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작용 없고 더 확실한 항암제 몰려온다…美암학회 가는 K바이오
항암 효과 높이고 독성 낮추는 기술 경쟁
기술 이전 성과 기대감도
이중항체·ADC·TPD 올해 트렌드
허지윤 기자
입력 2024.03.14. 07:00
2023년 10월 11일부터 15일까지(현지시각)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국제 학술회의 ‘2023 AACR-NCI-EORTC’에서 한미약품이 개발 중인 항암 혁신신약 후보 물질 ‘HM99462’에 관한 연구 결과 포스터 발표 내용을 학회 참가자들이 살펴보고 있다. /한미약품
2023년 10월 11일부터 15일까지(현지시각)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국제 학술회의 ‘2023 AACR-NCI-EORTC’에서 한미약품이 개발 중인 항암 혁신신약 후보 물질 ‘HM99462’에 관한 연구 결과 포스터 발표 내용을 학회 참가자들이 살펴보고 있다. /한미약품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다음 달 5일부터 10일(현지 시각)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학회(AACR)에서 차세대 항암제 후보물질의 초기 임상 결과를 잇따라 공개한다. AACR은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유럽종양학회(ESMO)와 함께 세계 3대 암학회로 손꼽힌다. 주로 제약사와 대학, 연구기관이 수행한 전임상 단계의 초기 연구 결과를 소개해서 그해 암 연구 트렌드를 엿볼 수 있는 자리다.
13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올해 AACR 2024에는 한미약품(333,000원 ▼ 3,500 -1.04%), 유한양행(75,200원 ▼ 800 -1.05%), 레고켐바이오(73,300원 ▼ 1,100 -1.48%), 에이비엘바이오(27,150원 ▼ 750 -2.69%), 앱클론(18,900원 ▼ 250 -1.31%), 에이비온, 애스톤사이언스, 지놈앤컴퍼니, 티움바이오 같은 항암제와 플랫폼 기술 기업들이 전임상 결과를 잇따라 소개한다.
국내 바이오 기업들은 올해 공개된 연구·개발 파이프라인이 대규모 기술 이전 계약 등 신약 개발의 새로운 모멘텀으로 작용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앞둔 유한양행의 비소세포폐암 신약 ‘렉라자’, HLB의 간암치료제 ‘리보세라닙’도 과거 AACR을 통해 초기 연구성과를 입증했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제약사들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파이프라인 확보를 위해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는 점도 기술 이전, 파트너링 등의 기대감을 높이는 환경”이라고 말했다.
이번 행사는 해마다 6월 미국에서 열리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 비해 투자자들의 관심은 덜하다. 하지만 향후 항암 치료제 개발 트렌드를 가늠하는 무대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항암제는 크게 1~3세대로 분류하는데, 1세대는 키모세라피로 불리는 화학약, 2세대 항암제는 항체를 이용한 표적치료제, 3세대는 바로 현재 대세가 된 면역항암제다. 일반 화학 항암제는 혈관을 타고 흐르면서 암세포뿐 아니라 건강한 세포까지 파괴해 간 독성 등 부작용이 심하다.
최근엔 암세포만 타깃으로 치료 효과를 높이고 기존 2~3세대 항암제의 부작용 등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과 후보물질 연구 개발이 잇따르고 있다. 바이오 의약품에서는이중항체와 항체약물접합체(ADC), 저분자 화합물에서는 표적 단백질 분해(TPD)이 대표적인 유망 기술로 꼽힌다.
◇ 암세포 공격·면역력 강화, 두마리 토끼 잡는 이중항체
이번 AACR에서 공개될 각사의 주요 파이프라인을 보면, ‘이중항체’ 신약 개발 열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중항체란 서로 다른 두 가지의 항원에 결합할 수 있는 항체를 의미한다. 암세포에 존재하는 2가지의 항원에 결합해 사멸을 유도하거나 면역T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CD3 단백질에 결합해 T세포로 인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원리다.
유한양행은 에이비엘바이오와 공동 개발하는 ‘ABL105′의 비임상 결과를 발표하는데, 이도 이중항체 후보물질이다. 한미약품도 이중항체 ‘BH3120′을 비롯한 10건의 연구 과제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BH3120은 암세포 표면의 면역관문단백질 ‘PD-L1′과 면역세포 표면의 ‘4-1BB’를 동시 타깃한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로 개발한 후보 물질 ‘ABL112′와 ‘ABL407′ 두 개의 비임상 결과를 공개한다.
