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양식※ - 타사 모고나 타 강사분의 교재나 수업 내용에 대한 질문은 받을 수 없습니다.
1. 인강 내용 질문일 때 ⊙ 수강 중인 강좌 이름 - 몇 강 관련 질문인지 예시) 독해알고리즘 - 6강 전개방식 질문입니다.
2. 교재 내용 질문일 때 ⊙ 교재 이름 - 몇 페이지인지 예시) 문법알고리즘 - 24쪽 ○○ 질문입니다.
3. 인강이나 교재 내용 밖의 질문일 때 ⊙ 제목에 질문의 키워드를 넣어주세요 예시) 품사 통용 질문입니다.
4. 모고 질문일 때 ⊙ 교재 이름 - 무슨 시즌 몇 회 몇 번인지 예시) 백일기도 시즌 1의 1회 1번 질문입니다.
.
선생님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로마자표기법에서는 사이시옷을 반영하여 표기한다고 하셨고 샛별(saetbyeol)과 촛불(chotbul)을 그 예로 들 수 있는데,
만둣국(Mandu-guk)과 북엇국(Bugeo-guk)의 사이시옷은 표기되지 않는 이유가 있나요?
붙임표로 나누면서 사이시옷이 탈락해서 그런걸까요..?
그렇다면 붙임표로 나누지 않고 (Mandutguk)으로 표기한다면 맞는 표기 인가요?
첫댓글 국립국어원 답변 첨부합니다.
------
로마자표기법에 이에 대해 직접 언급된 바는 없습니다. 다만, 로마자표기법 제3장 제1항에서 음운 변화가 일어날 때에는 그 결과에 따라 적지만, 된소리되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고 하면서 '샛별'[새ː뼐/샏ː뼐]의 사이시옷을 't'로 적어 'saetbyeol'과 같이 적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로마자 표기 용례에서도 '북엇국’을 ‘bugeotguk’으로 쓰고 있습니다. 다만, 한식명의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단어 사이에 붙임표를 넣을 수 있고, 이때 붙임표 앞뒤의 음운 변화는 반영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만둣국', '북엇국'은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mandutguk', ‘bugeotguk'으로 적지만, 붙임표를 넣어 'mandu-guk', 'bugeo-guk'으로 표기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표제어로 사용되는 한식명은 영어의 표기 관행에 따라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