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차는 녹차나 청차 처럼 밀봉을 해서 보관하던 차가 아니기에 습에 대하여 관대한 편입니다.
또한 발효라는 관점에서 습은 무척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구요.
근데 어느정도 습을 먹어야 습을 먹었다 라고 하는지... 참 애매하기도 합니다.
습은 곧 부정적인 이미지로 비춰지기 때문이죠.
습이 부정적으로 받아 들여진 것은 습이 가득한 지하창고에 입창하거나 노차로 보이기 위하여 작업 차를 만드는 과정에 습이 기인하기 때문이라 봅니다.
광동이나 홍콩 대만 등의 지역에서 일반 적인 창고에서 20년,30년 보관되어지면 당연히 습한 날씨에 습과 고온이 작용하여 과발효가 일어나게 됩니다. 이정도를 그들은 건창이라 하고 습한 지하의 창고에 일정기간 넣어둔 차를 입창차라고 하기도 하며 노차로 보이게 하기 위하여 습과 열을 이용하여 작업차를 만들기도 합니다.
여기서 자연스레 습이 먹은 차는 생활 습이라하여 어느정도 용인을 하고 강제적으로 습을 먹인 차를 습창차라고 하는 거 같습니다.
오랜 시간 천천히 숙성되며 습을 받은 차는 발효도가 높고 여러 풍미가 생겨서 많은 분들이 좋아하시기도 합니다.
지금까지의 좋은 노차는 이런 차일겁니다.
습차 구별법, 오직 저의 기준입니다.
1.햇차나 만든지 10년 이내의 차에서의 습
많이 먹은 습은 습향 나게 되니 쉽게 구별이 가능하구요.
좀 애매한 차는 차를 마시고 난 뒤에 목구멍에서 되돌아 올라오는 회향이 있으면 습에서는 비교적 자유롭다 봅니다.
2.10년 이상된 차
습을 받은지 오래된 차는 습이 변화를 하여 독특한 향미가 나타납니다.
대부분 이를 진향이라 하더군요.
오래된 향이 진향이라면 이것도 하나의 진향으로 봐야 겠지요.
습을 먹은지 오래되지 않은 차는 역시 습 냄새가 납니다.
이때는 찻물을 식혀 보거나 몇탕 우려 먹고 엽저를 개완에 그대로 두고 싸늘히 식혀서 향을 맡아 봅니다.
식으면 습향의 구별이 더욱 쉬워집니다.
중요한 건 습의 진화한 향과 건창보관(생활습) 진향의 구별이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습을 먹은지 오래되지 않는 차는 탕이 흐리고 습 먹은 정도에 따라서 오래되면 탕은 맑아지기도 합니다.
탕색은 홍색 또는 갈홍색으로 짙어지다 암홍색 일명 간장색으로 변해 갑니다. 색과 맑음은 다르게 볼 필요가 있습니다.
3.30년 이상된 건창 차....
이건 할 말이 없습니다. 제가 이런 차를 아직 보지 못했거든요.
많은 분들이 엽저를 관찰하시는데 저는 비중을 많이 두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좀 아리송한 차는 엽저도 참고합니다.
이제 좀 더 어려운 문제 어느정도의 습이 문제가 될까요?
적당한 습은 발효에 도움이 된다고 많이 이야기 하십니다. 저도 동의하구요.
그럼 적당히는 어느정도인가?
이건 각자가 판단해야 할 부분 같습니다.
습에 민감한 분은 약한 습도 느끼고 싫어하시기도 하고 습창 차를 즐기든 분은 무척 관대 할 것입니다.
또한 습을 먹은 차도 시간이 지나며 차성을 읽지만 않았다면 어느정도 맑아지고 탁기는 줄어들고 풍미는 늘어 납니다.
그래서 저는 습에 영향으로 생긴 탁기보다 긍정적인 부분이 많다면 저는 먹을 만한 차로 분류합니다.
습 먹은 차는 먹지 못하는 차일까요?
곰팡이 핀 차는 먹지 못할까요?
위 두 질문의 답은 먹지 못할 차도 있고 아닌 차도 있다.
습이 차의 숙성에 도움이 될까요? 습과 온도와 환풍은 분명 숙성에 도움이 됩니다.
건창 보관은 무조건 좋은가? 선택의 문제다. 건창도 탁기가 생기고 거풍이 필요하다.
그럼 밀봉은 정말 좋은 보관방법인가? 가장 늦게 진화하지만 가장 안전한 보관방법이다.
그러나 그렇게 변화된 차가 과연 우리가 알고 있는 보이차와 같은 차일지 그리고 내가 좋아할 차인지는 상상에 맡긴다.
