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인 3만5000여명에게 매달 20만원씩 주는 일자리가 제공된다. 지난해에는 2만5000명에게 일자리가 제공됐다. 올해는 특히 택배.세탁 등 정부가 지원금을 끊은 뒤에도 스스로 돈을 벌 수 있는 자립형 일자리가 늘어난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425억원(지방예산 224억원)을 들여 노인 일자리를 만들 계획이라고 11일 발표했다.
복지부는 지난해 노인에게 제공한 일자리의 80.5%를 차지했던 청소나 교통지도, 방범.순찰, 행정업무 보조 등의 공공형 일자리 비중을 올해는 65%로 줄이기로 했다. 대신 숲 생태나 문화재 해설사.예절강사.독거노인 도우미.중증노인 보호 등 교육복지형 지원 대상을 14.2%에서 20%로 늘릴 방침이다. 지하철 택배나 세탁.도시락 배달.재활용품점.유기농 야채 재배.간병인 등 자립지원형 대상자도 5.3%에서 15%로 늘린다는 것이다. 자립지원형 일자리는 종교단체나 대학 등이 주관하는 노인인력지원기관(CSC)에서 제공한다. 자립지원형 일자리를 갖게 되면 정부가 지원하는 금액 외에 수익을 나눠 갖기도 한다.
공공형 일자리는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것이고 교육복지형이나 자립지원형은 주로 노인복지회관이나 사회복지회관, 노인인력지원기관 등이 담당한다. 민간기업에서 일을 하는 노인은 지원 대상이 아니다. 공공형 일자리 참여자는 1년에 6개월, 교육복지형이나 자립지원형은 5개월간 월 20만원을 정부에서 받는다. 지난해 선정됐더라도 올해 또 할 수 있다.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제외되며 이들보다 형편이 조금 나은 차상위 계층이 주로 선정된다.
하지만 자립형 일자리를 늘리기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자립형 일자리 창출을 담당하는 31개 CSC가 올해부터 지자체 관리를 받게 됨에 따라 지원액(기관당 연간 1억5000만원)이 줄어든 데가 많기 때문이다.
노인인력지원기관협회 지성희 회장은 "자립형 일자리 사업이 시장에서 살아남으려면 1~2년 이상 걸리는데 정부에서 노인들의 인건비를 5개월밖에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자리 잡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지난해 노인일자리 창출사업을 시작해 299억원을 들여 2만5000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