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폭격'에 중동지역 긴장 고조
헤즈볼라 '분노의 날' 공격 시사
미, 레바논의 자국민 출국 승인
17일 밤 팔레스타인인 가자지구 북부 거점 도시 가자시티 병원이 공습을 받아 수백 명이 숨진 것으로 전해지자
이스라엘 서안지구를 비롯해 주변 아랍국인 레바논, 요르단, 리비아, 이란, 이라크 등에서 대규모 반이스라엘 또는
반미 규탄 시위가 벌어졌다.
이스라엘에 유화적인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 수반에 대한 규탄으로까지 번지며 중동 긴장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특히 레바논 무장단체 헤즈볼라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스라엘을 방문한 18일을 '분노의 날'로 규정하고
고강도 시위를 촉구하며 이스라엘 공격 가능성을 시사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과 카타르 관영 알자지라 방송 등에 따르면 17일 PA 행정중심지 라밀라와 나블루스, 투바스, 제닌같이
PA가 통치하는 서안지구 곳곳에서 시위대와 PA 보안군이 충돌했다.
시위대는 그동안 이스라엘과 협력해 왔고, 팔레스타인무장단체 하마스의 기습 공격을 비판한 아바스 수반을 겨냥해
'(팔레스타인) 국민은 대통령의 몰락을 원한다'고 주장했다.
보안군은 돌을 전지는 시위대에 맞서 최루탄 등을 발사하며 충돌했다.
같은 날 레바논에선 시위대 수백 명이 수도 베이루트 외곽 아우카르에 있는 미국대사관 근처에서 반미 시위를 벌였다.
시위대는 '미국에 죽음을', '이스라엘에 죽음을' 같은 구호를 외치며 대사관을 향해 돌을 전지고 인근 건물에 불을 질렸다고
APP통신이 보도했다.
미 국무부는 18일 오전 레바논에 대한 여행경보를 발행하고 레바논에 있는 미 정부 인사 가족들의 출국을 승인했다.
베이루트 프랑스대사관에도 헤즈불라 깃발을 앞세운 수백 명이 모여 정문을 향해 돌을 던지며 시위를 벌였다.
요르단 수도 암만에서는 17일 하마스를 지지하는 시위대가 이스라엘대사관 진입을 시도하며 요르단 정부에 이스라엘과의
평화조약을 파기하라고 요구했다
미 CNN에 따르면 요르단 인구의 약 50%가 팔레스타인인이거나 팔레스타인 혈통이다.
이란 수도 테헤한에서는 18일 오전 영국과 프랑스 대사관 밖에 시위대가 운집해 프랑스대사관 건물에 달걀을 던지며
'프랑스와 영국에 죽음을'이라고 외쳤다.
헤즈볼라는 17일 '내일(18일)은 번죄자를 은폐하고 보호하기 위해 시온주의 정권(이스라엘)을 방문하는
바이든의 여정으로 인해 전례없는 분노의 날이 될 것'이라면서 '거리와 광장으로 즉시 가서 격렬한 분노를 표출하라'고 촉구했다.
헤즈볼라가 아직 전면적으로 중동전쟁에 참전한 것은 아니지만 레바논 국경 인근에서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간 무력 충돌은
격해지고 있다.
미 정치 전문 인터넷 매체 엑시오스는 이날 미 정부 당국자 3명과 이스라엘 당국자 1명을 인용해
헤즈볼라가 중동 전쟁에 전면적으로 참전할 경우 바이든 행정부가 미 병력을 투입하는 시나리오를 최근 며칠 동안
여러 백악관 회의에서 검토했다고 보도했다. 파리=조은아 특파원
'하마스-헤즈볼라 땅굴, 북과 외관 등 흡사...북서 전수 가능성'
정부 소식통 '북 핵심 노하우 보유'
분 인력 현지서 기술이전 했을수도'
현지 전문가 '헤즈볼라 거쳐간 듯'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의 땅굴 기술이 북한으로부터 이전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우리 정부가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소식통은 18일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북한과 헤즈볼라(레바논의 무장 단체), 하마스의 땅굴에서 외관 등
여러모로 흡사한 특징이 나타나는 건 사실'이라며 '북한이 (하마스 등으로) 기술을 전수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땅굴의 외관이나 굴설 과정에서 사용된 재료, 기술적인 특징 등을 근거로 북한이 노하우를 전수했을 가능성을 제기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북한 인력이 직접 현지로 넘어가 땅굴 기술을 전수해줬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최근 이스라엘에 기습 폭격을 퍼부은 하마스는 기습 공격은 물론이고
방어와 무기 수송, 대원 등을 목적으로 가자지구 지하 곳곳에 방대한 터널을 뚫어 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스라엘 안보단체 '알마 연구.교육센터'의 사리트 제하비대표도 17일 '북한이 헤즈볼라에 기술을 전달했고,
이 기술이 하마스 손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 인터뷰에서 밝혔다.
제하비 대표는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에서 활용된 터널도 간접적으로 북한의 기술이 활용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정부 소식통은 이날 '북한은 견고하면서 뛰어난 방음 능력, 이동 용이성 등 땅굴 관련 핵심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고 했다.
실제 작전지휘소 등 주요 군사시설 등을 지하화하는 과정에서 북한은 세계적인 수준의 땅굴 굴설 능력을 확보한 것으로
우리 군은 판단하고 있다.
이에 군은 북한 땅굴을 겨냥한 탐지 능력 고도화에 여전히 힘을 쏟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탈북민 드응로부터 남침용 땅굴 관련 진술도 꾸준히 확보 중이다.
이번 중동 전쟁에선 이스라엘군 작전 성공의 최대 변수 중 하나로 하마스가 파놓은 땅굴을 얼마나 무력화시킬 수 있을지가 꼽힌다.
이스라엘 안보 당국에선 하마스가 붙잡은 인질들을 터널 속에 두고 있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정부 소식통은 '하마스와의 무기 거래 정황이 드러난 데 이어 땅굴 기술 이전 정황까지 구체적으로 확인된다면
북한과 하마스 간 연계설은 더욱 힘이 실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진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