밀봉을 향의 관점에서 바라 본다면 청차를 권해드립니다.
아무리 좋은 보이차도 화려하고 아름다운 청차의 향에는 미치지 못할 겁니다.
그리고 보관하지 말고 햇차로 드시길 권해드립니다.
보이차는 재료는 같아도 제다와 보관에따라서 세월이 지나면 전혀 다른 차가 되는 차입니다.
먼저 본인이 좋아하는 차가 어떤 차인지, 이것에 기반하여 선택과 저장을 하여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합니다.
고수차와 병배차의 장단점도 생각해 보시구요. 고수차 숙성되면 과연 어떤 차가 될까요?
73청병이나 88청병 보다 좋은 차가 될까요? 아마도 보는 기준이 다르겠죠.
건창 혹은 밀봉 보관하면 탁기도 없고 맑고 기운도 좋고 향기도 좋고 모두 좋을 거라 기대를 할 겁니다.
물론 숙성 기간은 길어 지겠지만요.
근데 밀봉,건창에서도 탁기가 생깁니다. 목이 마르기도 하고 까끌하기도 하고 생진이 적고 몸에 부정적인 반응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거풍의 중요성이 나타나고 차를 고를 때 주의해야 하는 점이죠.
습창차 목이 마르거나 까끌하고 혀가 아프기도 하고 머리나 몸에 부정적인 반응이 나타납니다.
거풍하면 자연습은 서서히 사라지지만 작업차의 습은 오래 남습니다.
최근 많이 보이는 균발효차는 거풍하면 습의 느낌이 미미하여 아주 깔끔한 노차로 보여지기도 합니다.
건창이든 습차이든 거풍은 중요한 요소 입니다.
몸에 기를 느끼는 분들은 습에 의한 탁기를 싫어하고 드시지 않습니다.
저도 좋아하는 차는 아닙니다. 이왕이면 맑고 깨끗한 차를 먹는 게 좋겠죠.
그러나 먹을 차와 못 먹을 차로 분류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습에 대한 질문에 이런 답을 주시더군요.
습을 먹어도 곰팡이가 없는 차.
여러 곰팡이가 섞여있는 차,
거풍 후 곰팡이(시체..ㅎㅎ)가 있는 차..
먹고 암 걸릴만한 차는 없었다. 다만 배양과정에서 냄새가 역한 것들은 나타나더라.
차들이 발효도가 높고 몸에 치명적인 성분은 없어 먹을만 한 차가 많았다고 합니다.
정밀하게 분석하면 우리가 먹을 음식이 멸균제품 아니면 먹을게 없을 겁니다.
김치나 된장에도 독성물질이 있다고 합니다.
중국의 취두부나 세계 3대 치즈의 하나인 까브랄레스치즈(동굴습창발효)등에 몸에 좋은 성분만 있을까요?
자료 중에 중국의 시중에 판매 차를 수거하여 독성 검사를 하니 습창차,건창차, 곰팡이(아마 백상 인 듯) 차를 검사하여 몸에 문제가 될 만큼의 독성물질이 나온 차는 없었다는 자료를 보기도 했습니다.
습창차 과연 먹지 못할 차일까요?
선택은 본이 몫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습을 먹었다고 못 먹는 차 취급하는 것은 넓은 보이차의 세계를 부정하는 좁은 생각이 아닐지 모르겠습니다.
습창차 드시라 권하는 게 아닙니다. 본인이 구별하고 선택 하시라는 것이고 우리의 생각만큼 못 먹을 차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역시 중요한 것은 습을 먹은 차인지 아닌지 본인이 구별이 가능하고 판매하시는 분이 바르게 설명을 해주신다면 문제가 없을 거라 봅니다. 하루에 차 한두잔 드시고 담배도 피우면서 습창차가 못먹을 차다라고 하면 아리송합니다.
습창차나 작업차나 균발효차를 노차로 속여 팔고 점점 노차와 구별이 힘든 차들이 새로 등장을 합니다.
노차는 가격이 저렴하면 무조건 구입을 하지 마세요.
중국에 홍콩에 대만에 그런 노차라면 좋은 가격에 충분히 팔 차인데 왜 국내에 저가에 풀리겠습니까?
그리고 좋은 건창 노차가 어디서 숨어 지내다 이제서야 서서히 나타 나는 것일까요?
나만의 습창 구별법이 맞는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경험 한 차들에서 얻은 결론이지만 다른 방법으로 구별하는 분도 많을 거라 봅니다.
