), 새길 조(錭), 매미 조(蜩), 도미 조(鯛)자들은 두루 주(周)자가 들어 잇어서 ‘조’로 읽습니다. 조절(調節) 조화(調和) 율조(律調) 곡조(曲調) 감탄조(感嘆調) 부조(不調) 풍조(風調) 고조(古調)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