기업들이 일제히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시각에서 이중항체 신약 개발에 달려든 것이다. 이중항체는 한 번에 하나의 타깃(항원)에만 결합할 수 있는 단일 항체보다 치료 효과가 높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예를 들어 이중항체 항암제의 한 쪽은 암세포를 타깃으로 하고, 다른 한쪽은 면역세포와 반응하는 방식으로 암세포를 공격하면서 동시에 면역력을 강화하는 전략이다. 면역항암제와 표적항암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다.
현재 FDA에 승인된 이중항체는 8가지로, 항암, 안구질환, 혈우병 치료제로 사용된다. 항암제로 승인된 이중항체 중 상피세포증식인자(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EGFRxMET을 타깃하는 존슨앤드존슨(J&J)의 아미반타맙(제품명 리브레반트)을 제외하면 모두 혈액암을 대상으로 한다.
한미약품이 개발 중인 치료후보물질 'BH3120'의 작용 원리. BH3120은 암세포 표면에 위치한 PD-L1와 면역세포 표면의 4-1BB를 동시 타깃하는 이중항체다. /한미약품
한미약품이 개발 중인 치료후보물질 'BH3120'의 작용 원리. BH3120은 암세포 표면에 위치한 PD-L1와 면역세포 표면의 4-1BB를 동시 타깃하는 이중항체다. /한미약품
◇ 이중항체와 만난 ADC·치료제 내성 넘을 TPD 개발
새로운 항암 치료 접근 방법(모달리티) 중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는 항체약물접합체(ADC), TPD에 관한 개발 열기가 올해도 이어질 전망이다. 이는 단백질 생성이나 기능만 줄이거나 독성 등 부작용이 있는 기존 치료제의 한계와 내성을 극복할 열쇠로 꼽히는 유망 기술이다.
우선, ADC는 마치 미사일(항체)이 표적(암세포)을 향해 정확하게 날아가 탄두(약물)를 터뜨리 것과 흡사하다. 암세포를 탐색하는 항체에 약물을 붙여서 암세포에 보내 필요한 부위에만 약물을 전달하는 기술이다. 최근엔 차세대 항암제 ADC와 이중항체를 결합한 새로운 신약 개발도 시도되고 있다. 기존 ADC 개발에 필요한 단일항체 대신 이중항체를 넣어 개발하는 방식이다.
레고켐바이오도 ADC와 이중항체를 결합하는 시도를 하고 있는 업체 중 한 곳이다. 이 회사는 이번 AACR에서 총 5개 파이프라인의 임상 결과를 발표하는데, 이전에 공개한 적 없는 이중항체 ADC 후보물질 ‘LCB36′의 전임상 결과를 처음 공개할 계획이다. ‘LCB36′은 혈액암에서 주요 표적 단백질로 쓰이는 CD20과 CD22를 동시에 표적하는 ADC다. 아직 개발에 성공한 사례가 없는 후보물질이다. 레고켐바이오는 클라우딘 18.2 표적 ADC ‘LCB02A’와 TROP2 ADC ‘LCB84′에 대한 전임상 결과도 공개할 예정이다.
TPD는 체내 단백질 분해 시스템을 이용해 질병 원인이 되는 표적 단백질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질환을 유발하는 단백질 기능을 억제하는 차원이 아니라 아예 없애버리기 때문에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할 수 있어, 업계가 일제히 주목하고 있는데, 국내사들도 개발 도전이 잇따른다.
2018년 설립된 TPD 신약개발 업체 유빅스테라퓨틱스는 혈액암을 타깃으로한 표적 단백질 분해(TPD) 신약 후보물질 ‘UBX-303-1′의 비임상 연구결과와 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이번 AACR을 통해 발표한다.
UBX-303-1은 치료 대안이 없는 재발성·불응성 B세포 림프종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 중인 TPD 신약 후보물질이다. 회사 측은 “B세포 림프종의 발병과 암세포 증식에 중요한 BTK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해 종양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모달리티의 후보물질”이라며 “지난해 말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UBX-303-1의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아 올해 상반기 내 임상시험 환자 모집 개시를 앞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화이자, 머크(MSD), 로슈, 노보노디스크 등 다양한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이 이 분야에 뛰어들고 있다. 화이자는 TPD 기술을 활용한 항암제를 개발하기 위해 2021년 미국 바이오벤처와 2조원 규모의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SK바이오팜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TPD를 삼고 작년 6월 620억원을 투자해 미국 TPD 전문 바이오기업 프로테오반트를 인수해 SK 라이프사이언스랩스를 설립했다.
