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무金學武(1909 ~ 1943)】 "김구가 결성한 한국특무대독립군 활동 "
1909년 12월 11일 함경북도 온성군(穩城郡)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김준길(金俊吉) 혹은 김원길(金元吉)로 알려져 있으며, 독립운동 당시에는 주로 김학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였다. 용정의 은진중학에서 1927년 4월부터 1931년 2월까지 수학하였으며, 졸업 후에 중국 관내 지역으로 옮겨와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1934년 2월에 개교한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뤄양분교(洛陽分校) 한인특별반에 김구 계열의 청년으로 입교하였고, 같은 해 9월에 김구가 자파 출신의 청년 25명을 퇴교시킬 때 학교를 나왔다. 이후 1934년 8월 난징(南京) 중앙대학(中央大學)에도 입학했지만 학업을 끝마치지 못하였고, 김구가 결성한 한국특무대독립군에서 활동하였다.
1935년 9월 초 공산주의자 이정환(李正煥)·정성언(鄭成彦) 등과 함께 혁명동지회(革命同志會)(10월회)를 조직하여 수령의 지위에 올랐고, 1936년 2월에는 일제의 공작원으로 활동하고 있던 이웅(李雄)을 지난(濟南)에서 처단했다. 그리고 1936년 5월 조선민족혁명당(朝鮮民族革命黨)(민족혁명당)에 입당하였으며, 1937년 초에는 최창익(崔昌益)·허정숙(許貞淑) 등과 제휴하여 민족혁명당 내 비밀 조직으로 조선청년전위동맹(朝鮮靑年前衛同盟)(전위동맹)을 결성하였다.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1937년 12월 1일부터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특별훈련반(陸軍中央軍官學校) (特別訓練班) 싱쯔분교(星子分校)(후에 강릉분교)에 입교하여 1938년 5월 24일 졸업하였다. 졸업을 앞둔 시점에 열린 민족혁명당 제3차 임시 전당 대표대회에서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지만 민족혁명당 간부진의 관내(關內) 안주(安住) 노선에 반발하여 민족혁명당을 탈당하고 재한구조선청년전시복무단(在漢口朝鮮靑年戰時服務團)을 조직하였다.
재한구조선청년전시복무단은 재무한조선청년전시복무단(在武漢朝鮮靑年戰時服務團)(약칭: 전시복무단)으로 개칭되고, 우한(武漢)에서 전개되고 있던 시민 구국 운동에 합세하여 시민이 모이는 곳이면 어디든지 찾아가 연극과 노래 공연, 만화 벽보 부착, 강연 등을 하여 한중인의 단결을 역설하며 중국인의 항일 의지 고취에 힘썼고, 독자적으로 동북 진출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전시복무단만의 독자적인 행동이 어려워지자 1938년 9월에 전시복무단을 조선청년전위동맹(朝鮮靑年前衛同盟)이라는 이름으로 바꾸고, 조선민족전선연맹(朝鮮民族戰線聯盟)에 참여하였다.
1938년 10월 10일 우한에서 조선의용대 창설에 가담하여 조선의용대 지도위원회 지도위원으로 뽑히고, 전위동맹원들이 중심이 된 제2구대에 소속되어 정치 지도원을 맡았다. 우한이 함락된 뒤 조선의용대 제2구대원들을 이끌고 허난성(河南省), 후베이성(湖北省) 일대의 중국군 제1전구(第一戰區)와 제5전구(第五戰區)에 배치되어 주로 제5전구 최전방 지역에서 항일 선전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1939년 12월 전위동맹의 지도부와 조선의용대 본부를 따라 구이린(桂林)으로 이동하여 조선의용대 정치조장(政治組長)에 선임되고, 1940년에는 지도위원 겸 부지대장에 임명되었으며, 1941년 여름 부대원들을 이끌고 뤄양(洛陽)에 집결하여 화베이(華北)에 있는 팔로군(八路軍) 근거지로 이동하였다.
1941년 7월 북상한 조선의용대원들이 조선의용대 화베이지대(華北支隊)로 개편되자, 조선의용대 화베이지대 정치 지도원에 임명되고, 동년 8월에는 화북조선청년학교(華北朝鮮靑年學校)의 교원으로 재직하며 ‘시사문제제강(時事問題提綱)’과 과외 교육 과목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1942년 7월에 결성된 화북조선독립동맹(華北朝鮮獨立同盟)의 중앙집행위원 겸 중앙상무위원으로 선출되었고, 조선의용군 화베이지대의 독립동맹 중앙상무위원회 산하 선전부장을 맡았으며, 동년 12월에는 서현(涉縣)에서 성립된 화북조선청년혁명학교(華北朝鮮靑年革命學校)의 교무 주임을 맡았다.
이후 행적을 비롯한 사망과 관련한 명확한 자료는 없지만, 1943년 5월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는 기록을 통해 조선의용군과 중국 팔로군 신사군에 소속되어 태항산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1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
중국중앙육군군관학교 낙양분교 졸업생 검거에 관한 일제의 조사 기록(1936. 4. 7) [판형1] |