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가 고객 수 1000만명을 돌파했다. 출범한 지 2년이 채 안 된 기간에 거둔 성과다.
12일 카카오뱅크에 따르면 11일
밤 누적 신규계좌 개설 고객 수가 1000만명을 넘어섰다. 카카오뱅크
측은 당초 다음 주 중 1000만 돌파를 예상했지만 최근 계좌개설 고객이 늘어나면서 예상보다 빨리 1000만명 선을 넘어섰다. 2017년 7월 27일 대고객 서비스를 시작했으니 715일 만이다. 하루 평균 1만4000명이 가입한 셈이다.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은행
카카오뱅크에 따르면 비대면 계좌개설이 가능한 만 17세 이상 국내인구(4433만명) 중 22.2%가
카카오뱅크 고객이다. 특히 20대와 30대는 인구 10명 중 4명꼴로
카카오뱅크에 가입했다(6월 말 기준). 2030 젊은 세대가
성장을 이끌고 있다.
카카오뱅크 성장세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주목한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은행이기 때문이다. 해외와 비교할 때 카카오뱅크는 인터넷은행 중 후발주자이지만
중국(위뱅크 고객 수 1억1400만명)을 제외하고는 가장 많은 고객수를 자랑한다. 인터넷은행 성공사례로
꼽히는 영국의 레볼루트(2015년 출범)가 400만명, 독일의 N26(2015년
출범)은 200만 고객을 확보하는 데 그쳤다. 일본에서도 2001년 출범한 라쿠텐은행 고객 수가 732만명이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해외 포럼에 가면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이 ‘인구 5000만명의 나라에서 2년
만에 1000만명 가까운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비결이 뭔가’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컨설팅업체 맥킨지앤드컴퍼니도 ‘2019 아시아태평양 은행산업 보고서’에서 “재빠른 디지털 플랫폼 기업들이 기존 은행에 도전해 시장점유율을 빼앗고 있다”며
대표 사례로 카카오뱅크를 언급했다.
카뱅 흥행은 캐릭터 발?
카카오뱅크는 2017년 7월 27일 서비스 개시 당일에만 24만명이 가입하면서 돌풍을 예고했다. 2016년 한 해 동안 금융권에서 비대면으로 계좌개설된 건수를 다 합친 것(16만
건)보다 많은 가입자를 하루 만에 끌어모았다.
초기엔 카카오뱅크의 흥행을 두고 카카오 프렌즈 캐릭터의 힘으로 치부하는 시각도 있었다. 가입자 수가 초반에 늘다가 정체될 거란 전망도 나왔다. 실제 서비스
개시 165일 만에 고객 수 500만명을 돌파했지만 이후
신규 고객 유입이 크게 줄기도 했다. 지난해 6월 한때는
하루 평균 고객 증가 규모가 3415명에 그쳤다.
이를 반전시킨 건 새로운 서비스였다. 지난해 6월 말 ‘26주 적금’ 출시
이후 고객이 다시 늘더니, 지난해 12월 ‘모임통장’ 서비스 출시로 일평균 고객 증가규모가 1만3000명까지 확대됐다. 26주
동안 매주 1000~1만원씩 증액되는 금액을 납입하는 26주
적금은 적금에 재미 요소를 더하며 273만 좌 판매됐다(7월 10일 기준). 모임 회원을 카카오톡으로 초대할 수 있는 모임통장
서비스도 출시 7개월 만에 이용고객 수 285만명을 기록했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주식계좌개설 서비스(3월), 제2금융권 대출 연계 서비스(4월)를 내놨다. 이 은행 관계자는 “고객을
모으고, 잇고, 연결하는 금융 플랫폼 서비스에 중점을 둘
것”이라고 설명했다.
카카오뱅크가 지난 5월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고객들은 카카오뱅크를
선택한 가장 큰 이유로 낮은 수수료(35.9%)를 꼽았다. 이어
모바일뱅킹 이용이 편리하고(25.6%), 예적금 이자율이 높아서(12.8%)
이용한다고 밝혔다.
남은 과제는 카카오 대주주 전환과 IPO
카카오뱅크는 올 1분기에 흑자로 전환했다. 출범한 지 6분기 만이었다. 2분기
실적은 아직 집계 중이지만 업계에서는 소폭의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 증권업계에서는 카카오뱅크가
이러한 흑자기조를 이어간다면 당초 계획 대로 내년 중 기업공개(IPO)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본다. 카카오뱅크가 상장할 경우 기업가치(시가총액)는 약 2조원가량으로 예상된다는 것이 금융투자업계 분석이다.
물론 이에 앞서 카카오가 대주주로 올라서기 위한 유상증자를 마무리해야 한다. 지난 4월 카카오는 금융위원회에 한도(10%)를 초과해 카뱅 지분을 보유하는
것을 승인해달라고 신청했다. 지난달 법제처가 김범수 카카오 의장은 대주주 적격성 심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유권해석을 내리면서 금융위가 카카오의 신청을 승인할 가능성은 커졌다. 카카오가 카카오뱅크의
최대주주로 올라설 수 있을지는 이르면 7월 말 결정될 전망이다.
출처: 중앙일보
기사원문: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5&aid=0002921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