사이언스조선 배너
허지윤 기자
허지윤 기자
오늘의 핫뉴스
대통령과 같은 억대 연봉… 경력 채용 시작된 공무직
IT 많이 본 뉴스
‘번호이동’만 혜택, ‘신규가입·기기변경’은 찬밥... 소비자 불만 커지는 단통법 시행령 개정안
“인도 스마트폰 1위 굳힌다”... 중저가폰 5종 앞세운 삼성전자, 中과 전면전
“LG OLED TV 따라잡았다” 삼성전자 도발에 LG전자 반박… “여전히 3배 격차”
100자평도움말삭제기준
100자평을 입력해주세요.
당신이 관심 있을 만한 콘텐츠
500원 요금제에 60만원 상품권까지… ‘단통법 폐지’ 유탄 맞은 알뜰폰, 출혈 경쟁 시작 - 조선비즈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사세요, '여기까지' 더 오를 겁니다
집값이 하락한 지금, '여기'에 투자 기회가 숨어있습니다
김수용, 모친상 6개월만에 부친상.."존경 한몸에 받은 병원장父" 애도 물결 [종합] - 조선비즈
네이버페이에 8000억 쏟아부은 미래에셋, 기업가치 3배 뛰었는데 회수는 언제쯤 - 조선비즈
2차전지 '이 주식이' 대장입니다, 저도 더 많이 사 모을 겁니다
Recommended by
많이 본 뉴스
1
KAI, 1인승 다목적 전투기 만든다… “임무 반경 수백㎞ 증가”
2
부작용 없고 더 확실한 항암제 몰려온다…美암학회 가는 K바이오
3
혈액검사로 대장암 조기발견 가능해졌다
4
감추고, 갈라서고 ‘어디서 봤더라’…‘LK-99′ 너무 닮은 美 스타 과학자의 몰락
5
“인도 스마트폰 1위 굳힌다”... 중저가폰 5종 앞세운 삼성전자, 中과 전면전
6
“중국서 사업 못하겠네”… 발 빼는 韓 대기업들
7
“비트코인 1억 뚫었는데”… 김치코인 지지부진에 속 타는 투자자들
8
‘번호이동’만 혜택, ‘신규가입·기기변경’은 찬밥... 소비자 불만 커지는 단통법 시행령 개정안
9
조국黨 지지한 야당 표심 들어보니… “이재명 싫다” “尹 심판에 적임” “불쌍하다”
10
“LG OLED TV 따라잡았다” 삼성전자 도발에 LG전자 반박… “여전히 3배 격차”
연예 많이 본 뉴스
1
김수현♥김지원, 현빈♥손예진이랑 같은 호텔 결혼식 '운명이네'('눈물의 여왕')[Oh!쎈 이슈]
2
'7월 출산' 랄랄 "알고보니 남편과 11살 차···솔직히 헤어지는 게 맞아"
3
맹승지, 폭발적 반응에 비키니 자태 추가 공개 "몸매 미쳤다"
4
강민경, 청순 글래머 자태 여전하네…딱 붙는 탑에 도드라진 볼륨감
5
"같이 못 살아" 윤진이, 신혼 3년만에 드러난 민낯.. '파국 위기' 뭐길래?[종합]
6
2세 계획 세워놓고 장도연 손절? 손석구 "1년 뒤 다시.." 어쩌나 [어저께V]
7
손연재, 아기가 아기를 안았네…작고 작은 아들 안고 환한 미소
8
JYP, 스키즈 현진·한서희 루머 칼빼들었다 "선처NO 강력한 법적대응" [공식입장]
9
'살림남2' 하이라이트, JYP 前사옥에 터 잡았다…개국공신 매니저 집 수리까지! [어저께TV]
10
“JD1 데뷔, 주변 트로트 형님들 반응은?” 정동원 답변에 김희철 격분 ('힛트쏭')
개인정보처리방침
앱설치(Android)
Copyright 조선비즈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