글을 몇번에 나누어 적은 것을 합치다 보니 중복되고 두서가 없습니다. 이제 글을 적는 것도 점점 귀찮아지네요.
잘해야 욕 몇번 더 들어먹는 짓일텐데........
의견이 다르신 분은 댓글로 의견 부탁 드립니다.
가능하면 맑은 차를 드시기 바랍니다....ㅎㅎㅎ
첫댓글 저 만의 개인 의견이지만, 포도주를 수십년 동안 보관하는 방법을 고찰해보면, 보이차의 화두(보관방법, 습도, 온도 등)도 보이더군요. 아직까지 보이차 보관의 절대적인 원칙이 없었으므로, 다른 발효식품을 차용했다고나 할까요..... 이것 저것 인터넷 서핑이나 책자를 뒤적거리다 나만의 보관방법을 찾은 거니까, 그리고 지극히 개인적인 거니까 다른 분들에게 저의 보관방법을 강요할 생각도 없고요.... 이렇게 글을 적기도 주저스럽기도하고요... 급, 후회가 또 밀려오네.. 쩝...
와인보다는 좀 더 요인이 많겠죠.병입이나 오크통 보관과는 다른 부분이 존재 하니까요. 주변에 와인 즐기시는 분이 계서 같이 비교해 주시니 도움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보관 답은 평범함에 있지 않을까요?
흔히 '습'이라고 표현하는 건 습기, 습도가 아닐 것입니다. 보관장소나 작업에 의해 만들어진 습창차의 습이겠죠?
당연히 마셔서 나쁜 반응이 오는 차는 대부분 습의 영향으로 해로운곰팡이 가 작용한 것일 겁니다.
저는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목걸림 증상이나 머리가 아파오는 차는 아웃입니다.
이런 차는 거의 다 엽저에서 딱딱하고 검은색으로 변해 있더군요.
습의 강도는 민감도에다라서 달라지니 각자 다르겠죠. 전 이상하면 차성이 살아 있으면 거풍하며 맛을 봅니다. 대부분 이런 차들은 탁기는 존재하나 충분히 가치있는 차로 돌아 옵니다. 이게 차 구입시 어려운 부분이더라구요.
차에 생기는 해로운 곰팡이......이게 사실 알고 보면 김치 된장 보다 나쁘다 하기 힘들다는 것이죠.
보이차 곰팡이의 문제점을 아시는게 있으시면 링크나 글을 올려 주시면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저는 찾아보아도 생각보다 심각하지 않고 우리의 선입견이 더 작용하는게 아닌가라는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어차피 내가 싫다면 않먹으면 되는 것이라 ......
건창차도 죽포에서 처음 개봉시에는 목걸림이나 목 마름 머리아픔..등 습창차와 크게 다르지 않는 탁기가 존재합니다.
그렇다고 그차를 못먹을 차로 분류하면 않되겠죠.
보이차는 조금 넓게 보고 판단해야 하는 차가 아닌가 생각을 합니다.
저도 동감입니다.
일반 주택에 살다 보니 같은 차인데도 여름 장마철과 가을철의 차 맛이 너무도 차이가 나서 어떤 때는 아끼다 좋은 맛 다 버렸다고 하는데 또 시간이 지나면 다시 제 맛으로 돌아옵니다. 그러면서 더 숙성되는 것 같습니다.
장마철 지나 가을철로 접어들면서 온 집안이 차 익는 냄새(?)로 기분이 활홀할 지경입니다. 그래서 장마철에도 일부러 문 닫아 걸고 제습제 등 설치 안하고 그냥 보관합니다. (단 많은 양은 포장 박스채로. ..)
다행히도 보이차를 접한지 10여년이 지났지만 아직 곰팡이가 핀 보이차는 보지 못했습니다..
감히 한 글 적었습니다.. 저의 개인적 취향입니다.
사실 보이차 곰팡이 피게 만들기도 쉽지는 않습니다....특히 서재나 거실에서는요. 곰팡이가 피었던 차는 균사체등이 보이지 않아서 모르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습이 많고 온도가 높아도 통풍이 잘되면 곰팡이는 피지 않는 거 같아요.
전 검은 곰팡이.푸름곰팡ㅇ, 노란곰팡이.... 여러가지를 보았습니다. 내가 보관 한 차는 아니고 중국에서 건너온 차들에서 보았습니다.
전.. 습을 먹은차와 냄새를 먹은차로 나누어 봅니다. 습의 농도에 따라 몸의 반응도 다른데.. 맛과 향은 좋은데 어깨가 결리는차와 목과 아랫배가 아픈차등이 있고오. 잡냄새를 먹은차는 맛은 괜찬은데 향이 별로고 몸이 찌푸등한 느낌이 듭니다. 제개인 경험입니다.
