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을 주(做)자는 사람 인(亻)자에 옛 고(故)자를 했습니다. 지는 다는 것은 옛날의 영향을 받습니다. 지금의 바탕은 과거입니다. 옛 고(故)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옛 고(古)자를 했습니다. 옛 고(古)자는 입 구(口)자 위에 열 십(十)자를 해서 이미 죽은 사람을 표시했습니다. 옛 고(古)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주일개(做一個) 주일천(做一天) 주기(做丌) 주동(做東) 주주(做主) 주작부언(做作浮言) 주의(做意) 간주(看做) 주착(做錯)
맏아들 주(胄)자는 의부(義符)로 고기 육(肉,月)자에 성부(聲符)로 말미암을 유(由)자를 했습니다. 말미암을 유(由)자는 밭 전(田)자에 싹이 난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곡식의 싹을 그려서 일의 시초임을 표시했습니다. 곡식의 싹으로부터 모든 것이 시작이지요. 생명도 여기에 기대어 살아갑니다. 밭에서 나오는 모든 것으로 살아갑니다. 집 주(宙), 투구 주(冑), 명주 주(紬), 투구 주(伷), 밝을 주(怞)자들은 말미암을 유(由)자가 들어 있어서 ‘주’로 읽습니다. 주지(冑之) 주자(胄子) 주손(胄孫) 주학(冑學) 주상(冑庠) 주교(冑敎) 주갑(冑甲) 주감(冑監)
빌 주(呪,咒)자는 빌 때 말로 한다는 표시로 입 구(口)자를 하고, 신(神)에게 빌 때는 가장 맏이 한다는 뜻으로 맏 형(兄)자를 했습니다. 비는 사람(兄)과 빌 때 말(口)을 모두 포함하는 글자입니다. 주술(呪術) 저주(咀呪) 저주(詛呪) 주문(呪文) 주사(呪辭) 주원(呪願) 축주(祝呪) 금주(禁呪)
부추길 주(嗾)자는 입 구(口)자에 겨레 족(族)자를 했습니다. 같은 겨레라는 조건은 부추기게 마련인 관계입니다. 부추기는 것은 말로 부추긴다는 뜻으로 입 구(口)자를 했고, 겨레라는 조건이 부추기게 마련이라는 뜻으로 겨레 족(族)자를 했습니다. 겨레 족(族)자는 깃발을 그린 모 방(方)자에 ‘𠂉’자를 하고, 화살 시(矢)자를 했습니다. 한 깃발 아래 모여 무기를 가지고 방어하는 것이 한 겨레입니다. 뜻을 같이 하고(方) 목숨을 함께하는 것(矢)이 겨레(族)라는 말입니다. 주사(嗾使) 주촉(嗾囑) 태주(太嗾) 지주(指嗾) 음주(陰嗾)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