결국은 본인의 몸에 어떻게 작용하느냐로 구분하는 방법 밖에는 없는 거 같습니다.
같은 차도 모두 다르게 느끼시니 그래서 기호식품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무설자님,아하컴님 두분의 의견에서 일치되는 것도 있고 그러지 아니한것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자연습을 가진차 관리상의 문제이기도하고 보관상의 문제이기도 하겠지만 이러한 습은 거풍 즉 관리가 가능하다는 겁니다.
대체적으로 처음 차를 접했을때 홍콩출장가서 처음 느끼고 맛보았던 그맛하고 꽝쩌우에가서 구한차의 맛과 별반 차이가 없더라는 겁니다.
이유는 두곳다 습한 지역이라 자연습을 먹은차인데 관리하면서 주로 아파트이다보니 자연습은 날라가고 건차로 변한거지요.
습한 상태에서 아리고 쓴맛을 무지하게 겪으면서 왜이리 차가 맛이 그럴까하는 반문은 차를 마시는 이력이 붙으면서 생차와 노차를 비교하면서 이어서
생차의 청량감과 산뜻한 맛을 노차에서는 없다면 노차를 선호할 이유가 없는거지요.
습창차는 거의가 과다한 습이 원인이되어 통풍도 않되는 곳에서 썩은차라 보면 정답일겁니다.
곰팡이도피고 시커멓게 변색이되고 맛은 혀끝이 아리고 지푸라기 냄새가 나고 목넘김은 껄끄럽고 입안은 마르고 속이답답하고 거북하고 두통과 어지러움 대략 이런 느낌일겁니다.
하도 습창차로 단련되고 그런 과정을 겪어가면서 어렵게 배운고 몸으로 터득한다는 것은 몰모트가 되어서야 차의 진미를 느낀다는것이 현실입니다.
자연습도 관리가 불가능한차는 폐기하는게 옳다고 봅니다.
최근 카페에서 90년대 운운하는 노차 과연 존재할까요?
이어
차가 맛있고 진미가 있다면 벌써 다먹고 소진되어 없다고 보아야할겁니다.
그런차가 존재한다면 과연 가격이 그리 헐값일까요?
중국현지에서 팔아도 한몫할겁니다.
궃이 한국까지 올 이유가 없다는거지요.
습창차는 작업차가 태반이고 자연습을 먹은 차와는 충분히 구별할만 하다고 보여집니다.
중국에서 인급차 중차패를 보면 고개를 돌려 애써 외면하고 차라리 2000년대 초반차를 구입하는게 현명한 판단일겁니다.
좋은차는 다먹고 마시고 똥싸서 없다가 정답입니다.
아하컴님 수고 많으셨습니다.
좋은 의견입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명확하게 정리해주셨다고 봅니다
잘보았습니다 타박솔님 글 보고 정리가 되네요
의견들이 많이 올라왔으면 좋겠습니다.
광주 홍콩 차상들이이 생차를 가져다 입창-퇴창하는 프로세스를 제대로 아는 분들이 국내에 있을까요.?
보이차의 주소비지는 동남아 화교사회인데 이들은 이런 과정을 거치지 않는 생차는 외면한다고 합니다.
우리가 습창차라고 부르는 차들이지요.
우리는 건창차라고 부르는 비입창차나 고수차, 생차를 선호하는 건
우리나라 애호가들의 취향일 뿐 보이차의 절대 기준은 아니지 않을까요?
이런 점도 한번 토론해 보시지요.
우리는 우리의 기준으로 바라보는게 맞을 겁니다.
습창 프로세스도 우리가 알아야 될 필요도 없구요.
중요한 건 습 먹은 차도 먹을 만 한게 있다라는 것과
상인은 입창차라는 것을 속이지 않고 팔고 그것을 본인이 구별할수 있고 즐긴다면 문제가 없겠죠.
한담님이 글을 한번 올려주시면 좋은 토론이 되지 않을까요?
적어도 저의 관심은 퇴창한 차는 아니거든요.
@아하컴 님글에 반대한 것도 아니고 의견 좀 나눠 보자는 건데 답변이 까칠하시네요.
@한담 기본 제 성격 탓일 겁니다. 글이 좀 그런거 같네요.. 죄송합니다..
@아하컴 역시 아하컴님 겸손하시네요.^^ 습창에 대한글 찾다 다담님글 읽고 댓글답니다.
많이 배웁니다
고맙습니다.~~~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